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24B1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0324B1 KR102130324B1 KR1020190146539A KR20190146539A KR102130324B1 KR 102130324 B1 KR102130324 B1 KR 102130324B1 KR 1020190146539 A KR1020190146539 A KR 1020190146539A KR 20190146539 A KR20190146539 A KR 20190146539A KR 102130324 B1 KR102130324 B1 KR 102130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chair
- assembly
- backrest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60—Use of locks or ledges for limiting the seat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 A47C1/03279—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bar or leaf springs of torsion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1—Rocking chairs having elastic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3—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provided with a back-rest moving with th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6—Resiliently mounted seat or back-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다리부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석부의 하면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면과 좌석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지지대와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 An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to which it is applied, a body coupled to an upper part of a leg of a chair, a pair of supports formed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rear an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It is formed by bending and provid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connecting frames that are axial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and the seat, respectively,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by rotating the seat and the backrest backward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and the connecting frame. So that it can be til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탄성를 이용해서 좌판을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y for a chair for tilting the seat in the front-rear direction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and a chair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의자는 크게 좌판, 다리, 등받이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여러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긴 시간 동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자신에 맞는 의자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좌판의 높낮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그럼에도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 자세가 고정되기 때문에, 신체의 통증이나 변형을 유발하기 쉽다. 보다 고급화된 기능으로서 등받이가 다양한 방향으로 틸팅되는 기술을 비롯한 여러 방식을 채용한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The chair is largely composed of a seat, a leg, and a backrest, and is used for a user to sit and perform various tasks. If you have to sit for a long time,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right chair for you.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also equipped with a fun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plate or the angle of the backrest. Nevertheless,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posture is fixed, so it is easy to cause pain or deformation of the body. As a more advanced function, chairs employing various methods, such as technology in which the backrest is tilted in various directions, are being developed.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는 틸팅 기술이 적용된 의자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4 below discloses a chair configuration to which a tilting technique is applied.
특허문헌 1에는 다리프레임, 다리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팔걸이용 프레임, 등받이, 팔걸이용 프레임과 등받이 사이에 연결되어, 등받이가 틸팅되게 안내하는 프레임용 틸팅부재를 포함하여 올바른 착석습관을 유도하고, 요통 등과 같은 통증 발생의 요인도 최소화하는 프레임 타입형 의자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induces correct sitting habits including a leg frame, a frame for armrest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g frame, a backrest, a frame for armrests and a backrest, and a tilting member for a frame that guides the backrest to tilt, Disclosed is a frame-type chair configuration that minimizes factors such as back pain.
특허문헌 2에는 메인샤프트, 백프레임, 토션바 등을 지닌 틸팅 의자에 있어서, 메인샤프트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션조정블록, 토션조정블록의 스토퍼를 내부로 수용하며, 메인샤프트에 형성된 토션조정홈을 포함하며, 토션조정블록의 이동에 따라 토션바의 비틀림 탄성력을 조정하여 다양한 사용자마다 요구하는 안락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in a tilting chair having a main shaft, a back frame, and a torsion bar, a torsion adjustment block that i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shaft and a stopper of the torsion adjustment block are accommodated inside, and the torsion formed in the main shaft It describe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n adjustment groove and improves the comfort required by various users by adjusting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ba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rsion adjustment block.
특허문헌 3에는 의자의 좌판과 연결되어 좌판 하부를 가로지르는 틸팅지지봉과, 상기 틸팅지지봉과 의자 등판을 연결하는 팔걸이를 연결된 틸팅회전프레임과, 상기 틸팅지지봉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회전프레임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의자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등판을 뒤로 젖힐 때 틸팅되는 토션바 스프링 조립체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is provided in the tilting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seat plate of the chair and crossing the lower part of the seat plate, the armrest connecting the tilting support rod and the chair back plate, and the tilting support rod are provided inside, but the tilting rotation frame is connected A configuration of a torsion bar spring assembly that is tilted when the user tilts the back of the back while sitting on the chair seat is described.
특허문헌 4에는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시 최대 틸팅 각도를 복수의 단으로 한정하는 틸팅 조절부를 포함하고, 바디의 전방에 설치된 조절레버를 전방으로 신장시킨 후 회전 조작해서 탄성부재의 장력을 조절해서 사용자가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4 includes a tilting control unit that limits the maximum tilting angle to a plurality of stages during a tilting opera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and extends the control leve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ody forward and rotates it to rotate to make the elastic member An assembly configuration for a chair that controls a user's tension and adjusts strength during a tilting operation of a seat and a backrest is described.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좌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등받이만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됨에 따라, 사용자가 체형이나 자세에 따라 효과적으로 좌판과 등받이를 틸팅 동작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Patent Documents 1 to 3 have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effectively tilt the seat plate and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r posture, as only the backrest is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the seat plate is fixed.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의 어셈블리에는 좌판과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위한 토션 바나 스프링이 적용되고, 틸팅 동작시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볼트 등의 추가적인 부품이 적용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with a torsion bar or spring for tilting motion of the seat plate and backrest, and additional parts such as an adjustment bolt for adjusting elastic force during the tilting motion must be applied.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의 어셈블리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작업시 작업성이 저하되며,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Due to this, the assembly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workability is reduced during the manufacturing operat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과 좌석부를 지지하는 어셈블리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이 가능한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for a chair capable of tilting opera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by using the user's weight applied to the seat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assembly supporting the seat. It is to provide an assembly and a chair to which it is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이 가능한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부품 수를 최소화하며 슬림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of an assembly capable of tilting the seat and the backrest, minimizes the number of parts, and provides a slim desig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틸팅 동작을 록킹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for a chair capable of locking a tilting motion as required and a chair to which it is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는 의자의 다리부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석부의 하면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면과 좌석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과 상기 지지대와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틸팅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i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g of the chair, a pair of supports formed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the The user's weight applied to the seat portion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are used, including a pair of connection frames that are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ody to the rear and upward and are axial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and the seat portion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ing opera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by rotating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는 의자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에서 좌석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바디, 그리고 등받이가 연결된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 및 상기 틸팅 동작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chair to which an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assembly for a chair, and a pair of supports and a body supporting a seat portion in the assembly for a chair, and a backrest are connect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ing operati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locking or releasing the tilting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에 의하면,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과,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사출 성형된 지지대와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후방으로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air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the user's weight applied to the sea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injection molded support and the connection frame using a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ilt the backrest to the rear is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 동작을 위한 토션바나 스프링 등의 부품을 제거함으로써, 부품 수를 최소화해서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parts such as a torsion bar or spring for a til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improve workability during assembly work,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that the tilting strength can be adjusted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용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디자인 측면에서 슬림한 디자인의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hair assembly is simplified, and an effect that a chair assembly of a slim design can be implemented in terms of design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with an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shown in Figure 1 from a different ang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assembly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chair assembly shown in Figure 3,
7 to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chair is applied to the chai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ckrest is installed around the seat is referred to as the'rear' of the chair,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front' of the chair.
그리고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 조절 동작을 '틸팅 동작'이라 한다.In addition, the til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is called a'tilting operation'.
따라서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Accordingly,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left','right','upper' and'downward' are defined to indicate respective directions based on the front and rear.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a configuration of a chair to which an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to which a chai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ir shown in FIG. 1 from a different angle.
도 2에는 좌석부의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state of the se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11), 좌석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다수의 바퀴가 부착되는 다리부(12), 좌석부(11)의 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이(13) 및 좌석부(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하며 틸팅 동작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의자용 어셈블리(14)를 포함한다.
등받이(13)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치는 팔걸이(19)가 마련되고, 등받이(13)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도면 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본 실시 예에서 등받이(13)는 의자용 어셈블리(14)의 양측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좌석부(11)의 틸팅 동작시 좌석부(11)와 함께 후방으로 틸팅 동작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팔걸이(19)는 각 연장 프레임(4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리부(12)의 상부에는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축 동작하는 실린더(15)가 설치될 수 있다.A
좌석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14)의 상부에 틸팅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판(16), 좌판(16)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17) 및 좌판(16)의 상면과 각 측벽을 커버하는 쿠션(18)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좌판(16)의 하면에는 결합 플레이트(18)를 결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좌판(16) 하면의 가장자리에는 좌판(16)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A sp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결합 플레이트(17)는 좌판(16)의 하면보다 약간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여기서, 좌판(16)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고, 결합 플레이트(17)는 경사부(161)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좌판(16)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돌기 및 결합홈과 같은 별도의 결합구조를 마련할 필요없이, 결합 플레이트를 좌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부를 탄성 변형시켜 좌판에 결합하거나 좌판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seat plate or detachable from the seat plate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seat plate, without having to provide separate bonding structures such as engaging projections and engaging grooves.
특히, 본 발명은 경사부의 탄성 변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조작으로 좌판에 결합 플레이트를 결합하거나, 좌판으로부터 결합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binding plate to the seat plate in one operation by us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or can easily detach the bonding plate from the seat plate.
다음,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configuration of a chai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for a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for a chair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6 is a plan view of the chair assembly shown in FIG. 3.
도 3과 도 6에는 의자용 어셈블리의 상면에 좌석부의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의자용 어셈블리의 상면에 좌석부의 결합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3 and 6 show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assembly, and FIG. 5 is shown in a state where the seating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assemb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14)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20), 바디(2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석부(11)의 하면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30) 및 바디(20)의 양측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바디(20)의 양측면과 좌석부(11)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14)는 실린더(15)의 상단에 마련된 개폐핀을 하방으로 가압해서 좌석부(11)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0) 및 틸팅 동작을 록킹하는 록킹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바디(2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디(20)의 중앙부에는 실린더(15)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통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결합통부(2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20)를 중심으로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되고, 결합통부(21)의 중앙에는 실린더(14)의 상단부가 결합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러한 결합통부(21)의 일측에는 조절레버(5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조절레버(50)는 결합통부(21)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레버(50)의 외측단을 상방으로 당김 조작하면, 조절레버(50)의 내측단은 축(51)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해서 실린더(15)의 상단에 마련된 개폐핀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outer end of the adjustment lever 50 upward, the inner end of the
이에 따라, 실린더(15)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면서 좌석부(1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while the closed state of the
반면, 사용자가 조절레버(50)의 당김 조작을 해지하면, 실린더(15)의 개폐핀이 상방으로 상승 동작함에 따라, 조절레버(50)의 내측단은 상승하고, 실린더(15)의 신축 상태가 고정되며, 좌석부(11)는 조절된 높이로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ancels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djusting
한편, 바디(20)의 후측 상면에는 결합 플레이트(17)에 형성된 관통공(171)을 관통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블록(22)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ixed
고정블록(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록킹부(60)의 회전 바(62) 후단과 접촉되어 의자용 어셈블리(14)의 틸팅 동작을 록킹하는 기능을 한다.6, the fixed
그리고 고정블록(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1)의 전방 회전을 방지하고, 좌석부(11)의 틸팅 동작시 후방 회전 가능한 거리를 관통공(171)의 전후 방향 폭으로 한정하는 기능을 한다. And the fixing
좌석부(11)의 전단부가 하강해서 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전방으로 쏠림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When the front end of the
따라서 고정블록(22)의 후면은 관통공(171)의 후단과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고, 이로 인해 좌석부(11)의 전방 회전이 방지한다.Therefore,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반면, 고정블록(22)은 좌석부(11)와 등받이(13)가 후방으로 회전해서 틸팅 동작하면 관통공(171)의 후단과 분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그리고 고정블록(22)은 좌석부(11)와 등받이(13)가 후방으로 계속해서 회전하여 관통공(171)의 전단과 접촉되면, 좌석부(11)와 등받이(13)0가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서 회전 가능한 거리를 한정한다. And the fixed
한 쌍의 지지대(30)는 각각 바디(20)의 양측에서 전방 및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바디(20)와 한 쌍의 지지대(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The
그리고 각 지지대(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미리 설정된 곡률로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곡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각 지지대(30)의 전단부에는 좌석부(11)의 결합 플레이트(17) 전단부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축(31)이 결합될 수 있다. The
한 쌍의 연결 프레임(40)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에 대략 '」' 형상의 되도록, 후방 및 상방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connecting
연결 프레임(4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The
각 연결 프레임(40)의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결합돌부(41)가 형성되고, 각 결합돌부(41)에는 좌석부(11)의 결합 플레이트(17)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축(42)이 설치될 수 있다. On the front end of each connecting
그리고 각 연결 프레임(40)의 전단부 내측면에는 각 연결 프레임(40)의 전단부와 바디(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축(43)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따라서 결합 플레이트(17)는 틸팅 동작시, 전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제1 축(31)과 제2 축(42)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20) 및 연결 프레임(40)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refore, the
그리고 연결 프레임(40)은 틸팅 동작시, 전단부가 제2 축(42)과 제3 축(43)에 의해 결합 플레이트(17)의 후단부와 바디(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프레임(40)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여기서, 제2 축(42)은 결합 플레이트(17)가 틸팅 동작하는 방향에 따라 제3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Here, the
그래서 한 쌍의 연결 프레임(40)에 결합된 등받이(13)는 연결 프레임(40)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So, the
한편, 록킹부(6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61) 및 조작레버(61)의 이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바(62)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회전 바(62)의 선단부는 조작레버(61)의 내측단과 연결되고, 회전 바(62)의 중앙부에는 결합 플레이트(17)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65)가 체결될 수 있다.The leading end of the rotating
여기서, 고정볼트(65)는 회전 바(6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축 기능을 한다. Here, the fixing
그리고 조작레버(50)의 내측단 상면에는 연결돌기(63)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회전 바(62)의 선단부에는 연결돌기(63)가 결합되는 결합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결합공(64)은 연결돌기(63)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바(62)가 고정볼트(6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록킹부(60)는 사용자가 조작레버(61)를 좌석부(11)의 외측,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당김 조작하면, 조작레버(61)의 내측단과 선단부가 연결된 회전 바(62)의 후단부가 고정볼트(65)를 중심으로 좌석부(11) 내측을 향해 회전한다. Therefore, the locking
이와 같이, 회전 바(62)의 후단부가 회전하여 바디(20)에 형성된 고정블록(22)과 접촉되면,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록킹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다음,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틸팅 동작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tilting operation method of a chair to which a chai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7 to 9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tilting operation of a chair to which a chair assembly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는 좌석부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좌석부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져서 좌석부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좌석부와 등받이가 후방을 향해 회전해서 틸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FIG. 7 shows a normal state in which the user's weight is not applied to the seat,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s weight is applied to the seat and the seat is rotated backward by a certain angle. The tilted state is shown by rotating the seat and the back toward the rear.
먼저, 평상시에 사용자가 좌석부(11)에 착석하지 않아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용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바디(20)와 한 쌍의 지지대(30) 및 연결 프레임(40)의 탄성에 의해 좌석부(11)는 수평 상태 또는 약간 후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다.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seated on the
이때, 연결 프레임(40)은 상방으로 갈수록 미리 설정된 각도, 예컨대 약 15°내지 20° 정도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사용자가 좌석부(11)에 착석하면, 좌석부(11)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짐에 따라, 바디(20)와 지지대(30) 및 연결 프레임(40)이 각각 실린더(15)를 중심으로 전측 하방과 후측 하방을 향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이때, 바디(2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블록(22)이 결합 플레이트(17)의 관통공(171) 후단과 접촉됨에 따라, 좌석부(11)의 전방 회전이 방지된다.At this time, as the fixing
반면, 연결 프레임(40)은 바디(20)와 연결 프레임(40)을 축 결합하는 제3 축(43)을 중심으로 후측 하방을 향해 일정 각도, 예컨대 약 5° 내지 10° 정도 회전하고, 이로 인해 좌석부(11)의 후단부도 하방으로 약 5° 내지 10°만큼 회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Along wit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tilting strength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applied to the seat.
한편, 사용자가 좌석부(11)의 후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등받이(13)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좌석부(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축(43)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고, 등받이(13)와 결합된 연결 프레임(40)도 후방을 향해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rear end of the
이때, 지지대(30)는 좌석부(11)의 전단부와 제1 축(31)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방을 향해 회전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과,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사출 성형된 바디와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tilt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in the front-rear direction using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injection-molded body and the connection frame using a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틸팅 동작을 위한 토션바나 스프링 등의 부품을 제거함으로써, 부품 수를 최소화하고,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parts such as torsion bars or springs for til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improving workability during assembly,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또한, 본 발명은 의자용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디자인 측면에서 슬림한 디자인의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assembly for a chair, and can realize a chair assembly of a slim design in terms of desig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과 어셈블리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후방으로 틸팅 동작시키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ssembly for a chair that uses a user's weight and elasticity of the assembly itself to tilt the seat and back to the rear and a chair technology to which the chair is applied.
10: 의자 11: 좌석부
12: 다리부 13: 등받이
14: 의자용 어셈블리 15: 실린더
16: 좌판 17: 결합 플레이트
18: 쿠션 19: 팔걸이
20: 바디 21: 결합통부
22: 고정블록
30: 지지대 31: 제1 축
40: 연결 프레임 41: 결합돌부
42,43: 제2, 제3 축
50: 조절레버 51: 축
60: 록킹부 61: 조작레버
62: 회전 바 63: 연결돌기
64: 결합공 65: 고정볼트10: chair 11: seat
12: leg 13: back
14: chair assembly 15: cylinder
16: Seat plate 17: Combination plate
18: cushion 19: armrest
20: body 21: joint tube
22: Fixed block
30: support 31: first axis
40: connecting frame 41: engaging projection
42,43: 2nd, 3rd axis
50: adjustable lever 51: shaft
60: locking section 61: operating lever
62: rotating bar 63: connecting projection
64: coupling hole 65: fixing bolt
Claims (9)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석부의 하면과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면과 좌석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좌석부의 전후 방향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상기 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곡판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상부에는 등받이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차의 체중과 등받이의 후방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사출 성형되며,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과 상기 지지대 및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틸팅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Body coupled to the upper leg of the chair,
A pair of support formed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and
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frames that are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ody to the rear and upward and are axially coupled to both sides and the seat of the body,
The pair of supports ar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body using a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by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The pair of support is provided with a curved plate having a convex forward surface,
A backres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The connection frame is injection molded using a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so that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by the weight of the used car and the rear rotation of the backrest applied to the seat when the user is seated,
Assembly fo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weight applied to the seat portion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and the connecting frame rotate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to adjust the inclination by adjusting the tilt.
실린더의 상단에 마련된 개폐핀을 하방으로 가압해서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 및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실린더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되는 결합통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절레버는 상기 결합통부의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djustment lev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y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in provided on the top of the cylinder downward and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 and backres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cylinder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is coupled,
The adjustment lever is ax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cylinder portion, the ch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각 지지대의 전단부는 좌석부의 전단부와 제1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에는 좌석부의 후단부와 상기 결합돌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축과,
상기 바디와 결합돌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end of each support is rotatably coupled by the front end of the seat and the first axis,
An upper convex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The engaging protrusion has a second shaft rotatably engaging the rear end of the seat and the engaging protrusion,
The assembly fo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and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는 고정블록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좌석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좌석부의 틸팅 동작시 상기 좌석부의 회전 가능한 거리를 상기 관통공의 전후 방향 폭으로 한정하고, 상기 좌석부의 전방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A fixed block is protruded upward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fixing block protrudes upwar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when a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 portion, the rotatable distance of the seat portion is limited to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and prevents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portion from rotating. Ch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록킹부는 좌석부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부에는 고정블록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 바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동작해서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되어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king portion is a control lever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in a linear reciproc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and
It includes a rotating bar rotat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A fixed block is protruded upward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rotating bar is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and the chair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block to lock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rest.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의 바디와 좌석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대는 좌석부의 전후 방향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상기 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곡판으로 마련되며,
상기 바디의 양측면과 조석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은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좌석부에 가해지는 사용차의 체중과 등받이의 후방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사출 성형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와 바디, 그리고 등받이가 연결된 연결 프레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 및 상기 틸팅 동작을 록킹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Claim 1, claim 2, claim 4, comprising the chair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and 7,
The pair of supports connecting the body of the chair assembl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is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body using a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by rot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and the convex forward surface It is prepared as a curved plate having a
A pair of connecting frames,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tide, respectively,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used car and the rear rotation of the backrest applied to the seat when the user is seated. Injection molding
A chair with an assembly for a chair characterized by locking or releasing the tilting operation and the tilting operation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and the back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nd the body, and the connection frame to which the back is connected. .
상기 좌석부는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의 상면에 틸팅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좌판의 상면과 각 측벽을 커버하는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좌판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좌판 하면에 형성된 경사부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경사부 내부 공간에 한 번의 조작에 의해 결합되거나 상기 경사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가 적용된 의자.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t portion is a seat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y for the chair to enable tilting operation,
The coupling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and
Includes a cush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and each side wall,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seat plate,
The coupling plate is a chair with an assembly for a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deformed and detached from the inclined portion by one operation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lat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6539A KR102130324B1 (en) | 2019-11-15 | 2019-11-15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US16/708,599 US20210145181A1 (en) | 2019-11-15 | 2019-12-10 | Assembly for chair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6539A KR102130324B1 (en) | 2019-11-15 | 2019-11-15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30324B1 true KR102130324B1 (en) | 2020-07-06 |
Family
ID=715713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6539A Active KR102130324B1 (en) | 2019-11-15 | 2019-11-15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10145181A1 (en) |
| KR (1) | KR102130324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098335A (en) * | 2021-11-17 | 2022-03-01 | 佛山市顾狄居家具有限公司 | Chair with detachable top |
| KR102545154B1 (en) * | 2023-03-13 | 2023-06-20 | (주)베스툴 | 3D Motion Chair |
| WO2024190974A1 (en) * | 2023-03-13 | 2024-09-19 | (주) 베스툴 | 3d motion chai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475884B (en) * | 2021-08-12 | 2022-08-12 | 浙江安吉荣艺家具有限公司 | Comfortable adjustable ergonomic office chair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98686B1 (en) * | 2013-10-10 | 2014-05-27 | 주식회사 시디즈 | Tilting type chair |
| KR101412406B1 (en) | 2012-12-27 | 2014-06-27 | 김우학 | Chair that applied frame type |
| KR101426546B1 (en) | 2014-06-11 | 2014-08-14 |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 Tilting chair |
| KR101653584B1 (en) * | 2016-03-28 | 2016-09-02 | 주식회사 코아스 | Chair |
| KR101791106B1 (en) * | 2016-06-21 | 2017-10-27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902770B1 (en) | 2018-03-12 | 2018-10-0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915009B1 (en) * | 2018-03-26 | 2018-11-06 | 부호체어원(주) | Seat with detachable changing plate for chair |
| KR101960336B1 (en) | 2018-12-05 | 2019-03-20 | 유한회사 애니체 | torsion bar spring assembly for tilting apparatus of chair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6539A patent/KR102130324B1/en active Active
- 2019-12-10 US US16/708,599 patent/US2021014518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2406B1 (en) | 2012-12-27 | 2014-06-27 | 김우학 | Chair that applied frame type |
| KR101398686B1 (en) * | 2013-10-10 | 2014-05-27 | 주식회사 시디즈 | Tilting type chair |
| KR101426546B1 (en) | 2014-06-11 | 2014-08-14 |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 Tilting chair |
| KR101653584B1 (en) * | 2016-03-28 | 2016-09-02 | 주식회사 코아스 | Chair |
| KR101791106B1 (en) * | 2016-06-21 | 2017-10-27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902770B1 (en) | 2018-03-12 | 2018-10-0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915009B1 (en) * | 2018-03-26 | 2018-11-06 | 부호체어원(주) | Seat with detachable changing plate for chair |
| KR101960336B1 (en) | 2018-12-05 | 2019-03-20 | 유한회사 애니체 | torsion bar spring assembly for tilting apparatus of chair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098335A (en) * | 2021-11-17 | 2022-03-01 | 佛山市顾狄居家具有限公司 | Chair with detachable top |
| CN114098335B (en) * | 2021-11-17 | 2024-01-19 | 安吉合萱家居有限公司 | Chair |
| KR102545154B1 (en) * | 2023-03-13 | 2023-06-20 | (주)베스툴 | 3D Motion Chair |
| WO2024190974A1 (en) * | 2023-03-13 | 2024-09-19 | (주) 베스툴 | 3d motion chai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210145181A1 (en) | 2021-05-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30324B1 (en)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 CN101277632B (en) | Chair | |
| EP2347679B1 (en) | Chair | |
| US9414684B2 (en) | Tilting type chair | |
| US6722735B2 (en) | Chair with synchronously moving seat and seat back | |
| WO2014061299A1 (en) | Chair | |
| JPH0591931A (en) | Shell structure in chair having synchronously operated back and seat | |
| ITMI20012248A1 (en) | BACKREST OF A CHAIR | |
| JP5538817B2 (en) | Rocking chair | |
| JP4183084B2 (en) | Chair and its back | |
| JP2019216860A (en) | Chair | |
| JP2013132402A (en) | Chair | |
| JP5358821B2 (en) | Chair | |
| JPH10179313A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back rest of chair | |
| JP2014210206A (en) | Chair | |
| JP4015674B2 (en) | Chair | |
| KR102193566B1 (en) | Tiltable chair | |
| KR100893156B1 (en) | Chair with backrest | |
| KR102850388B1 (en) | Chair assembly | |
| JP6777281B2 (en) | Chair | |
| KR102866483B1 (en) | Backrest adjustment device and backrest with the same | |
| KR102497164B1 (en) | Chair with backrest module | |
| JP7755252B2 (en) | chair | |
| KR102752347B1 (en) | Office Chair | |
| JP2017169965A (en) | Chai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