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127388B1 -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388B1
KR102127388B1 KR1020130132967A KR20130132967A KR102127388B1 KR 102127388 B1 KR102127388 B1 KR 102127388B1 KR 1020130132967 A KR1020130132967 A KR 1020130132967A KR 20130132967 A KR20130132967 A KR 20130132967A KR 102127388 B1 KR102127388 B1 KR 10212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inet
flange
terminal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1466A (en
Inventor
우세영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88B1/en
Priority to CN201410598978.2A priority patent/CN104611888B/en
Priority to EP14191494.5A priority patent/EP2868796B1/en
Priority to US14/532,200 priority patent/US9590372B2/en
Publication of KR2015005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와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 커넥터,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를 받는 제어대상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connector fixed to a cabine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vided in a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led by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device connect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or, wherein the device connector includes at least two of an X-axis direction and a Y-axis direction forming a plane parallel to the cross-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and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It relates to a connector that can move along the direction of the dog.

Description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Connector and clothing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onnector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의 전송이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power 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and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onnector.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와 같은 세탁대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장치, 또는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도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or drying a laundry object, such as clothes, or a device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On the other hand,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laundry objects has also been spread.

최근 들어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각종 장치의 심미적인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도 심미적 기능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Recently, the aesthetic functions of various devices including clothing processing devices have been highlighted. In the apparel processing device, research on design is actively underway to highlight aesthetic functions.

예를 들면 종래에는 컨트롤패널이 캐비닛에 고정되어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자인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 회전하는 도어에 컨트롤패널을 구비시킨 의류처리장치가 늘어나는 추세이다.For example, in the past, the control panel was fixedly installed in the cabinet, but recently, in order to pursue design diversity, the number of clothes handling devices equipped with a control panel on a rotating door is increasing.

또한, 컨트롤패널과 같이 도어에 구비되며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전자장치들이 설치되는 경우도 늘어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electronic devices that are provided on the door and which require power supply is installed, such as a control panel, is also increasing.

컨트롤패널을 비롯한 전자장치들이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를 도어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에 연결하여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와이어나 케이블 같은 연결장치가 필요하다.When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control panel are provided in the door,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garment processing device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side the door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or to transmit data. Connection devices such as wires or cables are required.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본체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나 정보전달장치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거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장치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에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심미감을 떨어뜨리거나 조립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 connecting device that connects the power supply device o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or is rotatably fixed to the main body reduces or aesthetics. There was a problem inhibiting sex.

나아가,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의 좌측이나 우측에 힌지가 구비될 경우, Furthermore, when the hinge i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종래에는 이러한 전원연결장치 또는 정보전달장치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고 전원선 또는 통신선의 연결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asten such a power connection device or a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the power line or communication line is inconvenient.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본체에서 분리된 장치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main body (cabinet) wit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devic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향 변경이 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본체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door capable of changing a rotation dir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door wit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or.

본 발명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출력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전력과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캐비닛 커넥터;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연결하는 도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for entering laundry; A clothes receiving unit storing laundry objects flowing through the inlet; A door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hinge part rotatably coupling the door frame to the cabinet, and a door provided with the door frame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or outputting control information; A cabinet connector provided in the cabine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control signals; It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cabinet connector, the do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panel to the cabinet connector; includes, the door connector i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 parallel plane to the end face of the cabinet connector, Provided is a clothes handling device movable along at least two directions of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ross 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캐비닛 단자(cabinet 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단자에 연결시키고,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상기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패널 단자(Panel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connector is fixed to the cabinet, and includes a cabinet terminal (cabinet terminal)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the door connecto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Connector body fixed to the hinge portion, including; A panel terminal detachably provided on the cabinet terminal to connect the control panel to the cabinet terminal, and movable in at least two directions of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 the receiving groove (Panel terminal); may include.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connector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support portion elastically supporting the panel terminal along the Z-axis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he panel terminal is a second support for movably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상기 캐비닛 단자는 소켓으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단자는 플러그로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socket, and the panel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plug.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단자가 수용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 상기 경사면이 결합되도록 상기 캐비닛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단자를 상기 캐비닛 단자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wherein the cabinet connector is fixed to the cabinet to accommodate the cabinet terminal; A guider provided in the cabinet connector body to guide the inclined surface to guide the panel terminal to the cabine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패널 단자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는 단자 바디; 상기 단자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 상기 단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단자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Flanges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body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terminal,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via a wire;.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가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is a fix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lang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It may includ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lange and the flange is supported.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Z축 방향(상기 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단자 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플랜지 가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이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further includes a flange guider protruding toward the terminal bod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depth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lange guider. It may protrude further from the flange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which the flange is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and the dep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moves along the Y 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t may be provided as long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와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 커넥터;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를 받는 제어대상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connector fixed to a cabine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device connector provided on a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led by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connector, wherein the device connector is parallel to a cross 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A connector movable along at least two directions of an X-axis direction and a Y-axis direction forming a plane, and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ross 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may be provided.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캐비닛 단자(cabinet terminal);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커넥터는 수용홈이 구비된 커넥터 바디;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상기 캐비닛 단자에 연결시키며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상기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장치 단자;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connector includes a cabinet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and is fixedly provided in the cabinet. A connector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A device terminal detachably provided on the cabinet terminal to connect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the cabinet terminal and movable in at least two directions among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 the receiving groove ; A first support unit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o elastically support the device terminal along the Z-axis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terminal supporting the device to be movable along at least one of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상기 캐비닛 단자는 소켓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 단자는 플러그로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socket, and the device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plug.

상기 플러그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부에 지지되는 플랜지;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단자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body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langes provided on opposite ends of the plug body and suppor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t is provided on the plug body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ocket,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wire;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플러그 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가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플랜지 가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플랜지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further includes a flange guid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plug body along the Z-axis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flang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The fixed portion, the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lange, the flange is supported; includes,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the flange And a flange receiving groove protruding from the guider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which the flange is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inside the flange receiving groove, and the dep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moves along the Y-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t may be provided as long as possible.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본체에서 분리된 장치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n effect of provi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main body (cabinet) wit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a devic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향 변경이 가능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전자장치를 본체에 구비된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n effect of providing a door capable of changing a rotation dir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door with 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the connector.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 및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프론트패널과 캐비닛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어 커넥터(장치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hinge portion and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6 and 7 show the front panel and the cabinet connector provided i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8, 9, 10 and 11 show the door connector (device connecto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13)가 구비된 본체(1,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투입구(1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3),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구(13)를 개폐하며 컨트롤패널(53)이 구비된 도어(5)를 포함한다.1 and 2,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nd is provided inside a main body (1,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13, inside a cabinet and supplied through the inlet 13 It includes a door (5)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53)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3) provided rotatably in the clothes receiving part (3) and the cabinet (1) in which laundry objects are stored.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이 구비되고, 투입구(13)는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여 의류수용부(3)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13)를 통해 의류수용부(3)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의류수용부(3)에 저장된 세탁대상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도 있다.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11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inlet 13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panel 11 and communicate with the clothes receiving unit 3. .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the laundry object to the clothes receiving part 3 through the inlet 13, and the laundry object stored in the clothes receiving part 3 may be taken out of the cabinet 1.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I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rying only,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3 may be provided only with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이 경우, 드럼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며, 히터와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열풍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drum is rotated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tor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hot air is supplied by an air supply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heater and a fan.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의류수용부(3)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미도시)으로 구비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washing only, the clothes receiving unit 3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 tub (not shown) in which washing water is stored, and is rotatable inside the tub. It will be provided as a drum (not shown) in which laundry is stored.

드럼은 터브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며, 터브는 캐비닛(1)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과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장치(미도시)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게 된다.The drum is rotated by a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ub, and the tub is supplied with washing water through a water source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a water supply device (not shown) connecting the tub. do.

한편,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배수장치(미도시)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Meanwhile,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a drainage devi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대상물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된다면, 의류수용부(3)는 터브 및 드럼으로 구비되고, 캐비닛(1) 내부에는 구동장치, 열풍공급장치, 급수장치 및 배수장치가 모두 구비될 것이다.I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device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both laundry objects, the clothing receiving part 3 is provided with a tub and a drum, and a driving device and a hot air supply device a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 Water supply and drainage will be provided.

상술한 구동장치, 열풍공급장치, 급수장치, 배수장치를 비롯한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자장치들은 전력공급장치(전원, 19, 도 6 참고)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력공급장치(19)는 정보처리장치(컨트롤러, 18, 도 6 참고)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각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cabinet 1,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driving device, hot air supply device, water supply device, and drainage device, ar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device (power source, see FIG. 6, FIG. 6). The power supply device 19 supplies power to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ler, 18, see FIG. 6 ).

전력공급장치(19)를 비롯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전자장치들은 정보처리장치(18)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power supply device 19 ar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each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function set by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do.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는 투입구(13)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2, the door 5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3).

도어(5)는 컨트롤패널(53)이 구비되는 도어프레임(51), 도어프레임(51)을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부(55)를 포함한다.The door 5 includes a door frame 51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53 and a hinge portion 55 rotatably fixing the door frame 51 to the cabinet 1.

컨트롤패널(53, 제어대상장치)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이다. 즉, 컨트롤패널(53)은 전력공급장치(1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교환이 요구되는 전자장치이다.The control panel 53 (control target device) is not only a means for a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to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but also a means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user. That is, the control panel 53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not only needs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9 but also needs to exchange data and control signals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과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19) 및 정보처리장치(1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커넥터, C)이 필요한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panel 53 provided in the door 5 and the power supply device 19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connector C). This is necessary, bu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51)은 아우터프레임(511) 및 인너프레임(515)으로 구비될 수 있다.3, the door frame 51 may be provided as an outer frame 511 and an inner frame 515.

인너프레임(515)은 프론트패널(11)에 접촉하는 도어(5)의 일면을 형성하는데, 인너프레임(515)에는 인너프레임(515)을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516)이 구비된다.The inner frame 515 forms one surface of the door 5 that contacts the front panel 11, and the inner frame 515 is provided with a frame through hole 516 penetrating the inner frame 515.

아우터프레임(511)은 인너프레임(515)과 결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 일부를 형성하며, 컨트롤패널(53, 도 1 참고)은 아우터프레임(511)에 고정된다.The outer frame 511 is combined with the inner frame 515 to form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 panel 53 (see FIG. 1) is fixed to the outer frame 511.

아우터프레임(511)에는 도어글래스(52)가 고정되는데, 도어글래스(52)는 프레임 관통홀(516)을 통해 투입구(13)에 삽입된다. 도어글래스(52)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glass 52 is fixed to the outer frame 511, and the door glass 52 is inserted into the inlet 13 through the frame through-hole 516. The door glass 52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아우터프레임(511)에는 힌지부(55)가 결합되는 안착면(5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면(512)은 아우터프레임(5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에도 고정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51)의 우측에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er frame 511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512 to which the hinge portion 55 is coupled, and the seating surfaces 512 may b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outer frame 511, respectively. This is to enable the hinge portion 55 to be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door frame 51 and also to the right side of the door frame 51.

한편, 힌지부(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좌우대칭 및 상하대칭)인 경우, 아우터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과 아우터프레임의 왼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프레임(511) 내부에 위치한 임의의 기준점 지나는 직선에 대한 선대칭(axial symmetry)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hinge portion 55 is completely symmetrical (left and right symmetry and up and down symmetry),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51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uter frame and the seating surface 51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outer frame The shape may be provided to be axial symmetry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any reference point located inside the door frame 511.

그러나, 힌지부(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이 아니라면, 아우터프레임의 오른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과 아우터프레임의 왼쪽에 위치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프레임(511) 내부에 위치한 임의의 기준점에 대한 점대칭(point symmetry)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However, if the shape of the hinge portion 55 is not completely symmetrical,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512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uter frame and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51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outer frame are the door frame 511. It may be provided to be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any reference point located therein.

즉, 하나의 안착면의 형상은 다른 하나의 안착면이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된 임의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of one seating surfac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other seating surface is rotated 180 degrees based on an arbitrary reference point provided in the door frame.

도 3은 안착면(512)이 도어글래스(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이 경우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입구(13)의 중심점이 도어프레임(51)에 투영된 투영점(P)을 기준으로 점대칭이 되도록 구비된다.3 shows a case where the seating surface 512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door glass 5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 this case, the shape of each seating surface 512 has the center point of the inlet 13 at the door frame ( It is provided to be point-symmetrical based on the projection point P projected on 51).

즉, 도어의 좌측에 구비된 안착면(512)의 형상은 도어의 우측에 구비된 안착면(512)이 상기 투영점(P)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51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in which the seating surface 512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oor is rotated 180 degrees based on the projection point P.

상술한 안착면(512)의 형상에 관한 특징은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투입구(13)를 개폐하는 도어(5)의 회전방향을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bove-described feature of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512 is to enable the hinge portion 55 to be coupl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frame 51,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3 This is to set the rotation direction of (5) differently.

한편, 힌지부(55)는 캐비닛(1)에 고정되는 힌지바디(555), 힌지바디(555)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며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암(556a, 556b)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portion 55 is provided with a hinge body 555 fixed to the cabinet 1, protruding from the hinge body 555, and the hinge arms 556a, 556b to which the door frame 51 is rotatably coupled It is provided.

힌지바디(555)에는 후술할 커넥터(C)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wire)가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더 고정홈(555a, 도 4 참고) 또는 가이더 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된다.The hinge body 555 is provided with a guider fixing groove 555a (see FIG. 4) or a guider through-hole (not shown) that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 wire passes through, as well as a connector C to be described later.

힌지바디(555)는 상하좌우가 대칭이 되는 형상(예: 사각형상의 판(board))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힌지바디(555)의 일면이 투입구(13)의 원주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hinge body 555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e symmetrical (for example, a rectangular board), and concave so that one surface of the hinge body 55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13 It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힌지암은 가이더 고정홈(555a)의 상부에 위치된 제1암(556a)과 가이더 고정홈(555a)의 하부에 위치된 제2암(556b)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hinge arm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arm 556a positioned above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and a second arm 556b positioned below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이 경우, 상기 가이더 고정홈(555a)은 제1암(556a)과 제2암(556b)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암(556a)과 제2암(556b)은 상기 가이더 고정홈(555a)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arm 556a and the second arm 556b. That is, the first arm 556a and the second arm 556b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about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각 암(556a, 556b)은 휨 없이 힌지바디(555)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바디(555)에서 연장된 뒤 도어(5)가 투입구(13)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Each arm 556a, 556b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hinge body 555 without bending, and the door 5 opens the inlet 13 after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555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do so, it may be bent toward the direction of rotation.

힌지바디(5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상하좌우 대칭)으로 구비되고, 각 암(556a, 556b)이 휨 없이 구비될 경우, 앞서 설명한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영점(P)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선대칭이 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When the shape of the hinge body 555 is provided with complete symmetry (up, down, left, and right symmetry), and each arm 556a, 556b is provided without bending, the shape of each seating surface 512 described above is the projection point P It may be provided to be line-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ssing vertical line.

그러나, 힌지바디(555)의 형상이 완전한 대칭을 형성하지 못하거나, 각 암(556a, 556b)이 휜 형상인 경우, 각 안착면(512)의 형상은 투영점(P)에 대해 점대칭이 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hinge body 555 does not form a complete symmetry, or when each of the arms 556a, 556b is a curved shape, the shape of each seating surface 512 is point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point P It should be equipped.

각 암(556a, 556b)에는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556c)가 구비된다.Each arm 556a, 556b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556c to which the door frame 51 is rotatably coupled.

각 암(556a, 556b)에 구비된 돌기(556c)는 안착면(512)에 구비된 돌기수용홈(미도시)을 통해 도어프레임(51)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돌기(556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서포터(551) 및 서포터 커버(553)를 통해 도어프레임(51)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projections 556c provided on each of the arms 556a and 556b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51 through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not shown)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512, but the projections 556c are shown in the drawing. As shown, it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51 through the hinge supporter 551 and the supporter cover 553.

힌지 서포터(551)는 안착면(512)에 고정되며 돌기(556c)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부(5511)를 포함한다. 서포터 커버(553)는 힌지 서포터(551)에 결합하여 돌기(556c)가 돌기 수용부(55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hinge supporter 551 is fixed to the seating surface 512 and includes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5511 in which the protrusion 556c is accommodated. The supporter cover 553 is coupled to the hinge supporter 551 to prevent the protrusion 556c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5511.

서포터 커버(553)에는 힌지암(556a, 556b)이 관통하는 커버 암 수용홈(553a), 후술할 와이어 가이더(73)가 관통하는 커버 가이더 수용홈(553b)이 구비된다.The supporter cover 553 is provided with cover arm accommodating grooves 553a through which the hinge arms 556a and 556b penetrate, and cover guider accommodating grooves 553b through which the wire guider 73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이 경우, 인너프레임(515)에는 힌지암(556a, 556b)이 관통하는 암 수용홈(517), 와이어 가이더(73)가 관통하는 가이더 수용홈(518)이 구비된다. 힌지암(556a, 556b) 및 와이어 가이더(73)에 의해 도어(5)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inner frame 515 is provided with arm guide grooves 517 through which the hinge arms 556a and 556b penetrate, and guide guide grooves 518 through which the wire guider 73 penetrates. This is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door 5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hinge arms 556a, 556b and the wire guider 73.

한편, 상기 암 수용홈(517)과 가이더 수용홈(518)은 인너프레임(515)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힌지부(55)가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은 물론 우측에도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arm receiving groove 517 and the guider receiving groove 518 are preferably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inner frame 515, respectively. This is to enable the hinge portion 55 to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as well as the left side of the door frame 51.

다만, 도어(5)의 심미감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는 암 수용홈(517)과 가이더 수용홈(518)에는 수용홈 커버(519, 도 2 참고)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aesthetic sense of the door 5 from being inhibited, the receiving groove cover 519 (refer to FIG. 2) is provided in the arm receiving groove 517 and the guider receiving groove 518 in which the hinge portion 55 is not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ixed detachabl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55)는 도어프레임(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안착면(512) 중 어디에나 고정될 수 있는데, 두 개의 안착면(512) 중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는 안착면(512)에는 안착면 커버(513)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nge portion 55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any of the seating surfaces 512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door frame 51, respectively, and the hinge portion of the two seating surfaces 512 A seating surface cover 513 may be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512 on which the 55 is not provided.

서포터 커버(553)에 의한 인너프레임(515)과 아우터프레임(511) 사이의 간격을 안착면 커버(513)가 보상함으로써 아우터프레임(511)과 인너프레임(51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the outer frame 511 and the inner frame 515 by the seating surface cover 513 compensating for the gap between the inner frame 515 and the outer frame 511 by the supporter cover 553. .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55)는 제1암(556a)과 제2암(556b) 사이에 구비되어 도어프레임(5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5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inge part 55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haft 557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m 556a and the second arm 556b so that the door frame 51 is rotatably supported. .

도어프레임(51)은 힌지암(556a, 556b)에 구비된 돌기(556c)만으로도 힌지바디(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557)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The door frame 5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ody 55 with only the projections 556c provided on the hinge arms 556a and 556b, so the rotation shaft 557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힌지부(55)에 회전축(557)이 더 구비되면 도어프레임(51)과 힌지바디(555)의 결합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고, 회전축(557)에 탄성부재나 각도조절부대를 구비시키면 도어프레임(51)의 회전속도 조절이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However, if the rotating shaft 557 is further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55, the door frame 51 and the hinge body 555 can be more firmly coupled, and if the rotating shaft 557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or an angle adjusting uni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ffect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r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frame 51.

힌지부(55)에 회전축(557)이 더 구비될 경우, 각 암(556a, 556b)에는 회전축(557)이 수용되는 축수용부(556d)가 더 구비되고, 아우터프레임(511)에는 힌지 서포터(55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557)이 수용되는 축지지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rotary shaft 557 is further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55, the shaft 57d for receiving the rotary shaft 557 is further provided on each arm 556a, 556b, and the hinge supporter is provided on the outer frame 511. A shaft support portion 514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557 is accommodated may be further included through 55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수용부(556d)는 제1암(556a)과 제2암(556b)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회전축(557)은 각 축수용부(556d)에 삽입되어 힌지바디(551)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water receiving portion 556d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rst arm 556a and the second arm 556b, and the rotating shaft 557 is inserted into each water receiving portion 556d It is fixed to the hinge body (551).

상술한 회전축(557) 및 축지지부(514) 역시 힌지서 포터(551)와 서포터 커버(553)가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한다.The rotation shaft 557 and the shaft support 514 described above are also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hinge porter 551 and the supporter cover 553.

나아가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51)을 프론트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57 for detachably coupling the door frame 51 to the front panel 11.

상기 잠금부(57)는 가이더 수용홈(518)에 고정되는 후크(571, 도 3 참고),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후크 체결부(573, 도 5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57 is a hook (571, see FIG. 3) fixed to the guider receiving groove 518, i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1, the hook fastening portion (573, see FIG. 5) is detachably received ).

이 경우, 후크(571)는 인너프레임(515)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가이더 수용홈(518) 중 힌지부(55)가 구비되지 않은 가이더 수용홈(518)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가이더 수용홈(518)에 수용홈 커버(519)가 구비될 경우, 후크(571)는 수용홈 커버(519)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hook 571 is located in the guider receiving groove 518 in which the hinge portion 55 is not provided among the guider receiving grooves 518 provided at both opposite ends of the inner frame 515. However, when the receiving groove cover 519 is provided in the guider receiving groove 518, the hook 571 will b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cover 519.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53)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컨트롤패널(53)에는 제어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 및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anel 53 is not only a means for a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to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but also a means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user. Accordingly, the control panel 53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on which control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 of control commands.

컨트롤패널(53)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컨트롤패널(53)은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1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장치(18)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In order for the control panel 53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ntrol panel 53 must not onl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9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but als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and data and control. It should be possible to exchange signals.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이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장치나 정보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C)를 더 포함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C) in which the control panel 53 provided in the door 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vided in the cabinet 1.

본 발명 커넥터(C)는 힌지부(55)에 고정되어 컨트롤패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 프론트패널(11)에 구비되어 전력공급장치 및 정보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캐비닛 커넥터(8, 9)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or (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cured to the hinge part 55 and is provided on the door connector (7, device connector) and front panel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t may be provided with a cabinet connector (8, 9) connected t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커넥터는 투입구(1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커넥터(8) 및 제2커넥터(9)로 구비될 수 있다.5, the cabinet connecto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8 and a second connector 9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inlet 13, respectively.

제1커넥터(8)는 프론트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홀(15)에 구비되어 프론트패널(11)의 노출되고, 제2커넥터(9)는 제2관통홀(17)에 구비되어 프론트패널(11)의 외부에 노출된다.The first connector 8 is provid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5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panel 11 to expose the front panel 11, and the second connector 9 is the second through hole 17 It is provided i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11).

제1관통홀(15)과 제2관통홀(17)은 투입구(13)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The first through hole 15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7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the center point of the inlet 1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8)는 프론트패널(11)의 배면에 제1관통홀(15)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공급장치(19)와 정보처리장치(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캐비닛 단자(87, 89)로 구비될 수 있다.6, the first connector 8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and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through hole 15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It is provided may be provided as a cabinet terminal (87, 89)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device 19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도 6은 상기 캐비닛 단자가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단자(87)와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캐비닛 통신단자(89)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a case where the cabine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binet power terminal 87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9 and a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 89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상기 캐비닛 전력단자(87) 및 캐비닛 통신단자(89)의 형상은 후술할 패널 단자(75, 77)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shape of the cabinet power terminal 87 and the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 89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to be described later.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비닛 단자(87, 89)는 소켓(socket)의 구조로 구비되고, 패널 단자(75, 77)는 플러그(plug)의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cabinet terminals 87 and 89 are provided in a socket structure and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are provided in a plug 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

즉, 캐비닛 전력단자는 전력와이어(C2)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전력소켓(87)으로 구비되고, 캐비닛 통신단자는 통신와이어(C1)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통신소켓(89)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cabinet pow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ower socket 87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9 through the power wire C2, and the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through the communication wire C1. It may be provided as a socket (89).

이 경우, 전력소켓(87)과 통신소켓(89)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높이 방향(제1관통홀의 높이 방향) 또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너비방향(제1관통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socket 87 and the communication socket 89 ar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It may be provided sequentially.

도 6은 전력소켓(87)과 통신소켓(89)이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하부에서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의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ower socket 87 and the communication socket 89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소켓(89)에는 도어 커넥터에 구비된 통신단자 체결부(772, 도 9 참고)가 수용되는 체결부 수용홈(84), 상기 체결부 수용홈(84) 내부에 구비되며 통신와이어(C1)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8)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mmunication socket 89 includes a fastening section receiving groove 84 in which a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section 772 (see FIG. 9) provided in the door connector is accommodated, and the fastening section receiving groove 84 A fixing pin coupling portion 83 provided inside and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through a communication wire C1 may be provided.

전력소켓(87)은 통신소켓(89)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즉, 전력소켓(87) 역시 전력와이어(C2)를 통해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미도시), 상기 고정핀 결합부가 수용되며 도어 커넥터의 전력단자 체결부(752, 도 9 참고)가 수용되는 체결부 수용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ocket 87 is provided with an almost identical structure to the communication socket 89. That is, the power socket 87 is also a fixed pin coupling porti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9 through the power wire C2, the fixing pin coupling portion is accommodated, and the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of the door connector, FIG. 9)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receiving groove (not shown) is accommodated.

한편, 제2관통홀(17)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9)는 제1커넥터(8)의 구조와 동일하다.Meanwhile, the second connector 9 provid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17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or 8.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9)는 제2관통홀(17)을 감싸도록 프론트패널(11)의 배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91), 캐비닛 커넥터 바디(91) 내부에 구비되는 캐비닛 전력단자(97, 전력소켓) 및 캐비닛 통신단자(99, 통신소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second connector 9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connector body 91 and the cabinet connector body 91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to sur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17. It may be provided with a cabinet power terminal (97, power socket) and a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 (99, communication socket) provided.

다만, 제2커넥터(9)는 통신소켓(99)이 캐비닛 커넥터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력소켓(97)은 캐비닛 커넥터 바디(9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However, the second connector 9 should be provided such that the communication socket 99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91 and the power socket 97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abinet connector body 91.

힌지부(55)는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고, 도어 커넥터(7)는 힌지부(55)에 고정되므로 힌지부(55)의 위치변경을 위해서는 힌지바디(555) 및 도어 커넥터(7)가 투영점(P, 도 3)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hinge portion 55 can be fix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frame 51, and the door connector 7 is fixed to the hinge portion 55, so the hinge body is us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55 This is because 555 and the door connector 7 must be rotated 180 degrees relative to the projection point P (FIG. 3).

제2커넥터에 구비된 통신소켓(99) 및 전력소켓(98)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커넥터에 구비된 통신소켓(89) 및 전력소켓(87)과 동일하다.The structures of the communication socket 99 and the power socket 98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are the same as the communication socket 89 and the power socket 87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described above.

한편, 잠금부(57)에 구비되는 후크 체결부(573)는 프론트패널(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573a), 바디(573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후크(571)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후크 수용홈(573b)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fastening portion 573 provided in the locking portion 57 is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body 573a and the body 573a detachably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1, so that the hook 571 is detachable. It may be provided with a hook receiving groove (573b) to be accommoda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73a)는 후크(57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관통홀(15, 17)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부(55)가 제1관통홀(15) 방향에 고정되면 바디(573a)는 제2관통홀(17)을 폐쇄하여 제2커넥터(9)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힌지부(55)가 제2관통홀(17) 방향에 고정되면 바디(573a)는 제1관통홀(15)을 폐쇄하여 제1커넥터(8)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5, the body 573a is provided to close the through holes 15 and 17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oks 571. Therefore, when the hinge portion 55 is fix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15, the body 573a closes the second through hole 17 to prevent the second connector 9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hinge When the branch 55 is fix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17, the body 573a closes the first through hole 15 to prevent the first connector 8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71), 와이어 가이더(73), 패널 단자(장치 단자, 75, 77)를 포함한다.8, the door connector 7 (devic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body 71, a wire guider 73, and a panel terminal (device terminals 75, 77).

커넥터 바디(71)는 힌지바디(555)에 고정되어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9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패널 단자(75, 77)는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되어 컨트롤패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body 71 is fixed to the hinge body 555 to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cabinet connector bodies 81 and 91, and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are provided on the connector body 71 to control the panel 5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따라서, 커넥터 바디(71)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 91)에 삽입되면, 상기 패널 단자(75, 77)는 캐비닛 단자(87, 89, 97, 99)와 연결됨으로써 컨트롤패널(53)이 전력공급장치(19) 및 정보처리장치(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connector body 71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connector bodies 81, 91, the panel terminals 75, 77 are connected to the cabinet terminals 87, 89, 97, 99, so that the control panel 53 is powered. It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ly device 19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와이어 가이더(73)는 커넥터 바디(71)에서 도어(5)를 향해 연장되며 힌지바디(555)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The wire guider 73 extends from the connector body 71 toward the door 5 and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hinge body 555.

커넥터 바디(71)는 와이어 가이더(73)가 힌지바디(555)에 구비된 가이더 고정홈(555a)에 삽입됨으로써 힌지바디(555)에 고정될 수도 있고, 바디고정부를 통해 힌지바디(555)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body 71 may be fixed to the hinge body 555 by inserting the wire guider 73 into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provided in the hinge body 555, or the hinge body 555 through the body fixing part. It can also be fixed to.

상기 바디고정부는 힌지바디(555)에 구비된 슬롯(581) 및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된 슬롯돌기(583)로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fix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slot 581 provided in the hinge body 555 and a slot protrusion 583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7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패널 단자(75, 77)가 수용되는 수용홈(711)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9, the connector body 71 is provid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n accommodating groove 711 in which panel terminals 75 and 77 are accommodated.

수용홈(711)의 내부에는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Z축 방향,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S)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715)가 구비된다.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a flange guider 715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Z-axis directi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face S of the cabinet connector).

플랜지 가이더(715)는 수용홈(711)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플랜지 가이더(715)는 수용홈(711)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lange guider 715 may b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711, and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flange guiders 715 are longitudinal in the receiving groove 711 (X-axis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수용홈(711) 내부에는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 및 플랜지 제2지지부(7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lange portion 719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717 supporting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패널 단자(75, 7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한다(패널 단자에 구비된 플랜지(757, 777)를 지지한다).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supports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so that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can move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the panel terminals are provided) Flanges 757, 777 are supported).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플랜지 제2지지부(717)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패널 단자에 구비된 플랜지(757, 777)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 사이에 형성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717, and the flanges 757 and 777 provided on the panel terminal include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nd the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 717).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수용홈(711)의 바닥면에서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고정부(719a), 고정부(719a)의 끝에서 수용홈(7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719b), 절곡부(719b)의 끝에서 커넥터 바디(7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연장부(719c)로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719a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711.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719b and the end of the bent portion 719b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719a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711 ) May be provided as an extension 719c supporting the.

본 발명에 구비된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절곡부(719b)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패널 단자(75, 77)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지지되는 패널 단자(75, 77)는 캐비닛 커넥터(8, 9)의 단면(S)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Since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719b, it is possible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Accordingly,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supported by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re movabl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 S of the cabinet connectors 8 and 9 (Z-axis direction).

한편, 상술한 플랜지 제1지지부(719)의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플랜지 제1지지부(719)는 다른 구조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flange first support 719 is only an example, so long a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e flange first support 719 may be modified to another structure.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커넥터 바디(71)의 길이방향(X축 방향,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S)의 길이방향)과 커넥터 바디(71)의 너비방향(Y축 방향, 단면(S)의 너비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패널 단자(75, 7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패널 단자(75, 77)를 지지하는 수단이다.The flange second support part 717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X-axis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S of the cabinet connector)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Y-axis direction, the cross-section S). It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so that the panel terminals 75 and 77 can move along th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width direction of.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플랜지 가이더(715)에서 수용홈(7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플랜지 제2지지부(717)에는 패널 단자의 플랜지(757, 777)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717a)이 구비된다.The flange second support part 717 is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711 from the flange guider 715, and the flange second support part 717 accommodates the flange in which the flanges 757 and 777 of the panel terminal are accommodated. The groove 717a is provided.

커넥터 바디(71)의 외주면에는 경사면(713)이 구비되는데, 상기 경사면(713)은 커넥터 바디(71)가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에 삽입될 때 캐비닛 커넥터 바디(81)에 구비된 경사면 가이더(85)에 결합하여 패널 단자(75, 77)가 캐비닛 단자(87, 89, 97, 99)과 결합되는 것을 돕는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71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713,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713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guider provided in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when the connector body 71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connector body 81 ( 85) to help the panel terminals 75, 77 engage the cabinet terminals 87, 89, 97, 99.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에는 수용홈(711)을 커넥터 바디(7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인출부(716)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connector body 71 is provided with a drawer 716 for communicating the receiving groove 711 with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body (71).

상기 인출부(716)는 커넥터 바디(71)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 바디(71)가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withdrawal part 716 may be provided with a hole penetrating the connector body 71,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or body 71 may be cu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It might be.

수용홈(711)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패널 단자는 캐비닛 전력단자(87, 9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전력단자(75), 캐비닛 통신단자(89, 9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통신단자(77)로 구비될 수 있다.The panel terminal which is provided flexibly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nel power terminal 75 and the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s 89 and 99 detachably coupled to the cabinet power terminals 87 and 97. It may be provided as a panel communication terminal (77).

다만, 캐비닛 전력단자(87, 97) 및 캐비닛 통신단자(89, 99)가 소켓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패널 전력단자는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되는 전력플러그(75)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통신단자는 통신소켓(89, 99)에 결합되는 통신플러그(77)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cabinet power terminals (87, 97) and the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s (89, 99)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socket, the panel power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power plug (75) coupled to the power sockets (87, 97). Preferably, the panel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lug 77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sockets 89 and 9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플러그(75)는 수용홈(711)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 전력단자 바디), 커넥터 바디(71)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757), 커넥터 바디(7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전력단자 체결부(752)로 구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power plug 75 is power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power plug body 751 (power terminal body) and the connector body 71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It is provided with a flange 757 which protrudes from the plug body 751 and a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that protrudes from the power plug body 751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onnector body 71. Can be.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하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력단자 체결부(752)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의 상부면에 다수 개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plug body 751 may be provid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a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plug bodies 751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전력단자 체결부(752)는 전력플러그(75)가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될 때 전력소켓(87, 97)에 구비된 체결부 수용홈(84)에 삽입된다.The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receiving groove 84 provided in the power sockets 87 and 97 when the power plug 75 is coupled to the power sockets 87 and 97.

전력단자 체결부(752)에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체결부 바디(754), 체결부 바디(75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 관통홀(753), 체결부 관통홀(753) 내부에 고정되며 패널 전력와이어(W2)를 통해 컨트롤패널(53)에 연결되는 전력선 고정핀(755, 도체)이 구비된다.The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includes a fastening body 754 protruding from the power plug body 751, a fastening through hole 753 provided to penetrate the fastening body 754, and a fastening through hole ( 753) a power line fixing pin (755, conductor) fixed insid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53 through the panel power wire W2 is provided.

전력선 고정핀(755)은 전력단자 체결부(752)가 체결부 수용홈(84)에 삽입된 때 전력와이어(C2)에 연결된 고정핀 결합부(83)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플러그(75)가 전력소켓(87, 97)에 결합되기만 하면 전력선 고정핀(755)이 고정핀 결합부(83)에 연결되므로 전력공급장치(19)와 컨트롤패널(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power line fixing pin 75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pin coupling portion 83 connected to the power wire C2 when the power terminal coupling portion 75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receiving groove 84.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power plug 75 is coupled to the power sockets 87 and 97, the power line fixing pin 755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coupling portion 83, so that the power supply device 19 and the control panel 53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플랜지(757)는 전력 플러그 바디(7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플랜지(757)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The flanges 757 may b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power plug body 751, and the plurality of flanges 757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757)의 너비(L1)는 하나의 플랜지 가이더(715)와 다른 하나의 플랜지 가이더(715) 사이의 거리(L2)보다 작게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0, the width L1 of the flange 757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one flange guider 715 and the other flange guider 715.

따라서, 플랜지 가이더(7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플랜지(757)를 삽입시킴으로써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수용홈(71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수용홈(711) 내부에 위치된 전력 플러그 바디(751)는 플랜지(757)를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 사이의 공간에 삽입시킴으로써 커넥터 바디(71)에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by inserting the flange 757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lange guider 715, the power plug body 751 can move into the receiving groove 711, and the power plug body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 751) may be fixed to the connector body 71 by inserting the flange 757 into the space between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nd the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717.

전력 플러그 바디(751)가 커넥터 바디(71)에 고정되면, 플랜지(757)의 하부면은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지지되고, 플랜지(757)의 상부면은 플랜지 수용홈(717a)에 삽입된다.When the power plug body 751 is fixed to the connector body 71,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757 is supported by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757 is the flange receiving groove 717a Is inserted in.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M1)는 플랜지(757)가 플랜지 수용홈(717a)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M2)는 플랜지(757)가 플랜지 수용홈(717a)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된다.The width (M1)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which the flange 757 is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717a, and the depth M2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the flange 757 receiving the flange Inside the groove 717a, the length is movable along the Y-axis direction.

따라서, 전력플러그(75)는 플랜지 제1지지부(719)에 의해 Z축을 따라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 제2지지부(717)를 통해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ower plug 75 can be moved along the Z axis by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s well as along the X axis and Y axis through the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717.

전력플러그(75)가 X축, Y축 및 Z을 따라 수용홈(71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은 전력플러그(75)를 전력소켓(87)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ower plug 75 is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along the X-axis, Y-axis, and Z, so that the power plug 75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ower socket 87.

모든 기계장치에는 공차(Tolerance)가 존재하는데, 플랜지 제1지지부(719)와 플랜지 제2지지부(717)는 캐비닛 커넥터(8, 9)의 위치나 형상이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에도 도어 커넥터(7, 장치 커넥터)가 캐비닛 커넥터(8, 9)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Tolerances exist in all the mechanical devices, and the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19 and the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717 are provided with a door connector 7 even when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cabinet connectors 8 and 9 is out of tolerance. , Device connector) is a means to be coupled to the cabinet connector (8, 9).

한편,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되는 통신플러그(77)는 상술한 전력플러그(75)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플러그(77)는 수용홈(711) 내부에 위치되는 통신 플러그 바디(771, 통신단자 바디), 통신 플러그 바디(77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777), 통신 플러그 바디(771)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통신단자 체결부(772)로 구비된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plug 77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71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power plug 75 described above. That is, as shown in Figure 9, the communication plug 77 is a communication plug body (771, communication terminal body)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11, the flange provided on both opposite ends of the communication plug body (771), respectively (777), the communication plug body 771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portion 772 is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통신단자 체결부(772) 역시 전력단자 체결부(752)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통신단자 체결부(772)에도 체결부 바디(774), 체결부 관통홀(773), 체결부 관통홀(미도시) 내부에 고정되며 패널 통신 와이어(W1)를 통해 컨트롤패널(53)에 연결되는 통신선 고정핀(775)이 구비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portion 772 is also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power terminal fastening portion 752. That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portion 772 is also fixed to the fastening body 774, fastening through-hole 773, fastening through-hole (not shown) inside the control panel 53 through the panel communication wire (W1) 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line fixing pin (775) connected to.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플러그(77)를 통신소켓(89, 99)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통신선 고정핀(775)이 고정핀 결합부(83)에 연결되므로 정보처리장치(18)와 컨트롤패널(5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communication plug 77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sockets 89 and 99, the communication line fixing pin 775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coupling portion 83, and thu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and the control panel ( 53)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더(73)는 커넥터 바디(71)에서 연장되는 가이더 바디(731), 가이더 바디에 구비되어 와이어(W1, W2)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73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wire guider 73 includes a guider body 731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body 71 and a wire receiving portion 735 provided in the guider body to accommodate the wires W1 and W2. do.

가이더 바디(731)는 가이더 고정홈(555a)을 통해 힌지바디(555)를 관통하게 되며, 가이더 바디(731)의 일단(자유단)은 도어프레임(5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guider body 731 penetrates the hinge body 555 through the guider fixing groove 555a, and one end (free end) of the guider body 731 is located inside the door frame 51.

도어프레임(51)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더 바디(7331)의 일단에는 회전축(557)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축 지지부(7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guider body 731 located inside the door frame 51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haft support 733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557 is accommodated.

상기 와이어 수용부(735)는 커넥터 바디(71)에 구비된 인출부(716)를 통해 수용홈(711)에서 인출된 와이어(W1, W2)를 도어프레임(51)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와이어(W1, W2)는 힌지부(55)에 간섭되지 않고 패널 단자(장치 단자, 75, 77)와 컨트롤패널(53)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wire accommodating part 735 is a means for guiding the wires W1 and W2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711 into the door frame 51 through the drawing part 716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71. Accordingly, the wires W1 and W2 can connect the panel terminals (device terminals, 75 and 77) to the control panel 53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hinge portion 55.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어프레임(51)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곳에나 힌지부(55)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5)의 회전방향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bine the hinge portion 55 i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oor frame 51,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oor 5 can be set as desired.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힌지부(55)를 투입구(13)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곳에 설치하더라도 도어(5)에 구비된 컨트롤패널(53)은 커넥터(C)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정보처리장치(18) 및 전력공급장치(19)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inge portion 55 i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let 13, the control panel 53 provided on the door 5 is a cabinet through the connector (C). (1) I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8 and the power supply device 19 provided therein.

한편, 도어 커넥터(7)는 힌지부(55)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캐비닛 커넥터(8, 9)는 힌지부(55)가 결합 가능한 투입구(13)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힌지부(55)를 프론트패널(11)에 조립할 때 도어 커넥터(7)와 캐비닛 커넥터(8, 9)가 결합되므로 의류처리장치(100)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connector 7 is provided fixed to the hinge portion 55, and the cabinet connectors 8 and 9 ar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inlet 13 to which the hinge portion 55 can be coupled,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hinge portion 55 to the front panel 11, the door connector 7 and the cabinet connectors 8 and 9 are combined, thereby easily assembling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도어 51: 도어프레임 511: 아우터프레임
512: 안착면 513: 안착면 커버 514: 축지지부
515: 인너프레임 517: 암 수용홈 518: 가이더 수용홈
519: 수용홈 커버 52: 도어글래스 53: 컨트롤패널
55: 힌지부 551: 힌지 서포터 5511: 돌기 수용부
553: 서포터 커버 555: 힌지바디 556a, 556b: 힌지암
556c: 돌기 557: 회전축 57: 잠금부
C: 커넥터 7: 도어 커넥터(장치 커넥터)
71: 커넥터 바디 711: 수용홈 715: 플랜지 가이더
716: 인출부 717: 플랜지 제2지지부 719: 플랜지 제1지지부
73: 와이어 가이더 731: 가이더 바디 733: 회전축 지지부
735: 와이어 수용부 75: 전력플러그(패널 전력단자)
751: 전력 플러그 바디(전력단자 바디) 752: 전력단자 체결부
757: 플랜지 77: 통신플러그(패널 통신단자)
771: 통신 플러그 바디(통신단자 바디) 772: 통신단자 체결부
777: 플랜지 8: 제1커넥터 81: 캐비닛 커넥터 바디
87: 전력소켓(캐비닛 전력단자) 89: 통신소켓(캐비닛 통신단자)
5: door 51: door frame 511: outer frame
512: seating surface 513: seating surface cover 514: shaft support
515: Inner frame 517: Female receiving groove 518: Guider receiving groove
519: receiving groove cover 52: door glass 53: control panel
55: hinge portion 551: hinge supporter 5511: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553: supporter cover 555: hinge body 556a, 556b: hinge arm
556c: projection 557: rotating shaft 57: lock
C: Connector 7: Door connector (device connector)
71: connector body 711: receiving groove 715: flange guider
716: withdrawal portion 717: flange second support portion 719: flange first support portion
73: wire guider 731: guider body 733: rotating shaft support
735: wire receiving portion 75: power plug (panel power terminal)
751: power plug body (power terminal body) 752: power terminal fastener
757: Flange 77: Communication plug (panel communication terminal)
771: communication plug body (communication terminal body) 772: communication terminal fastening
777: Flange 8: First connector 81: Cabinet connector body
87: power socket (cabinet power terminal) 89: communication socket (cabinet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5)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대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도어프레임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제어정보가 출력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 도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전력과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캐비닛 커넥터;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연결하는 도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전력과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캐비닛 단자(cabinet terminal);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상기 캐비닛 단자에 연결시키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패널 단자(Panel termin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equipp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laundry is introduced;
A clothes receiving unit storing laundry objects flowing through the inlet;
A door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hinge part rotatably coupling the door frame to the cabinet, a door provided in the door frame and having a control panel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or outputting control information;
A cabinet connector provided in the cabine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control signals;
It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cabinet connector, the doo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ontrol panel to the cabinet connector; includes,
The cabinet connector includes a cabinet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control signals.
The door connector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cabinet terminal to connect the control panel to the cabinet terminal and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 parallel plane to the cross-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to the end surface of the cabinet connector. And a panel terminal movable along at least two of the Z-axis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단자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 커넥터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단자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상기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inet terminal is fixed to the cabinet, a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The door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body fixed to the hinge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The panel terminal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along at least two of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 the receiv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패널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oor connector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anel terminal along the Z-axis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o movably support the panel terminal along at least one of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단자는 소켓으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단자는 플러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abine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ocket,
The panel terminal i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단자가 수용되는 캐비닛 커넥터 바디;
상기 경사면이 결합되도록 상기 캐비닛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 단자를 상기 캐비닛 단자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oor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The cabinet connector
A cabinet connector body fixed to the cabinet to accommodate the cabinet terminals;
And a guider provided on the cabinet connector body to guide the panel terminal to the cabinet terminal so that the inclined surfaces are coup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단자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는 단자 바디;
상기 단자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
상기 단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단자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anel terminal
A terminal body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Flanges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body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Clothing terminal is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terminal,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connected via a wire to the control pane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가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upport
A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toward the flange;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lange and supporting the fl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Z축 방향(상기 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단자 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플랜지 가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이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or body further includes a flange guid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terminal body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dep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flange guider,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lange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s accommod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wid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which the flange is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The dep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provided with a length movable along the Y-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전원공급장치와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 커넥터;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를 받는 제어대상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는, 전력과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캐비닛 단자(cabinet terminal);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 단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상기 캐비닛 단자에 연결시키고,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상기 캐비닛 커넥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한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장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abinet connector fixed to a cabinet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t includes a device connector provided on a control target device under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connector.
The cabinet connector includes a cabinet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power and control signals.
The device connector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cabinet terminal, connects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the cabinet terminal, and forms a plane parallel to the end face of the cabinet connector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 of the cabinet connector. And a device terminal movable along at least two directions of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단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장치 커넥터는, 수용홈이 구비된 커넥터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 단자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상기 Y축 방향, 상기 Z축 방향 중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장치 커넥터는,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수용홈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 단자가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0,
The cabinet terminal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and is fixedly provided in the cabinet,
The devic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The device terminal is movable in at least two of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he device connector,
A first support unit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o elastically support the device terminal along the Z-axis direction; A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to movably support the device terminal along at least one of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단자는 소켓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 단자는 플러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bine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ocket,
The device terminal i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플러그 바디;
상기 플러그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부에 지지되는 플랜지;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단자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g
A plug bod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langes provided on opposite ends of the plug body and suppor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connector provided on the plug body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ocket, and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wi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플러그 바디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가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돌출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플랜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가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플랜지 가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플랜지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or body further includes a flange guider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ward the plug body along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a fix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lang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flange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flange It includes; an extended portion is support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lange receiving groove protruding from the flange guider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너비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수용홈 내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d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which the flange is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with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The depth of the flange receiving groove i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provided with a length movable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
KR1020130132967A 2013-11-04 2013-11-04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tive KR102127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67A KR102127388B1 (en) 2013-11-04 2013-11-04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410598978.2A CN104611888B (en) 2013-11-04 2014-10-30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EP14191494.5A EP2868796B1 (en) 2013-11-04 2014-11-03 Connec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4/532,200 US9590372B2 (en) 2013-11-04 2014-11-04 Connec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67A KR102127388B1 (en) 2013-11-04 2013-11-04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466A KR20150051466A (en) 2015-05-13
KR102127388B1 true KR102127388B1 (en) 2020-06-26

Family

ID=5186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967A Active KR102127388B1 (en) 2013-11-04 2013-11-04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90372B2 (en)
EP (1) EP2868796B1 (en)
KR (1) KR102127388B1 (en)
CN (1) CN1046118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456S1 (en) * 2014-08-05 2016-06-28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USD759913S1 (en) * 2014-08-05 2016-06-21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CN105671866A (en) * 2014-11-17 2016-06-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Roller washing machine front cover and roller washing machine
KR102202721B1 (en) * 2015-02-25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Waching machine
JP1558791S (en) 2015-03-04 2016-09-12
USD767835S1 (en) * 2015-03-0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KR101880083B1 (en) * 2015-07-29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CN105040370B (en) * 2015-07-31 2017-07-07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air of shaft hinge component
JP6543805B2 (en) * 2015-09-07 2019-07-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rum type washing machine
USD826494S1 (en) * 2015-09-18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Dryer
US10294712B2 (en) * 2016-11-14 2019-05-2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assembly
CN110241577B (en) * 2018-03-07 2024-04-30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Hing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O2019192776A1 (en) * 2018-04-02 2019-10-10 Arc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washer-dryer comprising a door
KR102514106B1 (en) * 2019-03-22 2023-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2505098B1 (en) * 2021-01-07 202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Waching machine
US11976406B2 (en) 2021-12-29 2024-05-07 Whirlpool Corporation Floating inner door of a combination washer/dr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7774A1 (en) * 2011-12-16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and a power consumptio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369B2 (en) * 1993-08-30 1998-08-06 矢崎総業株式会社 Panel lock connector
US5941619A (en) * 1997-09-24 1999-08-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of installing
US10001282B2 (en) * 2004-08-27 2018-06-19 Arcelik Anonim Sirketi Household appliance
US7601913B2 (en) * 2005-04-04 2009-10-13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Wire harness fixing device
US7494418B2 (en) * 2005-05-27 2009-02-24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with hinged top box
KR101552353B1 (en) * 2006-10-18 2015-09-10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Cable connection connector for vehicle door
US8299656B2 (en) * 2008-03-12 2012-10-30 Whirlpool Corporation Feature module connection system
US7651368B2 (en) * 2007-01-04 2010-01-26 Whir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an adapter to simultaneously couple multip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7980088B2 (en) * 2007-01-04 2011-07-19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adapter providing a wireless service to remov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
KR101424554B1 (en) * 2007-01-23 2014-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A bidirectional door unit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2107152B1 (en) * 2008-03-31 2014-06-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ical appliance with an improved door mechanism
KR101155004B1 (en) * 2009-12-1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X2013003655A (en) * 2010-10-01 2013-06-28 Modernfold Inc Movable wall panel system with electrical connections.
US8936330B2 (en) * 2010-12-23 2015-01-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820861B2 (en) * 2010-1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20242207A1 (en) * 2011-03-22 2012-09-27 Martin Mershon Connection point for communication device on appliance
CN103166326A (en) * 2011-12-16 2013-06-1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Household appliance
US9212843B2 (en) * 2012-12-03 2015-12-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 bin interface
KR101944361B1 (en) * 2014-01-06 2019-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7774A1 (en) * 2011-12-16 2013-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power supply module and a power consump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0372B2 (en) 2017-03-07
CN104611888B (en) 2016-11-30
CN104611888A (en) 2015-05-13
US20150123523A1 (en) 2015-05-07
KR20150051466A (en) 2015-05-13
EP2868796B1 (en) 2022-01-05
EP2868796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388B1 (en)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58689B1 (en)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88321B1 (en)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612296B2 (en) Appliance door assembly
US1069710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80256984A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Having Position Changeable Controller
US20180340285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875663B1 (en)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02543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CN110205779B (en) Hinge assembly, door assembly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KR2014014265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1048B1 (en) Power line and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EP1979523A1 (en)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CN111455609B (en) Clothes treatment device
KR10215044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R2022020531A1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A CONNECTION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AND MAINS ELECTR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