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06B1 -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Google Patents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3906B1 KR102003906B1 KR1020170139528A KR20170139528A KR102003906B1 KR 102003906 B1 KR102003906 B1 KR 102003906B1 KR 1020170139528 A KR1020170139528 A KR 1020170139528A KR 20170139528 A KR20170139528 A KR 20170139528A KR 102003906 B1 KR102003906 B1 KR 102003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sensor frame
- stopper
- torque
- r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2 reaction spe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41—One-dimensiona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25J9/101—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using limit-switches, -st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브레이크부의 설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로터리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관절토크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관절토크센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센서 게이지에 의한 휘트스톤 브릿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관절토크센서에 토크가 인가될 때 센서 프레임의 전단 응력에 의한 변형을 과장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유닛의 관절토크센서에 토크가 인가될 때 관절토크센서를 통해 측정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115 : 구동부 117 : 스테이터
118 : 로터 120 : 회전 서포트
125 : 감속기 130 : 출력 링크
135 : 중공축 140 : 브레이크부
141 : 브레이크 디스크 148 : 스토퍼
152 : 스토퍼 구동기 160 : 로터리 센서부
170 : 관절토크센서 171 : 센서 프레임
172 : 센서 프레임 고정 림 173 : 센서 프레임 연결 림
174 : 센서 프레임 연결 빔 177a~177d : 센서 게이지
180 : 베어링
Claims (14)
-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여 입력 토크를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입력 토크를 전달받고 감속시켜 구동 토크를 생성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로부터 구동 토크를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 링크; 및 상기 출력 링크로부터 상기 감속기에 작용하는 반작용 토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지지하는 관절토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토크센서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터와 연결되는 센서 프레임과, 상기 센서 프레임에 배치되는 센서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동심 배치되도록 상기 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전 서포트; 상기 회전 서포트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디스크 허브 및 상기 디스크 허브로부터 돌출되는 디스크 돌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상기 디스크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가동적으로 지지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디스크 돌기의 가동 반경 내외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동심 배치되도록 상기 감속기와, 상기 로터와, 상기 관절토크센서를 관통하여 상기 출력 링크에 결합되는 중공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센서 프레임 고정 림과,
상기 센서 프레임 고정 림과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와 연결되는 센서 프레임 연결 림과,
상기 센서 프레임 고정 림과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프레임 고정 림과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림을 연결하는 센서 프레임 연결 빔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게이지는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빔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빔 및 상기 센서 게이지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은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에 각각 배치되어 휘트스톤 브릿지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은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휘트스톤 브릿지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센서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 중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센서 프레임 연결 빔에 각각 두 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프레임은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빔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빔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연결 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 프레임 연결 림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 대해 상기 스토퍼 구동기에 의한 상기 스토퍼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스토퍼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동기는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스토퍼를 상기 디스크 돌기의 가동 반경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이고,
상기 스토퍼 지지 스프링은 상기 스토퍼 구동기에 대한 전류 공급이 차단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디스크 돌기의 가동 반경 내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그 가장자리 둘레에 상기 디스크 돌기가 접촉하는 곡면형의 접촉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스토퍼의 접촉곡면에 접촉하는 디스크 접촉부가 마련된 디스크 팁부가 구비되되, 상기 디스크 접촉부는 상기 디스크 돌기의 가동 반경이 이루는 원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동심 배치되도록 상기 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전 서포트;
상기 회전 서포트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회전 서포트와 동축 배치되는 엔코더 로터; 및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프레임에 지지되는 로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 유닛.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9528A KR102003906B1 (ko) | 2017-10-25 | 2017-10-25 |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 PCT/KR2018/012737 WO2019083302A1 (ko) | 2017-10-25 | 2018-10-25 | 관절토크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9528A KR102003906B1 (ko) | 2017-10-25 | 2017-10-25 |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6216A KR20190046216A (ko) | 2019-05-07 |
| KR102003906B1 true KR102003906B1 (ko) | 2019-07-25 |
Family
ID=6665592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9528A Active KR102003906B1 (ko) | 2017-10-25 | 2017-10-25 |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039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116527A (zh) * | 2020-01-10 | 2021-07-16 | 重庆金山医疗机器人有限公司 | 手术机器人关节模组、主手模组及主手 |
| KR102425658B1 (ko) | 2021-03-03 | 2022-07-2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듀얼 엔코더 기반의 로봇 관절 토크 측정 시스템 |
| CN113364218B (zh) * | 2021-04-22 | 2024-09-24 | 中科新松有限公司 | 一种关节力矩电机模组及自检测方法 |
| CN115237186B (zh) * | 2021-08-13 | 2025-01-14 |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 旋转驱动装置 |
| CN119312606A (zh) * | 2024-08-15 | 2025-01-14 | 浙江大学 | 一种基于高斯滤波算法的关节弹性体优化设计方法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01261B1 (ko) * | 2012-04-30 | 2013-09-10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공형 모터 및 그를 이용한 로봇 관절구조 |
| CN103471751A (zh) * | 2013-09-26 | 2013-12-25 |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 一种高精度应变式扭矩传感器 |
| JP2016168647A (ja) * | 2015-03-13 | 2016-09-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関節駆動装置およびロボット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2370B1 (ko) * | 2014-03-25 | 2016-06-21 | 주식회사 오토파워 | 로봇 관절 모듈용 브레이크 장치 |
| KR101715222B1 (ko) | 2014-12-31 | 2017-03-1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로봇 동축 관절 유니트 |
-
2017
- 2017-10-25 KR KR1020170139528A patent/KR10200390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01261B1 (ko) * | 2012-04-30 | 2013-09-10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공형 모터 및 그를 이용한 로봇 관절구조 |
| CN103471751A (zh) * | 2013-09-26 | 2013-12-25 |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 一种高精度应变式扭矩传感器 |
| JP2016168647A (ja) * | 2015-03-13 | 2016-09-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関節駆動装置およびロボット装置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대한기계학회 동역학 및 제어부문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대한기계학회. 2016.4., pp168~169*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46216A (ko) | 2019-05-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03906B1 (ko) | 관절토크센서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
| US7743672B2 (en) | Multiple axis load cell controller | |
| CA2587978C (en) | Brake force transducer for electric brakes | |
| EP0579722B1 (en) | Axially compact torque transducer | |
| JP6121351B2 (ja) | 直列弾性アクチュエータの力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のロバスト制御のための構成 | |
| US4099409A (en) | Multi-axis load cell with arcuate flexures | |
| CN101277794B (zh) | 工业机器人 | |
| KR102629855B1 (ko) | 토크 전달 샤프트에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방법 | |
| Tsetserukou et al. | Optical torque sensors for implementation of local impedance control of the arm of humanoid robot | |
| US4865143A (en) | Torque detecting device | |
| KR20000023678A (ko) | 브레이크 마모 측정기구,주행 틈새 조절기구 및 복수의 전자식모터-작동기 램 조립체를 갖춘 전자식 항공기 브레이크 시스템 | |
| JP7319105B2 (ja) | 回転軸構造およびロボット | |
| CN109959359A (zh) | 应变传感器、多轴力传感器及机器人 | |
| JP2009513936A (ja) | 十字形スプリング部材 | |
| JP7379727B2 (ja) | 波動歯車装置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 |
| KR102065572B1 (ko) | 기어박스 토크 측정 시스템 | |
| JP2019190863A (ja) | 回転体の作用力検出装置 | |
| JPH0726882B2 (ja) | トルク測定装置 | |
| JPS582800B2 (ja) | マニピユレ−タ等における作動力検出装置 | |
| US5133216A (en) | Manipulator integral force sensor | |
| KR20200046588A (ko) | 관절토크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관절 유닛 | |
| JPH05223665A (ja) | モータのトルク検出部 | |
| KR102129890B1 (ko) | 스프링 구조 일체형 토크 센서 및 그 구조물 | |
| JP3689439B2 (ja) | 磁気軸受装置 | |
| EP3913344A1 (en) | Bolt-type sensor device, bolt body, wind turbine driving device, wind turbine, and fastening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