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077B1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0077B1 KR102140077B1 KR1020200000434A KR20200000434A KR102140077B1 KR 102140077 B1 KR102140077 B1 KR 102140077B1 KR 1020200000434 A KR1020200000434 A KR 1020200000434A KR 20200000434 A KR20200000434 A KR 20200000434A KR 102140077 B1 KR102140077 B1 KR 1021400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server
- image
- user terminal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서버가 개시된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 및,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The server is started. A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to a user terminal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reality service includes at least one source device,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transmission for a predetermined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a request is received,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receives the content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source devic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ource devic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R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er providing a VR service,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VR(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 CG) 기술을 통하여 만들어진 실제 환경과 유사한 3차원 가상 환경 내에서 인체의 모든 감각(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 상호 작용하여 가상으로 창조한 세계에 몰입되게 함으로써 참여자에게 가상 공간을 3차원적으로 재현하고 인간을 이 가상 공간에 몰입시킴으로써 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기술을 말한다.In general,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all the senses of the human body (visual, auditory, olfactory, taste, tactile) in a 3D virtu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created through computer graphic (CG) technology. It refers to a technology that ultimately aim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by immersing human beings in this virtual space in three dimensions and immersing humans in this virtual space by immersing them in the virtually created world.
예를 들어, VR 헤드셋을 쓰면 눈앞에 하얀 눈으로 뒤덮인 스키장이 나타난다. 전후좌우는 물론 위아래 어디든 고개를 돌려봐도 스키장 한가운데다. 발에 달린 스노보드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더니 갑자기 절벽이 나타난다. 순간 발 아래가 허공이다. 머리는 이게 가상현실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장감이 뛰어나다 보니 헤드셋 속 가상의 스키장이 현실처럼 느껴진다.For example, with a VR headset, a ski slope covered with white snow appears in front of you. It is right in the middle of the ski area even if you turn your head up and down, as well as before and after. The snowboard on the feet starts to slide and suddenly a cliff appears. At the moment, the feet are empty. The head recognizes that this is a virtual reality, but the realism makes the virtual ski area in the headset feel like reality.
이와 같이 VR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지만, 컨텐츠 구매 및 소비와 관련하여 상용적으로 서비스되고 있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uch, the VR service provides a new experience to the us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commercially serviced in relation to content purchase and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기를 연동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er,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by linking a plurality of devic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 및,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to a user terminal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source device and a user terminal device When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ontent captured in real time i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t the preset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It includes a processor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촬영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하고,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sequentially transmits a plurality of photographed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ource devices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or photograph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Contents may be synthesiz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and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by selec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ermiss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based on the permiss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content sharing level that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can shar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proces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et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상기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좌안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is 3D content, the processor generates a lef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and a righ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by project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included in the 3D content into a virtual stereoscopic space, respectively. And, wh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viewpoint are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extracted from the generated left-eye and right-eye stereoscopic images. Device.
또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when a display,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and a user command specifying a predetermined location are input,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to the server And a processor that receives real-time shooting content related to a corresponding loc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receive onl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server based on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by at least one source device that provides the real-time shooting conten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ath connec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o the server, , It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and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ath connec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o the serv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receive and display the synthesized content obtain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지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preset region is input,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on to the server,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ource device located in the preset region from the server. It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and display a GUI indicating a location for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에 대한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스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GUI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from the server to receive permission information on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it in an area adjacent to a GUI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ource device. Can.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 상에서 상기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촬영된 가상 체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the preset location is input on a UI screen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to the server, and the virtual experience photographed at the location from the server Content can be controlled to be received and displayed.
또한, 상기 가상 체험 서비스는, 가상 길 체험 서비스, 가상 투어 서비스 및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virtual experience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rtual road experience service, a virtual tour service, and a virtual event experience servi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ntrol method of a serve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reset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ource device may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the content photographed in real time from the source device of the predetermined location and providing it in the form of stream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촬영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하고,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providing in the form of stream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sequentially transmit a plurality of photographed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ource devices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The photographed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may be synthesiz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and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providing in the form of stream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include, among the content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based on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can shar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uthority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providing in the form of stream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et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set location is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the real-time shooting conten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it through the displa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displaying, at least one source device that provides the real-time photographed content receives and displays onl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server based on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do.
또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ath connec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ontent is displayed by receiv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composite content obtain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ca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인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현장감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experiences to a user because it is possible to virtually experience the realism of a remote location using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nother person's wear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나태는 블럭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나태는 블럭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파노라마 VR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panoramic V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treaming content from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tou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event experie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HMD(head mounted display)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등으로 구현되며, 안경, 헤드셋 또는 헬멧 등의 형상을 갖는 본체(가령,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양안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 the
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헤드셋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면, 스마트 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양안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눈앞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헤드셋 본체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안경 다리 또는 벤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 본체에는 조작용 트랙 패드, 리턴 버튼, 음량 조정 키 등이 탑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는 탈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하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영역과 우안이 바라보는 영역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영역과 우안이 바라보는 영역에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wears th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추적하여 시야 영상을 즉각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2D 영상 뿐 아니라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하면 사용자의 시야를 완전히 장악해 360도 입체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자가 고개를 위아래 혹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해 그 방향에 알맞은 시각효과를 내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노라마 3D 영상 중에서 자신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3D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3D image existing in a direction of his gaze among panoramic 3D images, so that a user can experience a virtual reality (V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서버(2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를 포함한다. 2,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유형의 소스 기기(200-1, 200-2, 200-3)로부터 서버(200)로 전송된 컨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기기(300-1, 300-2, 300-3)는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glass), 스마트 와치(watch) 등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스마트 폰, 캠코더, 카메라 등 촬영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The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서버(200)를 통해 제공받아 해당 장소에 대한 가상 체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도 3a 및 도 3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나태는 블럭도들이다.3A and 3B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3A, the
여기서, 서버(200)는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의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utility data server)에 프로그램을 두고 그때 그때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웹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 Here, the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소스 기기(300-1, 300-2, 300-3)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통신부(210)는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소스 기기(300-1, 300-2, 300-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소스 기기(300-1, 300-2, 300-3)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별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별개의 통신 모듈은 동일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소스 기기(300-1, 300-2, 300-3)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서버(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 서버(200)와 소스 기기(300-1, 300-2, 300-3)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이벤트에 따라 서버(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통신부(210)는 후술하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The
프로세서(22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특히,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촬영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glass), 스마트 와치(watch) 등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되어 해당 소스 기기가 위한 장소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해당 장소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고, 소스 기기(300-1, 300-2, 300-3)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장소의 현재 환경을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when a request for content transmission for a preset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한편,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는, 일반 2D 동영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R 서비스 제공을 위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 파노라마 VR 컨텐츠, 일반 2D 영상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300-1, 300-2, 300-3) may be a general 2D video,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3D including a left-eye and right-eye image for VR service provision. This may include images, panoramic VR content, and general 2D images.
또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변경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다른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changed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특정 장소에 대한 가상 체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장소의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위치를 표시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영상을 공유하기를 원하는 소스 기기를 선택하는 명령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 AR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시선 범위 내에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소스 기기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소스 기기 사용자까지의 거리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하고, 합성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위치 → b 위치 → c 위치를 경유하는 경로에 촬영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 a 위치, b 위치, c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거나, a 위치, b 위치, c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합성 영상을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 화면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합하도록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포맷에 부합하도록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부합하도록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를 합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에 대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 컨텐츠 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권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가 자신이 타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의 공유 레벨을 설정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컨텐츠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일부 컨텐츠 만을 합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즉,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위치 정보, 메시지 수신 여부 등의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권한 정보에 의해 공유 가능한 컨텐츠 만을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of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300-1, 300-2, 300-3) can set the content sharing level such as audio data, video data,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or not a message is received, and the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가 비디오 데이터만 공유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권한 정보를 설정한 경우, 비디오 데이터 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가 타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권한 정보를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300-1, 300-2, 300-3) only sets the video data and sets the permission information not to share the audio data, only the video data is us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at least one source device (300-1, 300-2, 300-3) sets the authority information to receive a message from another terminal device, the user of the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서버(200)가 권한 정보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권한 정보에 의해 공유 가능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에서 권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만을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가 비디오 데이터만 공유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권한 정보를 설정한 경우,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만을 수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the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형태로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설정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파노라마 컨텐츠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된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생성된 좌안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3D 영상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또는 방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220)는 결정된 시점 영역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방향에 대한 실시간 방향 정보 및 각도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속도 정보, 회전 정보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최초 방향 정보 및 각도 정보가 수신된 이후에는 이전에 수신된 방향 및 각도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된 방향 및 각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 예를 들어 디바이스 ID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응되는 영상을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버퍼의 일 영역을 전송 버퍼로 확보하고, 전송 버퍼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버퍼링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각각에 대응되는 전송 버퍼를 별도로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입력된 영상을 압축 해제(또는 디코딩)하고 영상 버퍼에 저장하고 영상 버퍼에 저장된 영상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추출한 후, 추출된 영상을 압축(또는 인코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는,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추출한 후 디코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 중 이전에 전송된 영상 외의 마진 영역 만을 디코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또는, 프로세서(220)는 소스 기기(300-1, 300-2, 300-3)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메인 영상과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영역에 대한 마진 영상을 코덱으로 저화질 영상이나, 인코딩된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진 영상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영역 중 디코딩된 메인 영상을 제외한 영상이 Alternatively, the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마진 영상을 디코딩하여 수신된 메인 영상과 합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영상 전송으로 인한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Can be. In this case,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현재 수신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정보를 기초로 슬레이브 기기(200-1, 200-2, 200-3)의 향후 모션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향후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기존의 Kalman filter 와 같은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향후 모션 상태를 추적하여 예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모션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사용사 단말 장치(100)에 동일한 시점 영역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우측 방향 10 °~ 15 °사이의 모션 정보를 갖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해당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동일한 시점 영역의 영상을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서버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에 따르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3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FIG. 3A. According to FIG. 3B, the
저장부(230)는 서버(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서버(200)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정보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각 소스 기기(300-1, 300-2, 300-3)에 대한 권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220)의 동작은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RAM(221), ROM(222), 메인 CPU(223), 그래픽 처리부(2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25-1 ~ 225-n), 버스(22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AM(221), ROM(222), 메인 CPU(223), 그래픽 처리부(2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25-1 ~ 225-n) 등은 버스(2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25-1 내지 2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 interfaces 225-1 to 225-n are connected to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network.
메인 CPU(223)는 저장부(2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인 CPU(223)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원하는 위치의 소스 기기를 판단하고, 해당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OM(2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23)는 ROM(2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RAM(2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23)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21)에 복사하고, RAM(2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그래픽 처리부(2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The
한편, 프로세서(220)는 경우에 따라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요청에 따른 영상을 촬영 영상이 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선택하여 제공하거나, 선택된 영상을 합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의 시작지점과 도착지점 등을 설정하면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시작과 끝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시작 지점부터 풍경 영상을 한 개씩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가상공간으로 매핑함으로써 가상 공간을 설정하고, VR 엔진을 통해 가상 공간 내에 가상의 카메라를 생성함으로써, 가상 카메라로 투영된 가상 공간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공간에서의 카메라 위치는 생성된 경로에 따라 결정되며, 카메라의 방향은 HMD의 방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또한, 프로세서(220)는 각 가상 체험 서비스 별로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길 찾기 체험 서비스의 경우 자동 차모드, 걷기 모드, 달리기 모드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오디오 피드백, 햅틱 피드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차 모드는 데이 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 풍경 데이터 내에서 경로 진행 방향으로의 이동하면서 가상 길 체험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이동 모드의 경우 가까운 거리는 현재의 입체 공간 영상에서 움직이며, 먼 거리 이동이 필요할 경우 연결된 입력 영상 혹은 연결된 입체 공간 영상이 존재한다면 이동 시 현재의 입체 공간 영상과 입체 공간 영상의 합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생성 또는 저장된 메타 데이터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소디오/햅틱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의 예로는 새소리, 매미소리, 빗소리 등의 자연소리, 자동차 소리, 기차소리, 비행기 소리 등의 인공 소리 데이터, 다양한 주기와 강도의 프로필을 갖는 햅틱 데이터, 영상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Also, the
한편, 걷기 모드와 달리기 모드는 기본적으로 유사한 모드이지만, 동일 풍경 내에서의 이동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가상 공간 내에서 가상 카메라의 위치가 달라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경로가 선택되고 걷기 모드와 달리기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의 수직 방향으로 맥파(Ripple)가 생성된다. 여기서, 맥파의 주기와 진폭은 걷기 모드와 뛰기 모드에 따라서 달라지고,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Full 3D 영상이라면 맥파에 따른 카메라 위치/방향의 변화 및 가상 VR 엔진을 통해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양안시차 영상이라면 가상 시점 영상 생성을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깊이 정보를 바탕으로 드러나는 영역의 정보를 가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단안 영상이라면 가상 카메라의 위치/방향의 변환 만을 기반으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각 모드에 따른 이동 중 사용자 선택에 따라 줌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줌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풍경을 확대하여 영상을 볼 수 있고, 줌 상태에서 헤드 모션 변경 시 예를 들어 헤드 모션의 변화량이 줌 기능 시작 기준대비 일정 수치 이상으로 커지거나, 사용자의 줌 모드 해제 입력이 들어온다면, 줌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mode and the running mode are basically similar mod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ovement speed in the same landscape, an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the virtual space. In this case, when a path is selected by a user input and a walking mode and a running mode are selected, a corresponding path is generated and ripples are gene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generated path. Here, the period and amplitude of the pulse wave vary depending on the walking mode and the running mode,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If the image obtained from the database is a Full 3D image, the image may be provided through a change in camera position/direction according to pulse waves and a virtual VR engine. Alternatively, if the image obtained from the database is a binocular parallax image, depth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to generate a virtual viewpoint image, and information of an exposed region may be virtually generated based on the extracted depth information. Alternatively, if the image obtained from the database is a monocular image, the image may be provided based only on the conversion of the position/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Meanwhile, a zoom func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uring movement according to each mode. Through the zoom function, the user can view the image by enlarging the landscape. When changing the head motion in the zoom state, for exampl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ead motion becomes larger than a certain value compared to the start of the zoom function, or the user's zoom mode release input If you enter, you can exit the zoom func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나태는 블럭도들이다.4A and 4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4A, the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연결해 모니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통신부(12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특히,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해당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In particular,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set location is input, the
여기서,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은, 특정 장소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특정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이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Here, the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set location may be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 specific place,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an event at a specific place, or the like.
또한, 프로세서(130)는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00)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130)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the
또한, 프로세서(130)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the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지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기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GUI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preset region is input, the
또한, 프로세서(130)는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에 대한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소스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GUI의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130)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촬영된 가상 체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체험 서비스는, 가상 길 체험 서비스, 가상 투어 서비스 및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set location is input on a UI screen that provides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the
한편, 프로세서(130)는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줌 인/아웃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줌 인 또는 줌 아웃하여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HM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좌안 영상을, 사용자의 우안이 바라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파노라마 3D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성된 입체 공간 영상은 파노라마 3D 영상이 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가상의 구 공간에 투영시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이 가상의 구 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방향에 존재하는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입체 공간 영상 중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한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고,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의 중심에 위치한 가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의 중심에 일정한 화각(Field of View, FOV)을 갖는 가상 카메라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가상 카메라를 회전시켜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존재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60°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의 중심에 위치한 가상 카메라를 좌측 60°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좌측 60°방향에 존재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Then, th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좌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추출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좌안이 디스플레이(110)에서 바라보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우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추출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우안이 디스플레이(110)에서 바라보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노라마 3D 영상 중에서 자신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대한 3D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프로세서(130)는 입체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입체 영상에 대한 입체감을 조절하여 입체감이 조절된 확대 영상 또는 축소 영상을 디스플레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확대 명령은 입체 영상 전체를 확대시키기 위한 전체 확대 명령 및 입체 영상 중 일부를 확대시키기 위한 부분 확대 명령을 포함하고, 축소 명령은 입체 영상 전체를 축소시키기 위한 전체 축소 명령 및 입체 영상 중 일부를 축소시키기 위한 부분 축소 명령을 포함한다.Meanwhile, when a user command for enlarging or reducing a stereoscopic image is input, the
프로세서(130)는 입체 영상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가상의 입체 공간 영상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고,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시키기 전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도록 이동시킨 후, 이동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시켜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입체 영상의 전체를 확대시키기 위한 전체 확대 명령이 입력되면, 좌안 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측으로 이동된 좌안 영상 및 우측으로 이동된 우안 영상 각각을 이용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고,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전체 확대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전체 확대 명령이 입력되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고,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 각각에서 확대 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full enlargement command for enlarging the entire stereoscopic image is input,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좌안 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측으로 이동된 좌안 영상을 이용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가상 카메라의 화각의 양을 전체 확대 명령에 대한 확대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화각의 양이 감소된 가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전체 확대 명령에 대응되는 확대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상 카메라의 화각만 조절할 뿐 가상 카메라의 초점 위치는 변경하지 않는다. 즉, 프로세서(130)는 가상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전체 확대 명령이 입력되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좌측으로 이동된 좌안 영상에서 기초하여 생성된 좌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전체 확대 명령에 대응되는 확대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된 좌안 영상에 의해 좌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좌안 입체 공간 영상은 좌측으로 이동되기 전에 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가상 카메라의 초점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좌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확대 영상을 추출하는 경우,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은 좌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확대 영상을 추출하는 경우보다 우측에 존재하는 확대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즉, 좌안 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확대 영상을 추출하는 경우, 이동 전의 좌안 영상에서 확대 영상을 추출하는 경우보다 우측에 존재하는 확대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nlarged image is extracted from the lef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rotated counterclockwise while maintain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the left-eye stereoscopic image is not moved to the right side than when the enlarged image is extracted.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existing enlarged image. That is, when an enlarged image is extracted by moving the left-eye image to the left, an enlarged image existing on the right side may be extracted than when the enlarged image is extracted from the left-eye image before moving.
한편,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확대 영상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좌안 입체 공간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확대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서 사용자의 좌안이 바라보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체 확대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확대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다만, 상술한 영상 처리, 파노라마 입체 영상 생성, 모션 방향에 따른 영상 추출, 줌 인/아웃 명령에 따른 영상 추출 등은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만 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줌 인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해당 명령을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해당 줌 인 명령에 따른 영상 처리를 통해 회득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image processing, generating a panoramic stereoscopic image, extracting an image according to a motion direction, and extracting an image according to a zoom in/out command may be performed by the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저장부(140), 영상 처리부(15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4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4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4A. According to FIG. 4B, the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다양한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키패드, 터치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모션 인식을 위한 카메라,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센서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상태를 센싱한다. The
구체적으로, 센서부(160)는 모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지자기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Specifically, the
또한, 센서부(160)는 기기에 부착된 터치 패드를 통한 터치 또는 호버링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센서부(160)에서 센싱된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영상 처리부(170)는 수신된 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functions to render the received image and provide it to the
한편, 도 4b에 도시된 프로세서(130)의 세부 구성은 은 도 3b에 도시된 서버(200)의 프로세서(220)의 세부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파노라마 VR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panoramic VR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300-1, 300-2, 300-3)으로부터 3D 영상이 입력되면 좌우 영상을 분리한 후(510), 각각을 가상의 입체 원형 공간에 투영시켜 좌안 입체 영상 및 우안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520). 이 경우, 생성된 입체 영상은 파노라마 VR 영상이 될 수 있으며, 기존의 3차원 기반의 아바타(Avatar), 오브젝트(Object), 공간(Scene), 실사 기반의 파노라마(Panorama) VR 및 포토 오브젝트(Photo Object) VR 등의 다양한 VR 기법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VR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5, when the 3D image is input from at least one source device (300-1, 300-2, 300-3), the
다만,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분리된 스테레오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좌우 영상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2D-3D 변환 기법에 따라 2D 영상을 기반으로 3D 영상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owever, when receiving a stereo image in which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are separated, the corresponding left-right image may be used as it is, or a 3D im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2D image according to the 2D-3D conversion technique, bu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 후, 가상 카메라 엔진을 통해 원하는 시점 영상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예를 들어, HMD)(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을 각각 좌우 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3D VR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a desired viewpoint image is selected through a virtual camera engine and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device (eg, HMD) 100, and the
한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변경된 모션 정보가 수신되면 경우, 수신된 모션 정보를 분석하고(540), 분석된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550)하여 가상 카메라 엔진(530)을 통해 대응되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의 좌우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원형의 입체 공간 내에 가상 카메라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하고 원형의 입체 공간 내에 매핑된 영상 중 방향이 조정된 가상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는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hanged mo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treaming content from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따르면, 서버(200)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이 수신되면, 이를 각각 출력 버퍼(650)로 제공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버퍼(650)는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은 일반 2D 동영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R 서비스 제공을 위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 파노라마 VR 컨텐츠, 일반 2D 영상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6A, when a plurality of
도 6b에 따르면, 서버(200)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이 수신되면, 이를 합성한 후(660) 출력 버퍼(650)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을 이를 제공한 복수의 소스 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6B, when a plurality of
한편, 서버(200)는 복수의 영상(610 내지 640)을 제공한 복수의 소스 기기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 화면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적합하도록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가공된 컨텐츠를 합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스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르면, 소스 기기(300-1, 300-2, 300-3)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정보 제공을 시작한다(S711).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구동하는 이벤트,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는 이벤트 등 제3 자에게 정보 제공을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7, the source devices 300-1, 300-2, and 300-3 start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event (S711). Here, the preset event may be various events that can be viewed as starting to provide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such as an event of installing/driv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an event of subscribing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한편, 소스 기기(300-1, 300-2, 300-3) 사용자는 정보 제공을 시작하게 되면, 서버(200)에 접속 요청을 하고 정보 제공 수준을 설정한다(S720).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위치 정보, 메시지 수신 여부 등의 제3 자와의 정보 공유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f the source devices 300-1, 300-2, and 300-3 starts providing information, it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이어서, 서버(200)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S730:Y), S720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 제공 수준에 따라 서버(2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S740). Subsequently, when an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S730: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8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르면, 서버(20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정보 제공자를 등록/관리한다(S810). 예를 들어,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가입된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제공 수준 또한, 사용자 별로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8,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S820:Y),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를 확인한다(S830). 예를 들어,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가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증 정보(예를 들어, ID, 패스워드 등) 뿐 아니라, 기기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의 기기 식별 정보) 등을 통해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기기가 여러 명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사용자 확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connection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820 :Y), a user of the
한편, S83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정보 제공자 즉,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위치를 제공한다(S840).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의해 설정된 장소에 위한 정보 제공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강남역 부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경우, 강남역 부근에 위한 정보 제공자가 소유한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정보 제공자의 위치가 표시된 이미지(예를 들어 지도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지만, 정보 제공자의 위치 정보 만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when the user of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850), 해당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860).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버퍼링하여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n information request for at least one specific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850),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860). In this case,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9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에 접속하여(S910), 접속할 지역을 설정한다(S920). According to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9, the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정보 요청 권한 수준을 설정한다(S930).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받기를 원하는지, 비디오 데이터만을 제공받기를 원하는지, 정보 제공자에게 메시지를 보내기를 원하는지 등의 정보 요청 권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요청한 수준의 정보, 예를 들어 영상을 수신하여 렌더링한다(S940).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요청한 수준의 정보가 정보 제공자 즉,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정보 제공 수준보다 높은 경우, 해당 소스 기기(300-1, 300-2, 300-3)의 정보 제공 수준 내에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소스 기기(300-1)에 비디오 및 오디오를 요청하였지만, 제1 소스 기기(300-1)의 정보 제공 수준이 비디오로만 설정된 경우, 서버(200)는 비디오 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렌더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950).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HMD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통해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제공받아 가상 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0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기기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장소의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100), 즉 HMD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사용자의 시야에 제공되는 영상을 공유받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자신의 기기의 권한 설정을 통해 컨텐츠 공유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영상만 공유하는 수준,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운드 정보만 공유하는 수준, 영상과 사운드 모두 공유하는 수준, 영상과 사운드 모두 공유하지 않는 수준, 각각의 공유 수준과 별도로 접속자로부터 문자 메시지, 음성 정보를 입력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권한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컨텐츠 공유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0 to 12, a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길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road experie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사용자가 가상 길 체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지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진 복수의 사용자(1011, 1012, 1013..)의 위치가 표시(1021, 1022, 1023..)가 표시된 UI 화면(10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설정한 컨텐츠 공유 수준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HMD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 공유 수준과 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영상(A, B, C..)을 서버(200)를 통해 공유 받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an HMD user selects an area for receiving a virtual road experience service,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또는, 길찾기 기능과 연계하여 목적지 경로와 가까운 사용자의 위치를 검색하여 그 경로 상에 위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1011, 1012, 1013..)가 촬영상 영상과 사운드를 순서대로 제공받음으로써, 가상의 실시간 경로 상황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로 상에 위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 간 거리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시야를 공유 받는 대신에 기저장된 스트리트 뷰와 같은 데이터를 HMD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by locating the user's location close to the destination route in connection with the route finding function, the wearable device users (1011, 1012, 1013..) located on the route are provided with images and sounds in sequence in order to simulate Real-time route conditions can be predicted. In this ca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able device users located on the pa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ange, data such as a pre-stored street view may be provided to the HMD user instead of sharing the view of the wearable device us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투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tou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사용자가 가상 투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지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진 복수의 사용자(1111, 1112, 1113..)의 위치가 표시(1121, 1122, 1123..)된 UI 화면(11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설정한 컨텐츠 공유 수준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HMD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 공유 수준과 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영상을 서버(200)를 통해 공유 받을 수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an HMD user selects a region for receiving a virtual tour service,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event experienc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사용자가 가상 공연 체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공연을 해당 UI 화면(1220)을 통해 선택하면, 선택된 공연장 내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가진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공연 영상을 공유받을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공연장 내에서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설정한 컨텐츠 공유 수준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HMD 사용자는 공연장 내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좌석에서 촬영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공유받을 수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a HMD user selects a performance for receiving a virtual performance experience service through a
또는, 오디오 정보는 공연장 내의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 중 공연 위치와 가장 가까운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영상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영상 정보를 수집/조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간 시점 변화를 통해 영상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audio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 user who is closest to the performance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 users in the venue, and the image information is collected/combined by each user, and various viewpoints between users are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You can also provide a video.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3A and 1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a UI screen provided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지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기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1311 내지 1314)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에 대한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3A,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preset region is input, the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가상 체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 AR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시선 범위 내에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소스 기기 사용자의 위치(1321 내지 1324)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소스 기기 사용자까지의 거리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B,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영상을 공유하기를 원하는 소스 기기를 선택하는 명령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S1410:Y),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한다(S142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illustrated in FIG. 14, when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loc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S1410:Y), the server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ource device. The real-time photographed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t the set location (S1420).
이어서,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한다(S1430).Subsequently, the received content is provided in a streaming form to the user terminal device (S1430).
한편,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S1330 단계에서는,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촬영 컨텐츠를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촬영 컨텐츠를 복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하고, 합성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in step S1330 in which the received content is provided in a streaming form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plurality of photographed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Alternatively, the captured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may be synthesiz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ource devices, and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S1430 단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해당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430 in which the received content is provided in a streaming form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is based on the authority information that sets the content sharing level that at least one source device can shar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uthority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S1430 단계에서는,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430 of providing the received content in a streaming form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et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또한, 제어 방법은,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생성된 좌안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when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is 3D content, generating a lef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and a righ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by projecting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included in the 3D content into a virtual stereoscopic space, respectively. , When rece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extracting a viewpoin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from the generated left-eye and right-eye stereoscopic space images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area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1510:Y),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152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shown in FIG. 15,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determined location is input (S1510: Y),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1520).
이후,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와 관련된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1530).Thereafter, real-time shooting conten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ed through a display (S1530).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S1530 단계에서는, 실시간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스 기기가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별된 컨텐츠 만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step S1530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ontent, at least one source device providing real-time shooting content may receive onl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server based on the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the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 However,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ource device to transmit only the selected content based on the authority information to the server.
또한, S1510, S1520, S1530 단계에서는, UI 화면 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s S1510, S1520, and S1530,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input on the UI scre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route connec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server may receive and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or receive and display a composite content obtained by synthesiz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path from the server.
또한,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지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when a user command to set a preset region is input,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on to the server, receives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ource device located in the preset region from the server at leas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GUI indicating a location for one source device.
이 경우,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에 대한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소스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GUI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source device may receive permission information on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er and display it in an area adjacent to the GUI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ource device.
또한, S1510, S1520, S1530 단계에서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를 특정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촬영된 가상 체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체험 서비스는, 가상 길 체험 서비스, 가상 투어 서비스 및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s S1510, S1520, and S1530, when a user command for specifying a preset location is input on a UI screen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virtual image captured at the location from the server is transmitted. The experience content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Here, the virtual experience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rtual road experience service, a virtual tour service, and a virtual event experience ser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인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현장감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격지에 위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대가를 지불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 sense of realism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other person's wearable de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ays a user of a wearable devic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grammed and stored in various storage media. Accordingly,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at execute a storage medium.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위치의 소스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location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source devic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source device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provided in which a program that sequentially performs steps of receiving the photographed content in real time and providing it in a streaming form to a user terminal device is provided.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mean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Specifically,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and provid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장치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100: user terminal device 110: display
120: communication unit 130: processor
200: user terminal device 210: communication unit
220: processor
Claims (21)
복수의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1 기기로부터 복수의 위치에 대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포함된 제2 및 제3 기기로부터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In the server that provides the content,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for a plurality of locations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ntent photographed from second and third devic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synthesize the received content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ynthesized content to the first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ermiss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s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based on the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the content sharing level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can share with the first devic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1 기기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s process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et in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상기 3D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각각 가상의 입체 공간에 투영하여 좌안 입체 공간 영상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상기 제1 기기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좌안 및 우안 입체 공간 영상에서 상기 제1 기기의 모션 상태에 대응되는 시점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According to claim 3,
The processor,
When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s 3D content,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included in the 3D content are respectively projected into a virtual three-dimensional space to generate a lef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and a right-eye stereoscopic space image, and the Wh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first device is received from the first device, a viewpoin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ate of the first device is extracted from the generated left-eye and right-eye stereoscopic images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합성된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위치의 상기 제2 기기 및 상기 제3 기기로부터 촬영된 상기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컨텐츠인, 서버.According to claim 1,
The synthesized content,
A server in which the content photographed from the second device and the third device in the plurality of positions are sequentially connected content.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복수의 지점을 특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촬영된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컨텐츠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인 제1 기기.In the first device,
display;
Communication department; And
When a command for specifying a plurality of points is input,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lurality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nt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ent captured at the plurality of positions is synthesized from the server.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receive and display the composite content; includes,
The photographed content is a first device that is content includ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A fir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evices that provide the photographed content receive onl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server based on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first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지점을 특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When a command for specifying the plurality of points is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rout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int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set route is received and displayed from the server. The fir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지역을 설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When a command for setting a region is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GUI indicating a location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is received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devices located in the area from the server A first device comprising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에 대한 권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GUI에 인접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 receive the authority information on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from the server and display the area adjacent to a GUI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First device.
상기 프로세서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UI 화면 상에서 상기 위치를 특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촬영된 가상 체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When a command for specifying the location is input on a UI screen providing a virtual experience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display is displayed to receive and display virtual experience content photographed at the location from the server. A fir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상기 가상 체험 서비스는,
가상 길 체험 서비스, 가상 투어 서비스 또는 가상 이벤트 체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virtual experience service,
A first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virtual road experience service, a virtual tour service, or a virtual event experience service.
상기 합성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기로부터 촬영된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컨텐츠인, 제1 기기.The method of claim 6,
The composite content,
A first device in which content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is sequentially connected content.
복수의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기기로부터 복수의 위치에 대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포함된 제2 및 제3 기기로부터 촬영된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컨텐츠를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that provides the content,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Receiv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nclud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for a plurality of locations from a first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content captured from second and third devic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sitions is received, the received content is synthesized, and the synthesized content is And transmitting to the first device.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권한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irst devi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ermiss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s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based on the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the content sharing level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can share with the first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1 기기에서 설정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제1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irst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s process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set in the first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상기 합성된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위치의 상기 제2 기기 및 상기 제3 기기로부터 촬영된 상기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컨텐츠인,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synthesized content,
The control method, wherein the content photographed from the second device and the third device in the plurality of positions are sequentially connected content.
복수의 지점을 특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에 대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위치에서 촬영된 컨텐츠가 합성된 합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컨텐츠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인 제어 방법.In the control method of the first device,
When a command for specifying a plurality of points is input, transmitting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or a plurality of loca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ints to a server; And
It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ynthesized content of the content captured at the plurality of locations from the server;
The photographed content is a control method that is content includ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와 공유 가능한 컨텐츠 공유 레벨을 설정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선별된 컨텐츠 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displaying step,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evices that provide the photographed content receive and display only the content selected by the server based on permission information that sets a content sharing level that can be shared with the first device.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점을 특정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을 연결하는 기 설정된 경로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erver,
When a command for specifying the plurality of points is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rout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int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displaying step,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preset route from the server.
상기 합성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기로부터 촬영된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컨텐츠인,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The composite content,
A control method in which content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locations are sequentially connected content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00434A KR102140077B1 (en) | 2020-01-02 | 2020-01-02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00434A KR102140077B1 (en) | 2020-01-02 | 2020-01-02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55129A Division KR102063895B1 (en) | 2015-04-20 | 2015-04-20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3291A KR20200003291A (en) | 2020-01-08 |
| KR102140077B1 true KR102140077B1 (en) | 2020-07-31 |
Family
ID=691545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00434A Active KR102140077B1 (en) | 2020-01-02 | 2020-01-02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400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95824B1 (en) * | 2021-11-24 | 2023-02-06 | 주식회사 채움숲 | Server for providing scheduling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virtual reallity apparatus |
| KR102796957B1 (en) * | 2022-05-23 | 2025-04-18 | (주)심스리얼리티 | Virtual Space Tour Service Provision System |
| KR20240016727A (en) | 2022-07-29 | 2024-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xperience sharing system and method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633964B1 (en) | 2009-12-04 | 2014-01-21 | Google Inc. | Generating video from panoramic images using transition trees |
| US20140347477A1 (en) | 2013-05-24 | 2014-11-2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grating Street View with Live Video Data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91492A (en) * | 2010-12-23 | 2012-08-20 | 팅크웨어(주) | Electronic device and course guide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AU2013207407A1 (en) * | 2012-01-05 | 2013-10-24 |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 Transaction visual capturin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
-
2020
- 2020-01-02 KR KR1020200000434A patent/KR1021400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633964B1 (en) | 2009-12-04 | 2014-01-21 | Google Inc. | Generating video from panoramic images using transition trees |
| US20140347477A1 (en) | 2013-05-24 | 2014-11-2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grating Street View with Live Video Data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3291A (en) | 2020-01-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63895B1 (en)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10643394B2 (en) | Augmented reality | |
| US1051687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11477509B2 (en) | Immersive cognitive reality system with real time surrounding media | |
| US9686466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vironment content sharing | |
| JP2022502800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 |
| KR102321364B1 (en) | Method for synthesizing a 3d backgroud content and device thereof | |
| US20170053445A1 (en) | Augmented Reality | |
| KR20220070292A (en) | Automated eyewear device sharing system | |
| US11099392B2 (en) | Stabilized and tracked enhanced reality images | |
| JP2017097122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generation method | |
| WO2017113681A1 (en) | Video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 |
| WO2013028586A1 (en) | Location based skins for mixed reality displays | |
| KR102140077B1 (en)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11352239A (en) |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 |
| JP2017208676A (en) |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 |
| KR102144515B1 (en)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250044865A1 (en) |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 |
| CN11833823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content in immersive reality | |
| JP7702675B2 (en) | Video Display System | |
| KR20210067166A (en) | Virtual content experie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KR20230012196A (en) | Master device, slav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necting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 |
| JP2017208809A (en) |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 |
| US2024033131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
| KR102670117B1 (en) | Method for providing virtula reality service with robot and robot for providing virtula reality ser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42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551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00102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