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75B1 -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5475B1 KR102045475B1 KR1020170182644A KR20170182644A KR102045475B1 KR 102045475 B1 KR102045475 B1 KR 102045475B1 KR 1020170182644 A KR1020170182644 A KR 1020170182644A KR 20170182644 A KR20170182644 A KR 20170182644A KR 102045475 B1 KR102045475 B1 KR 102045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vel
- information
- images
- image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여행지에 따른 유저의 기호를 예측하여 여행 앨범을 제공하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유저 단말로부터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들 및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시간-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각각이 대응하는 여행 장소와 맵핑하여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맵핑된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여행 장소 별로 설정된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류 및 이미지 배열에 관한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이미지 및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들 중 제1 이미지들에 맵핑된 제1 여행 장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들을 편집하기 위해 상기 제1 여행 장소와 대응하는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들의 피사체의 특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들을 분류 및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ravel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ravel destin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a plurality of images including a picture and an image taken from a user terminal and time-lo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the time-location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by mapping the images to respective travel pl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using information, and performing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arrangement editing on the mapped images based on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set for each travel place.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user from the user terminal, selecting at least one main image from among the edited images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a trip including the main image and the edited images. Generating album data and providing the album data to the user terminal; The performing of the editing may include obtaining a first travel place mapped to first ones of the images with reference to the mapp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vel place to edit the first images. Selecting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first images, and classifying and arranging the first images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It further comprises.
Description
본 개시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유저에게 여행 경로에 따른 유저의 기호를 예측하여 촬영된 사진, 영상 등이 분류된 앨범을 제공할 수 있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nd in detail, to a user of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album classified by photographs, images, and the like photographed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ravel route; It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인터넷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여행 장소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검색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을 계획하는 데에 있어서 여행객들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계획을 짤 수 있으나,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 장소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많은 사진, 영상 들의 이미지들을 정리하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수고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place of travel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As a result, travelers can use the information to plan their travels in a convenient way, but it still takes a lot of trouble to organize the images of many pictures and videos taken while moving the travel places according to the travel plans. There was a ham.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저의 단말을통해 유저가 촬영한 이미지들을 여행 장소 별로 분류하고, 편집하여 여행 앨범을 제공함으로써 유저에게 사진 등의 정리에 드는 수고로움을 덜어주기 위한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classify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of the user using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nd to edit and provide a travel album, thereby reducing the trouble of organizing photos and the like to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유저 단말로부터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들 및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시간-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각각이 대응하는 여행 장소와 맵핑하여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맵핑된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여행 장소 별로 설정된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류 및 이미지 배열에 관한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이미지 및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들 중 제1 이미지들에 맵핑된 제1 여행 장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들을 편집하기 위해 상기 제1 여행 장소와 대응하는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들의 피사체의 특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들을 분류 및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images including a picture and video taken from a user terminal and time-position for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mapping the images with the corresponding travel places using the time-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mapping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set for each of the travel places. Performing editing on classification and image arrangement,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user from the user terminal, selecting at least one main image among the edited images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ain image And generating travel album data including the edited images. And providing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performing the editing may include obtaining a first travel place mapped to first ones of the images by referr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and editing the first images. Selecting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vel place, analyzing features of the subjects of the first images,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classifying and arranging one image.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는, 상기 이미지들 중 제2 이미지들에 맵핑된 제2 여행 장소와 대응하는 제2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vel place mapped to the second images of the images.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은 유저가 방문한 여행 장소 별로 촬영된 사진, 영상 등을 분류하고, 또한, 여행 장소에 따라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여행 앨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은 유저에게 촬영하기 좋은 포인트를 유저가 여행하려는 여행 장소에 따라 추천해줄 수 있으며, 미처 방문하지 못한 여행 장소에 대한 이미지들을 선별하여 별도로 여행 앨범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유저에 대한 여행 성취감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tegorizes photographs, videos, and the like taken for each travel place visited by the user, and provides a travel album that can maximize the user's satisfaction by editing images according to the travel place. can do. In addition,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can recommend a good poin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ravel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travel, and by selecting the images of the travel places that have not been visited, and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travel albu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tisfy the sense of travel achievemen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에 포함된 블록들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소 추천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소 추천 모듈에 포함된 블록들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location based album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to 3D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each of blocks included in a user location based album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hotography location recommend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to 5C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each of the block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location recommend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or reduc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as expressly defined herein. .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송수신 정보 인터페이스(110),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120),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 및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여행을 다니면서, 여행 장소에서 유저 단말(101)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영상 등의 이미지들을 여행 장소 별로 분류 및 편집하여여행 앨범을 생성하고, 유저에게 여행 앨범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유저 단말(101)과 통신함으로써, 유저 단말(101)로부터 각각의 유저의 정보(예를 들면, 개인 정보, 시간-위치 정보 등) 및 촬영된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유저의 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여행 장소 별로 분류 및 편집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ravel
송수신 정보 인터페이스(110)는 유저 단말(101)과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간에 교환하는 정보들을 적절하게 배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저 단말(101)로부터 소정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각각의 정보들이 필요한 기능 모듈에 배분할 수 있다. The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120)은 유저 단말(101)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유저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여행 장소 별로 분류되고, 각각의 여행 장소 별 편집 기준에 따라 편집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120)은 송수신 정보 인터페이스(110)를 통해서 생성된 여행 앨범을 유저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제공된 여행 앨범에 대한 유저의 선호여부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유저 단말(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데 이용되는 편집 기준에 반영하기 위하여 이러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축적할 수 있다.The user location-based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은 유저 단말(101)로부터 유저가 여행을 가고자 하는 여행 장소들을 포함하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를 수집하여, 여행 예정 경로 정보에 포함된 여행 장소들에 촬영하기 좋은 포인트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은 유저가 가기로 예정된 여행 장소에서 촬영하기 좋은 경관, 분위기 등을 지니는 포인트들을 나타내는 지도, 위치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유저 단말(101)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유저가 추천된 포인트를 찾을 수 있도록 유저 단말(101)은 지도, 위치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능 또는 음성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은 유저 단말(101)로부터 시간-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시간-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가 방문한 여행 장소들을 판별할 수 있다.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은 판별된 여행 장소들과 여행 예정 경로 정보에 포함된 여행 장소들을 비교하여, 여행 조건의 제약상 유저가 방문하지 못한 여행 장소에 대한 이미지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선별하여 여행 앨범과 함께 유저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은 각각의 유저 단말(101)을 통한 유저들간의 메시징 서비스(Messaging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은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로부터 유저들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서비스 대상 유저들이 모두 메시징 서비스를 원하는 때에, 서비스 대상 유저들에게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은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로부터 매칭된 유저들에게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은 매칭된 유저들이 문자를 주고 받는 텍스팅(texting) 기능 및 서로 각자의 여행지 관련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파일 전송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140)은 여행을 진행 중인 유저로부터 라이브 뷰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반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al time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150)은 유저 단말(101)로부터 촬영된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수집하여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120)이 여행 앨범을 생성하거나, 촬영 장소 추천 모듈(130)이 유저에게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150)은 유저들이 여행지를 여행하며 촬영한 사진, 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들 및 이에 대응하는 제목 또는 문자 컨텐츠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150)은 유저 단말(101)로부터 촬영 완료하여 저장된 이미지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The travel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유저가 방문한 여행 장소 별로 촬영된 사진, 영상 등을 분류하고, 또한, 여행 장소에 따라 다르게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유저의 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여행 앨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은 유저에게 촬영하기 좋은 포인트를 유저가 여행하려는 여행 장소에 따라 추천해줄 수 있으며, 미처 방문하지 못한 여행 장소에 대한 이미지들을 선별하여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유저에 대한 여행 성취감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vel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location based album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201)은 카메라 모듈(201a), GPS 모듈(201b), 시간 관리 모듈(201c), 개인 정보 관리 모듈(201d) 및 어플리케이션(201e)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201e)은 도 1의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1 유저 단말(201)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유저는 제1 유저 단말(201)을 통해 여행 앨범(또는 여행 앨범 데이터, A_D)을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2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1a)은 어플리케이션(201e)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201a)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사진 또는 영상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IMG_D)을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22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GPS 모듈(201b)은 어플리케이션(201e)을 구동할 때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GPS 모듈(201b)은 제1 유저 단말(201)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시간 관리 모듈(201c)은 위치 정보가 생성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GPS 모듈(201b) 및 시간 관리 모듈(201c)로부터 제1 유저 단말(201)의 시간별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위치 정보(TPI)를 생성될 수 있다. 개인 정보 관리 모듈(201d)은 제1 유저 단말(201)의 소유자에 해당하는 제1 유저에 대한 개인 정보(PI)를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정보(PI)는 사전에 제1 유저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201e)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일 수 있다. 개인 정보(PI)는 제1 유저의 성별, 연령, 선호 여행 테마, 여행 인원 및 관계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220)은 이미지-위치 맵핑부(221), 맵핑 위치 기반 이미지 편집부(222) 및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220)은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들(IMG_D), 시간-위치 정보(TPI) 및 개인 정보(PI)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제1 유저가 선호할만한 여행 앨범(A_D)을 생성하여 제1 유저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220)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The user location-based
도 3a 내지 도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모듈에 포함된 블록들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A to 3D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each of blocks included in a user location based album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a를 참조하면, 이미지-위치 맵핑부(221)는 여행 장소 정보 저장부(221a), 이미지-위치 정보 매칭부(221b) 및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행 장소 정보 저장부(221a)는 다수의 카테고리(TPC_1)별로 여행 장소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다수의 카테고리(TPC_1)는 맛집 카테고리, 관람지 카테고리, 풍경지 카테고리, 레져 장소 카테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행지에 따라 더 다양한 카테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TPC_1)별 여행 장소 정보는 각각 여행 장소의 명칭 및 여행 장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맛집 카테고리의 여행 장소 정보(TTPI)는 맛집의 명칭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맛집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맛집 위치 정보는 현재 유저가 맛집에 방문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을 정도의 위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맛집(TT_1)은 제1 위치 범위(TPR_1)에 대응되며, 제n 맛집(TT_n)은 제n 위치 범위(TPR_n)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image-
이미지-위치 정보 매칭부(221b)는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시간-위치 정보(TPI) 및 이미지들(IMG_D)을 이용하여 촬영 시점에 따라 각각을 매칭할 수 있다. 즉, 이미지-위치 정보 매칭부(221b)는 소정의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에 대응되는 시간-위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여행 장소 정보 저장부(221a)에 저장된 카테고리(TPC_1)별 여행 장소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여행 장소를 맵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위치 범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범위와 대응되는 여행 장소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검출된 여행 장소를 이미지와 맵핑시켜, 맵핑 정보(MP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제1 여행 장소(TPR_n)에 대응되는 위치 범위 내에 촬영된 것으로 판별되는 위치 정보들과 각각 매칭된 제1 이미지 그룹(PG_1)을 제1 여행 장소(TPR_n)와 맵핑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그룹(PG_1)은 제1 내지 제n 이미지들(P_1~P_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제n 여행 장소(VPR_n)에 대응되는 위치 범위 내에 촬영된 것으로 판별되는 위치 정보들과 각각 매칭된 제n 이미지 그룹(PG_n)을 제n 여행 장소(VPR_n)와 맵핑할 수 있다. 제n 이미지 그룹(PG_n)은 제n+k 이미지 내지 제n+2k 이미지들(P_n+k~P_n+2k)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location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여행 장소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들이 편집될 수 있도록 유저가 실제로 방문했던 여행 장소를 판별하여, 이미지들을 촬영된 여행 장소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미지-여행 장소 맵핑부(221c)는 분류된 이미지들(IMG_D') 및 맵핑 정보(MPI)를 맵핑 위치 기반 이미지 편집부(222)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image-travel
도 3b를 참조하면, 맵핑 위치 기반 이미지 편집부(222)는 이미지 편집 기준 설정부(222a), 이미지 분석부(222b) 및 이미지 편집부(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 기준 설정부(221a)는 다수의 여행 장소 카테고리(TPC_2)별로 이미지 편집 기준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이미지 편집 기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다수의 여행 장소 카테고리(TPC_2)는 맛집 관련 편집 기준, 관람지 관련 편집 기준, 풍경지 관련 편집 기준 및 레져 장소 관련 편집 기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the mapping position based
이하, 이미지들 중 사진을 편집하는 경우에 여행 장소 카테고리(TPC_2)별로 이미지 편집 기준들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3c를 더 참조한다. 먼저, 맛집 관련 편집 기준에 관한 정보(RI_1)는, 제1 기준으로서 음식 사진 및 취식 사진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과 제2 기준으로서 음식 사진을 모아서 선배열하고, 취식 사진을 모아서 후배열하는 배열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관람지 관련 편집 기준에 관한 정보(RI_2)는, 제1 기준으로서 관람 명소 사진 및 인물 사진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과 제2 기준으로서 관람 명소 사진을 시간 순으로 배열하고 인물 사진을 인물 수 기준으로 배열하는 배열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람 명소 사진을 모아 시간 순으로 먼저 배열하고, 이후, 인물 사진들 중에서 인물 수가 많은 사진을 모아서 배열하며, 나중으로 갈수록 인물 수가 적은(예를 들면, 셀프 카메라 사진)사진을 모아서 배열할 수 있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C for detailed description of image editing criteria for each travel place category TPC_2 when editing a picture among images. First, the information on the restaurant-related editing criteria (RI_1),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classifying food photos and eating photos as a first criterion, and the food storage photos as a second criterion and arranged in advance, the arrangement criteria for collecting and rearranging eating photos It may include. The information on the editing criteria related to the viewing spot (RI_2) is a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classifying viewing spot photos and portrait photos as a first criterion and viewing spot photos as a second criter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portrait photos are arranged by the number of people. May contain array criteria. For example, gather the photos of the attraction spots and arrange them in chronological order first, and then collect and arrange the photos with the highest number of portraits among the portraits, and collect and arrange the photos with the smaller number of portraits (for example, self-portrait photos) later. can do.
풍경지 관련 편집 기준에 관한 정보(RI_3)는, 제1 기준으로서 풍경 사진 및 인물 사진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과 제2 기준으로서 풍경 사진을 시간 순으로 배열하고, 인물 사진을 인물 수 기준으로 배열하는 배열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레져 장소 관련 편집 기준에 관한 정보(RI_4)는, 제1 기준으로서 촬영 시간 또는 촬영 위치에 따라 사진을 분류하는 분류 기준과 제2 기준으로서 사진들을 촬영 시간 순으로 배열하는 배열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프팅(Rafting)과 같은 레져를 체험할 때에, 강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촬영 위치가 소정의 범위 내인 사진들로 분류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레프팅 장소의 시작 위치 범위 내에 포함된 사진, 중간 위치 범위 내에 포함된 사진, 종료 위치 범위 내에 포함된 사진으로 분류될 수 있도록 레져 장소 관련 편집 기준에 관한 정보(RI_4)는 위와 같은 분류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을 기반으로 레프팅 체험의 시작 단계, 중간 단계, 마지막 단계의 사진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번지 점프와 같은 익스트림 레져를 체험할 때에는, 촬영 시간에 따라 사진들이 분류될 수 있는 기준이 이미지 편깁 기준 설정부(222a)에 설정 및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행 장소 별로 사진 또는 영상등에 대한 다양한 편집 기준들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가 이미지 편집 기준 설정부(222a)에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Information (RI_3) relating to the scenery sheet-related editing criteria is a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classifying a landscape photograph and a portrait photograph as a first criterion, and a landscape photograph as a second criter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a portrait photograph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May contain array criteria. The information RI_4 about the leisure place-related editing criterion may include a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classifying photographs according to photographing time or photographing position as a first criterion, and an array criterion for arranging photographs in order of photographing time as a second criterion. . For example, when experiencing a leisure such as rafting, it may be necessary to have a criterion that the shooting position can be classified into photographs that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ecause they move along the river.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leisure place-related editing criteria (RI_4) can be classified into a picture included in the starting position range of the rafting place, a picture contain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range, and a picture contained in the end position range. It may include. Based on these criteria, it can be classified into photographs of the beginning, middle, and last stages of the rafting experience. As another example, when experiencing an extreme leisure such as a bungee jumping, a criterion for classifying pictures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time may be set and set in the image knitting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개인 정보(PI)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여행 장소 별로 편집 기준들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정보(UPD_2)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gain, the personal information PI is received from the
이미지 분석부(222b)는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들을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222b)는 빅데이터를 통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들의 피사체의 종류 및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분석부(222b)는 이미지 속의 인물(사람), 물건(예를 들면, 음식, 건물, 표지판 등), 배경(예를 들면, 산, 바다 등과 같은 풍경)을 판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람의 인원 수 및 제1 유저 단말(201)의 소유자인 제1 유저가 찍힌 사진 또는 영상 및 제1 유저와 같이 여행을 다니는 사람(들)이 찍힌 사진 또는 영상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부(222b)는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시간-위치 정보(TPI)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222b)는 위와 같이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미지 편집부(222c)에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이미지 편집부(222c)는 이미지 편집 기준 설정부(222a)에 저장된 이미지 편집 기준들 및 이미지 분석부(222b)로부터 수신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미지들에 대한 분류 및 배열에 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편집부(222c)는 이미지들에 맵핑된 각 여행 장소를 참조하여 여행 장소에 부합하는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부(222c)는 선택된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분류 및 배열함으로써, 편집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행 앨범 데이터(A_D)를 제1 유저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The
도 3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PI)를 이용하여 도 3b의 이미지 편집부(222c)로부터 편집된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제1 유저 단말(201)로부터 유저의 성별, 연령, 여행 테마, 여행 인원 및 관계에 관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내용(C1, C2, C3)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PI)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개인 정보(PI)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호할만한 이미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메인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성별이 남성이고, 연령은 20대, 선호 여행 테마는 레져, 여행 인원 및 관계는 N명, 친구들인 때에는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레저 장소에 맵핑되고 레저 장소 관련 편집 기준에 맞게 편집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메인 이미지(Sel_MING)로 선택하여 제1 유저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유저가 여행에서 제일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는 추억이 담긴 메인 이미지를 제1 유저의 특성을 기반으로 여행 앨범과 함께 제공하여, 여행 앨범에 대한 만족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D, the main
또한, 제1 유저는 제1 유저 단말(201)을 통해 메인 이미지(Sel_MING)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 정보(FB_a)를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피드백 정보(FB_a)에 기반하여 메인 이미지(Sel_MING)를 확정하거나 재선택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 선택부(223)는 확정된 메인 이미지(Sel_MING)를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2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250)은 메인 이미지(Sel_MING)를 메인 이미지의 인덱스, 메인 이미지가 맵핑된 여행 장소, 메인 이미지에 대응되는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셋(Data set_1)으로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250)을 통해 제1 데이터 셋(Data set_1)으로 관리되는 메인 이미지들은 다른 유저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may receive the main image Sel_MING through th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소 추천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hotography location recommend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장소 추천 모듈(330)은 여행 예정지 촬영 장소 추천부(331), 유저 여행 경로 수집부(332),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 및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소 추천 모듈(330)은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여행 예정지를 포함하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를 수신하고,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에 포함된 여행 예정지에 대응하는 촬영 포인트를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출하여 여행 예정지의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RFPI)를 제2 유저 단말(30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소 추천 모듈(330)은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시간-위치 정보(TPI) 및 개인 정보(PI)를 수신하고, 시간-위치 정보(TPI) 및 개인 정보(PI)를 이용하여 제2 유저가 방문하지 못한 여행 장소 관련 이미지들(IMG_Db)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 장소 추천 모듈(330)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photographing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소 추천 모듈에 포함된 블록들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A to 5C are block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each of the blocks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location recommend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a를 참조하면, 여행 예정지 촬영 포인트 추천부(331)는 촬영 포인트 추출부(33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행 예정지 촬영 포인트 추천부(331)는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여행 예정지를 포함하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를 수신할 수 있다.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는 제2 유저 단말(301)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유저가 여행 전에 가고자 하는 여행 장소들을 설정한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DB)에는 여행 장소 각각에 대응하는 추천 촬영 포인트들이 제2 데이터 셋(Data set_2)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여행 장소(PR_1)는 사진 또는 영상들을 촬영할 때에 촬영 조건이 이상적인 제1 촬영 포인트들(P1_1~P1_j)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n 여행 장소(PR_n)는 사진 또는 영상들을 촬영할 때에 촬영 조건이 이상적인 제n 촬영 포인트들(Pn_1~Pn_h)과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촬영 포인트들은 다른 유저 단말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정리된 결과들일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셋(Data set_2)은 각각의 촬영 포인트들에 대응하는 유저들의 선호 관련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데이터 셋(Data set_2)은 촬영 포인트들 별로 촬영하기에 이상적인 날씨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travel destination photographing
촬영 포인트 추출부(331a)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에 포함된 여행 예정지에 대응하는 촬영 포인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에 제1 여행 장소(PR_1)가 포함된 경우에는, 제1 촬영 포인트들(P1_1~P1_j)을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여행 예정지 촬영 포인트 추천부(331)는 이렇게 추출된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RFPI)를 제2 유저 단말(301)에 제공함으로써, 제2 유저가 추천 촬영 포인트를 참고하여 이상적인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hotographing
도 5b를 참조하면, 유저 여행 경로 수집부(332)는 경로 비교부(3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여행 경로 수집부(332)는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시간-위치 정보(TPI) 및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를 수신할 수 있다. 유저 여행 경로 수집부(332)는 시간-위치 정보(TPI)를 이용하여 제2 유저가 이동한 여행 경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도 3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여행 경로 수집부(332)는 시간-위치 정보(TPI)를 이용하여 제2 유저가 이동한 여행 장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검출된 여행 장소들을 포함하는 여행 경로를 판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the user travel
경로 비교부(332a)는 판별된 여행 경로와 여행 예정 경로 정보(UTRI)를 비교하여 제2 유저가 방문하지 못한 미방문 여행 장소를 판별할 수 있다. 경로 비교부(332a)는 위의 비교 결과(CR)를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에 제공할 수 있다.The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는 유저 정보 매칭부(333a), 이미지 추출부(333b) 및 선호도 카운팅부(333c)를 포함할 수 있다.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는 먼저, 경로 비교부(332a)로부터 수신한 비교 결과(CR)에 포함된 미방문 여행 장소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IMG_Db)를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출하여 제2 유저 단말(301)에 제공할 수 있다. The unvisited place-related
일 실시예로, 유저 정보 매칭부(333a)는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개인 정보(PI_a)를 수신하고, 개인 정보(PI_a)를 이용하여 이미지 추출부(333b)가 미방문 여행 장소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IMG_Db)를 추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유저 정보 매칭부(333a)는 미방문 여행 장소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중 제2 유저의 개인 정보(PI_a)와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유저의 개인 정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IMG_Db)를 추출할 수 있도록 이미지 추출부(333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추출부(333b)는 여행 이미지 관리 모듈(350)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된 제1 데이터 셋(Data set_1')으로부터 이미지(IMG_Db)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셋(Data set_1')은 도 3d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의 인덱스, 메인 이미지가 맵핑된 여행 장소, 메인 이미지에 대응되는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메인 이미지의 선호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예를 들어, 이미지 추출부(333b)는 미방문 여행 장소가 제1 여행 장소(PR_1)에 해당되고, 다른 유저의 개인 정보(PI_1)가 제2 유저의 개인 정보(PI_a)와 기준값 이상으로 유사한 때에는, 제1 메인 이미지(IMG_1)를 추출하여, 제2 유저 단말(301)에 제1 메인 이미지(IMG_1)를 포함하는 이미지(IMG_Db)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제2 유저는 제2 유저 단말(301)를 통해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로부터 수신한 이미지(IMG_Db)에 대한 피드백 정보(FB)를 선호도 카운팅부(333c)에 제공할 수 있다. 선호도 카운팅부(333c)는 피드백 정보(FB)를 참조하여 제2 유저가 선호하는 메인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저가 제1 메인 이미지(IMG_1)를 선호하는 때에는, 선호도 카운팅부(333c)는 제1 데이터 셋(Data set_1')의 제1 메인 이미지(IMG_1)에 대한 선호도를 카운트 업 함으로써 선호도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추출부(333b)는 미방문 여행 장소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중 선호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이미지들(IMG_Db)을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추출하여, 제2 유저 단말(301)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user may provide the
이와 같이,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2 유저에게 여행 조건상에 미처 방문하지 못했던 여행 장소에 대한 이미지를 여행 앨범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여행 성취감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다음 여행을 계획할 때에, 여행 경로를 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to provide the second user with an image of the travel place that could not be visited on the travel condition together with the travel album,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sense of travel achievement, and when planning the next trip, It can help you plan your route.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는 미방문 장소 관련 이미지 제공부(333)로부터 제2 유저 단말(301)에 제공된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유저들에 대한 메시징 대상 정보(SMTI)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징 대상 정보(SMTI)는 유저들 각각의 개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는 제2 유저 단말(301)로부터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유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선택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수락하는 수락 신호(AS) 또는 유저를 선택하지 않고 메시징 서비스를 거절하는 거절 신호(DS)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in one embodiment, the messaging target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는 수락 정보(AS)를 수신한 때에, 선택 메시징 대상 유저 단말(SMT)과 제2 유저 단말(301)간의 메시징 서비스 요청(MR)을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34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340)은 메시징 서비스 요청(MR)에 응답하여 선택 메시징 대상 유저 단말(SMT)과 제2 유저 단말(301)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ssaging target
또한, 일 실시예로,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는 다른 유저 단말들의 시간-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제2 유저의 미방문 여행 장소에 현재 위치하거나, 과거에 위치했던 적어도 하나의 선택 메시징 대상 유저 단말(SMT)을 판별할 수 있다. 메시징 대상 유저 매칭부(334)는 판별된 선택 메시징 대상 유저 단말(SMT)과 제2 유저 단말(301) 간의 메시징 서비스 요청(MR)을 실시간 메시징 관리 모듈(34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messaging target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유저 단말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들 및 유저 단말에 대한 시간-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00).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들을 각각 대응하는 여행 장소와 맵핑한다(S110). 맵핑된 이미지들을 여행 장소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류 및 이미지 배열에 관한 편집을 수행한다(S120).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된 이미지들 중 메인 이미지를 선택한다(S130). 메인 이미지 및 편집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유저 단말에 제공한다(S140).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images and time-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100). The images are mapped to corresponding travel places using time-location information (S110). The mapped images are edited based on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arrangement based on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vel place (S120).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lects the main image of the edited image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S130). The tour album data including the main image and the edited images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140).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유저 단말로부터 여행 예정지를 포함하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S200). 여행 예정 경로 정보에 포함된 여행 예정지에 대응하는 촬영 포인트를 추출하여 여행 예정지의 대응하는 촬영 포인트를 추출하여 여행 예정지의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를 생성한다(S210). 유저 단말에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를 제공한다(S220).Referring to FIG. 7, travel schedule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S200). Extracting the shoo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travel destination included in the travel planned route information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shooting point of the travel destination to generate recommended shooting point information of the travel destination (S210). The recommended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220).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를 참조하면, S200 단계 이후에,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이동한 여행 경로를 판별한다(S230). 판별된 여행 경로와 여행 예정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유저가 방문하지 못한 미방문 여행 장소를 판별한다(S240). 개인 정보 또는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기반으로 미방문 여행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유저 단말에 제공한다(S250).Referring to FIG. 8, after step S200, a travel route of a user is determined using time-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230). The visited travel place that the user has not visited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determined travel route and the travel planned route information (S240).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r the image, the image related to the unvisited travel place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250).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is merely given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유저 단말로부터 촬영된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들 및 상기 유저 단말에 대한 시간-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을 각각이 대응하는 여행 장소와 맵핑하여 맵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맵핑된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여행 장소 별로 설정된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분류 및 이미지 배열에 관한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이미지 및 편집된 상기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여행 앨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여행 예정지를 포함하는 여행 예정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여행 예정 경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여행 예정지에 대응하는 촬영 포인트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여행 예정지의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추천 촬영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시간-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가 이동한 여행 경로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상기 여행 경로와 상기 여행 예정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저가 방문하지 못한 미방문 여행 장소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정보 또는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상기 미방문 여행 장소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들 중 제1 이미지들에 맵핑된 제1 여행 장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들을 편집하기 위해 상기 제1 여행 장소와 대응하는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들의 피사체의 특징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미지들을 분류 및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Receives a plurality of images including photographs and images taken from a user terminal and time-location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and maps the images to corresponding travel places using the time-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information;
Performing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arrangement editing on the mapped images based on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set for each travel place;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lecting at least one main image among the edited images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travel album data including the main image and the edited images to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ravel album providing system,
Receiving travel planned route information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shooting points corresponding to the travel destinations included in the travel planned route information from a database to generate recommended shooting point information of the travel destinations;
Providing the recommended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travel route traveled by the user using the time-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omparing the determined travel route with the scheduled travel route information to determine an unvisited travel place that the user has not visited;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images related to the unvisited travel place from a database based on the preference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or the imag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performing the editing,
The first travel place mapped to the first ones of the images is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mapping information, and 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vel place is selected to edit the first images. Making;
Analyzing a feature of a subject of the first images; And
And classifying and arranging the first images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상기 제1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는,
상기 이미지들 중 제2 이미지들에 맵핑된 제2 여행 장소와 대응하는 제2 이미지 편집 기준 정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image editing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travel place mapped to second ones of the imag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82644A KR102045475B1 (en) | 2017-12-28 | 2017-12-28 |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82644A KR102045475B1 (en) | 2017-12-28 | 2017-12-28 |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0278A KR20190080278A (en) | 2019-07-08 |
| KR102045475B1 true KR102045475B1 (en) | 2019-11-15 |
Family
ID=672567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82644A Active KR102045475B1 (en) | 2017-12-28 | 2017-12-28 |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454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21698B1 (en) * | 2019-12-17 | 2021-11-04 | 주식회사 웨이플러스 | Method for providing travel contents including weighted preference based on user stay |
| KR102835947B1 (en) * | 2022-11-30 | 2025-07-21 | 주식회사 나나리즘 | Personalized travel guide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ravel life-log |
| KR102846731B1 (en) * | 2025-01-24 | 2025-08-14 | (주)엠에스이엔지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rganizing user-customized photo albums and providing printed results by event and perio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171763A1 (en) * | 2009-01-05 | 2010-07-08 | Apple Inc. | Organizing Digital Images Based on Locations of Capture |
| KR20140031496A (en) * | 2012-09-03 | 2014-03-13 | 투어파인더(주) | Travel service server and system for serving travel contents using the same |
| KR20140066940A (en) * | 2012-11-24 | 2014-06-03 | 이기호 |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ravel souvenir based on location with button printing mode |
| KR101468294B1 (en) * | 2013-03-18 | 2014-12-0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lbum based on web services dealing with social information |
| KR101713291B1 (en) * | 2014-11-06 | 2017-03-10 | (주)에이엔티홀딩스 | Method, system,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rip route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2644A patent/KR10204547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0278A (en) | 2019-07-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6745857B2 (en) | Learning device,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 |
| JP4902270B2 (en) | How to assemble a collection of digital images | |
| CN101910936B (en) | Guided Photography Based on User Recommendations Presented by Image Capture Devices | |
| CN103797493B (en) | Smart camera for automatic picture sharing | |
| US8094974B2 (en) | Pictur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icture data management method | |
| US8923570B2 (en) | Automated memory book creation | |
| CN100414545C (en) | Image class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 CN102123231B (en) | Display terminal with image data sharing function, image sharing system and image sharing method for sharing image data | |
| CN101799621B (en) | Shooting method and shooting equipment | |
| KR10190919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ervice based on location | |
| CN107197153B (en) | Shooting method and shooting device for photo | |
| KR102045475B1 (en) | Tour album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our album by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according to a tour lo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CN102685207A (en) | Intelligent photographic method based on cloud service and cloud service equipment | |
| CN108419112B (en) | Streaming media video cataloging method, retrieval method and device based on measurement and control track information | |
| WO202107527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 |
| CN107026966A (en) | A kind of picture shoot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 | |
| CN111680238B (en) | Information shar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US20030212659A1 (en) | Digital data searching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 CN10190805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CN111480168B (en) | Context-based image selection | |
| JP2011257868A (en) | Image server,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 |
| WO202302175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JP5945966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program, server, and image acquisition system | |
| KR101858457B1 (en) | Method for editing image files using gps coordinate information | |
| KR20150132889A (en) | Operation method of a server for generating meeting information to collect the usage logs smartphone, create an event meeting, share and distribut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