KR102205290B1 -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5290B1 KR102205290B1 KR1020190177273A KR20190177273A KR102205290B1 KR 102205290 B1 KR102205290 B1 KR 102205290B1 KR 1020190177273 A KR1020190177273 A KR 1020190177273A KR 20190177273 A KR20190177273 A KR 20190177273A KR 102205290 B1 KR102205290 B1 KR 102205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light
- light source
- image
- distance
- camer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lgebr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피사체 크기 측정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마커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거리측정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리측정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마커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거리측정장치에서 제1 레이저 모듈 및 제2 레이저 모듈을 통해 조사되는 마커 문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적색 마커 문양과 청색 마커 문양 및 두 마커가 겹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거리측정용 레이저 보조광원이 조사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면까지의 거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보조광원이 맺는 상의 비율과 거리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측정면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의 거리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레이저 보조광원의 밀도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에서 레이저 보조광원의 밀도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0: 카메라
120: 보조광원 조사장치 121: 중앙 레이저 보조광원
122: 좌측 레이저 보조광원 123: 우측 레이저 보조광원
130: 패턴 크기 비율 산출부 140: 영상-기반 거리 산출부
150: 제어부 160: 보조광원 구동부
170: 보조광원 조정부 180: 표시부
200: 구조물
210: 범위설정 패턴 220a, 220b: 특정패턴
300: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제2 실시예)
310: 카메라 320: 보조광원 조사장치
321: 제1 레이저 보조광원 322: 제2 레이저 보조광원
330: 스페클 밀도 비율 산출부 340: 영상-기반 거리 산출부
350: 제어부 360: 보조광원 구동부
370: 보조광원 조정부 380: 표시부
400: 구조물
410: 제1 스페클 패턴 420: 제2 스페클 패턴
Claims (14)
- 카메라로 촬영된 구조물 영상에 나타나는 패턴을 활용하여 구조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200)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10);
상기 구조물(200)의 측정면에 범위설정 패턴(210) 및 특정패턴(220a, 220b)을 각각 조사하는 레이저 포인팅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11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110)의 위치인 시점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의 보조광원(121, 122, 123)을 각각 조사하는 보조광원 조사장치(120);
상기 복수의 보조광원(121, 122, 123)의 범위설정 패턴(210) 및 특정패턴(220a, 220b)이 각각 상기 구조물(200)의 측정면에 맺히는 패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패턴 크기 비율 산출부(130); 및
상기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패턴 크기 비율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패턴 크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구조물(2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기반 거리 산출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조광원 중 중앙 레이저 보조광원(121)은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범위설정 패턴(210)을 조사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레이저 보조광원(122, 123)은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점차 좁아지도록 특정패턴(220a, 220b)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120)는,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120)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분산되는 범위설정 패턴(210)을 조사하는 중앙 레이저 보조광원(121);
상기 중앙 레이저 보조광원(121)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1 특정패턴(220a)을 조사하는 좌측 레이저 보조광원(122); 및
상기 중앙 레이저 보조광원(121)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특정패턴(220a)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특정패턴(220b)을 조사하는 우측 레이저 보조광원(122)을 포함하되,
상기 좌측 및 우측 레이저 보조광원(122, 123)에서 조사되는 특정패턴(220a, 220b)은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서로 점차 좁아지도록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레이저 보조광원(122) 및 우측 레이저 보조광원(122)이 구조물의 측정면에 각각 조사하는 특정패턴(220a, 220b)은 꺽쇠 패턴이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패턴 형상이 표출되도록 가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10)의 촬영, 보조광원의 구동 및 패턴 크기 비율의 산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
상기 보조광원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120)를 구동하는 보조광원 구동부(160);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120)에서 조사되는 보조광원의 광량 및 방향을 조정하는 보조광원 조정부(170); 및
상기 영상-기반 거리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구조물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180)를 추가로 포함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10)와 동일한 선상에서 시작되는 레이저 보조광원들(121, 122, 123)과 구조물(200) 측정면과의 거리를 계측하여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110)의 광각과 배율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에서 확인된 측정면의 길이를 비례의 관계로부터 계산하여, 상기 구조물(200)의 길이 및 폭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카메라로 촬영된 구조물 영상에 나타나는 패턴을 활용하여 구조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400)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310);
상기 구조물(400)의 측정면에 제1 스페클 패턴(410) 및 제2 스페클 패턴(420)을 각각 조사하는 레이저 스페클 분광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31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310)의 위치인 시점으로부터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분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광원(321, 322)을 각각 조사하는 보조광원 조사장치(32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광원(321, 322)의 제1 스페클 패턴(410) 및 제2 스페클 패턴(420)이 각각 상기 구조물(400)의 측정면에 맺히는 패턴 크기의 비율을 산출하는 스페클 밀도 비율 산출부(330); 및
상기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스페클 밀도 비율 산출부(330)에서 산출된 스페클 밀도의 비율에 따라 상기 구조물(40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기반 거리 산출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400)의 측정면에 맺힌 두 보조광원(321, 322)의 스페클 밀도의 비율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320)는,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3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분산되는 제1 스페클 패턴(410)을 조사하는 제1 레이저 보조광원(321); 및
상기 제1 레이저 보조광원(32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보조광원 조사장치(32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점에서 멀어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분산되는 제2 스페클 패턴(410)을 조사하는 제2 레이저 보조광원(3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페클 패턴(410, 420)은 상기 카메라(310)의 위치인 시점으로부터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클 밀도는 레이저 스페클 장치에 의한 면적당 레이저 스페클 수 또는 빛의 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310)와 동일한 선상에서 시작되는 레이저 보조광원들(321, 322)과 구조물(400) 측정면과의 거리를 계측하여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310)의 광각과 배율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310)가 촬영한 영상에서 확인된 측정면의 길이를 비례의 관계로부터 계산하여, 상기 구조물(400)의 길이 및 폭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273A KR102205290B1 (ko) | 2019-12-30 | 2019-12-30 |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273A KR102205290B1 (ko) | 2019-12-30 | 2019-12-30 |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5290B1 true KR102205290B1 (ko) | 2021-01-21 |
Family
ID=742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273A Active KR102205290B1 (ko) | 2019-12-30 | 2019-12-30 |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52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045808A (zh) * | 2022-12-30 | 2023-05-02 | 江苏八麦尔智能科技有限公司 | 油箱盖3d位置及角度识别装置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4024A (ja) * | 2005-11-30 | 2007-06-14 |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 自己混合レーザを用いる三次元計測内視鏡 |
KR100852256B1 (ko) | 2006-10-16 | 2008-08-14 | 미승씨엔에스검사주식회사 | 구조물의 변위 측정장치 |
KR100912132B1 (ko) | 2007-11-13 | 2009-08-13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레이저 마커를 이용한 거리측정장치 |
KR20130140295A (ko) * | 2012-06-14 | 2013-12-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거리측정 장치 및 방법 |
JP2014009997A (ja) * | 2012-06-28 | 2014-01-20 | Ricoh Co Ltd | 測距装置 |
JP2014238259A (ja) * | 2011-09-28 | 2014-12-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情報取得装置および物体検出装置 |
KR101556866B1 (ko) | 2011-10-21 | 2015-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거리 측정 장치 |
KR101748180B1 (ko) | 2010-12-31 | 2017-06-16 | 주식회사 케이티 |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1817441B1 (ko) | 2016-09-29 | 2018-01-11 | 울산과학기술원 | 구조물의 노후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KR101824714B1 (ko) | 2016-04-14 | 2018-02-09 | 신영측기(주) |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계측기 |
KR20180038313A (ko) * | 2016-10-06 | 2018-04-16 | 주식회사 템퍼스 | 비접촉 측정장치 및 비접촉 측정방법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7273A patent/KR10220529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44024A (ja) * | 2005-11-30 | 2007-06-14 | National Univ Corp Shizuoka Univ | 自己混合レーザを用いる三次元計測内視鏡 |
KR100852256B1 (ko) | 2006-10-16 | 2008-08-14 | 미승씨엔에스검사주식회사 | 구조물의 변위 측정장치 |
KR100912132B1 (ko) | 2007-11-13 | 2009-08-13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레이저 마커를 이용한 거리측정장치 |
KR101748180B1 (ko) | 2010-12-31 | 2017-06-16 | 주식회사 케이티 |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JP2014238259A (ja) * | 2011-09-28 | 2014-12-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情報取得装置および物体検出装置 |
KR101556866B1 (ko) | 2011-10-21 | 2015-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거리 측정 장치 |
KR20130140295A (ko) * | 2012-06-14 | 2013-12-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거리측정 장치 및 방법 |
JP2014009997A (ja) * | 2012-06-28 | 2014-01-20 | Ricoh Co Ltd | 測距装置 |
KR101824714B1 (ko) | 2016-04-14 | 2018-02-09 | 신영측기(주) |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계측기 |
KR101817441B1 (ko) | 2016-09-29 | 2018-01-11 | 울산과학기술원 | 구조물의 노후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KR20180038313A (ko) * | 2016-10-06 | 2018-04-16 | 주식회사 템퍼스 | 비접촉 측정장치 및 비접촉 측정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045808A (zh) * | 2022-12-30 | 2023-05-02 | 江苏八麦尔智能科技有限公司 | 油箱盖3d位置及角度识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31537B1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 |
JP5650942B2 (ja) | 点検システムおよび点検方法 | |
CN104075656B (zh) | 激光干涉仪的准直偏差检测及消除方法 | |
JP4948660B2 (ja) | 構造物変位量測定方法 | |
KR20190087179A (ko) | 표적을 이용한 구조물 표면 균열 측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
JP6296477B2 (ja) | 対象物の三次元座標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20130113897A1 (en) | Process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easuring point in geometrical space | |
US20150350617A1 (en) | Method for projecting virtual data and device enabling this projection | |
CN1507742A (zh) | 对红外辐射敏感的红外摄像机 | |
US12025468B2 (en) | Optical sensor with overview camera | |
KR101628955B1 (ko) | 롤 자세정보검출장치 및 그 측정방법 | |
WO2010084920A1 (ja) | パンタグラフ高さ測定装置及びそ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 |
US2020038801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field of view | |
CN112415010A (zh) | 一种成像检测方法及系统 | |
JPH0961126A (ja) | 空間距離測定方法及び空間距離測定装置 | |
KR102205290B1 (ko) | 보조광원을 활용한 영상-기반 구조물 계측 시스템 | |
KR102227031B1 (ko) | 화상데이터 내의 척도마커의 추적을 통한 구조물 표면의 균열 감시 방법 | |
Liu et al. | Parallel camera network: Motion-compensation vision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for structural displacement | |
JP2009300137A (ja) | 画像処理によるラインセンサ仰角測定装置 | |
JP6507063B2 (ja) | 画像検査装置 | |
JP6091092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KR101129643B1 (ko) | 마킹장치의 이동제어방법 | |
JP4930834B2 (ja) | 形状測定方法 | |
KR20040006595A (ko) | 영상에 의한 암반사면 절리의 기하학적 특성조사방법 | |
KR101492185B1 (ko) | 적설량 측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