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34B1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134B1 KR101876134B1 KR1020170104758A KR20170104758A KR101876134B1 KR 101876134 B1 KR101876134 B1 KR 101876134B1 KR 1020170104758 A KR1020170104758 A KR 1020170104758A KR 20170104758 A KR20170104758 A KR 20170104758A KR 101876134 B1 KR101876134 B1 KR 1018761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data
- users
- user
- collaboration
- management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comprising: identify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all of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at least one user when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is generated from at least one user, And applying the transmitted input data to the collaboration room in real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non-tempor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근래에 들어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서로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미 시장에 출시된 협업 툴 서비스도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on technology that supports multiple users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based on a cloud server, and there are already a variety of collaborative tool services launched on the market.
일 예로서, 채팅 방식에 기반한 협업 툴(예를 들면, 에버노트, 콜라비, 티그리스 등)은 사용자들이 서로 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주로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이 시각적인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As an example, although collaboration tools based on chat methods (eg, Evernote, Colby, Tigris, etc.) provide users with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to each other, There is a lack of real-time sharing of visual content.
다른 예로서, 비주얼 방식에 기반한 협업 툴(예를 들면, 잼보드, 비캔버스 등)이 소개되기도 하였지만, 이들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있는 비주얼 객체에 대한 시각적인 변경 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거나 위의 기능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서 시각적인 변경 사항을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는(즉, 사용자가 체감하는 반응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collaborative tools based on visual methods (e.g., jam board, non-canvas, etc.) have been introduced, but even with these prior arts,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ons If you do not provide the ability to enter visual changes for a given user, or even if the above functionality is provided, there may be some time delay (I.e., the reaction speed experienced by the user is not sufficiently fast).
이에, 본 발명자는,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서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propose a technique for realizing input data associated with a collaboration room in all devices of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in real tim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고,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협업 룸에 대하여 위의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킴으로써, 협업 룸에 적용되는 변경 사항이 협업 중인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서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ve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and when at least one us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generates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The input data is transmitted to all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one user and the input data transmitted in the collaboration room provi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applied in real time, The other purpose is to allow the changes to be applied in real time to all devices of a plurality of collaborating us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comprising: identify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all of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at least one user when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is generated from at least one user, And applying the transmitted input data to the collaboration room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협업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입력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comprising: a collaboration user management unit for specify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The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is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to the devi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at least one user, And an input data management unit for applying the transmitted input data in real time to the collaboration room being provided.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other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서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협업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의 디바이스 각각에서 제공되고 있는 협업 룸이 입력 데이터에 따라 빠르게 업데이트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 data associated with a collaboration room can be applied in real time to all devices of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Therefore, a collaboration room provided by each device of all us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on can be input The effect that the data can be updated quickly according to the data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is achieved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ons can interact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using their own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협업 룸 및 협업 대상 객체가 제공되고 있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협업하고 있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가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llaboration room and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provided through a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collaborating using their ow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inputs drawing data that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a canvas of a collaboration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verall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사용자 디바이스(300) 및 외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면, 통신망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a WiFi-Direct communication,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a Bluetooth communication (for example, Low energy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and the like, at least in par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고,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협업 룸에 대하여 위의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킴으로써, 협업 룸에 적용되는 변경 사항이 협업 중인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서 실시간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서버(400) 내에서 실현되거나 사용자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서버(400)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가상의 협업 룸을 통해 소정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다른 사용자와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받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Nex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언급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공지의 앱 스토어를 운영하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게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협업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객체에 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service delivery syste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 공유 객체 관리부(220),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 공유 객체 관리부(220),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부(260) 및 제어부(27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2, a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는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room)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borativ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300)를 통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의 서비스 화면에서 새로운 협업 룸을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협업 룸에 입장함으로써 협업 룸에 참여할 수 있는데,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는 위와 같이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협업의 주체로서 특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reate a new collaboration room on a service screen of a web page, an application, or the like, provided through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 객체 관리부(220)는,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되거나 업로드된 객체를 해당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 모두에게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가 위의 공유된 객체를 이용하여 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업 또는 공유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이나 사용자 디바이스(300)가 저장하고 있거나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문자, 부호, 음성, 음향, 그림, 사진,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객체는, 예를 들면, 텍스트, 드로잉,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하이퍼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jects to be collaborative or shared include characters and code that are stored i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 객체 관리부(220)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 노드 제이에스(Node.js) 등 공지의 기술에 기반하여 협업 룸을 구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협업 룸을 구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 반드시 상기 열거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협업 룸 및 협업 대상 객체가 제공되고 있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collaboration room and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provided through a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명의 사용자(도 3의 Guest 1, 3, 4, 7, 5 및 8)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웹페이지 형식으로 제공되는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3, multiple users (
도 3을 참조하면,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5명의 사용자 각각은, 협업 룸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입력 도구나 드로잉 도구를 이용하여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자신이 원하는 텍스트(310) 또는 드로잉(320)을 입력할 수 있고,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직접적으로 표시되는 이미지(330)를 삽입할 수 있고, 협업 룸 상에 소정의 텍스트를 담고 있는 메모 박스(340)를 삽입할 수 있고,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파일, 비디오, 오디오 등의 대용량 객체에 대한 하이퍼링크(350)를 삽입할 수 있고,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다른 사용자와 의사소통할 수 있는 채팅창(360)을 호출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each of the five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ng room can use the text input tool or the drawing tool provided in the collaborating room to create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협업 룸 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객체는 해당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5명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300)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3, various objects provided on the collaboration room can be shared in real time to all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협업하고 있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collaborating using their ow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객체가 공유되고 있는 협업 룸이 7개의 사용자 디바이스(300) 각각에서 동일한 모습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a collaboration room in which various objects are shared is provided in each of the seve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는,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협업 룸(또는 협업 룸 상에서 공유되는 객체)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는,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협업 룸에 대하여 위의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협업 룸에서 공유되고 있는 객체는,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는 시점에 이미 협업 룸에 존재하는 객체이거나 입력 데이터에 의하여 협업 룸에 새로 생성되는 객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shared in a collaborative room may be an object existing in a collaboration room at a time when input data is generated or an object newly created in a collaboration room by input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 사용자를 배제하지 않고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의 디바이스에게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위의 전송된 입력 데이터를 협업 룸(또는 협업 룸 상에서 공유되는 객체)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어떤 사용자가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켰는지 또는 어떤 사용자에게 입력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송해야 하는지를 따질 필요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협업 룸 내의 여러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만을 선별하고 그 선별된 일부 사용자의 디바이스에게만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put data to devices of all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ve room without excluding the user who generated the input data, (Or objects shared on a collaborative room),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user has generated the input data or which user should selectively transmit the input data,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necessary for selecting only a part of users and transmitting input data only to the selected devices of some user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어떤 사용자로부터 발생한 입력 데이터가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적용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put data generated from a user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to be applied to devices of all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on roo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협업 룸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가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inputs drawing data that can be visually displayed on a canvas of a collaboration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제1 사용자가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소정의 순서도(510)를 드로잉한 후에, 제2 사용자가 위의 순서도를 수정하는 드로잉을 하고 제3 사용자가 위의 순서도에 X 표시를 그리는 드로잉을 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In Figure 5, after a first user draws a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행한 드로잉을 각각 제1 입력 데이터, 제2 입력 데이터 및 제3 입력 데이터로서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데이터, 제2 입력 데이터 및 제3 입력 데이터에는 각각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행한 드로잉의 좌표, 자취, 속도, 선 유형, 선 굵기 등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는, 위와 같이 특정되는 제1 입력 데이터, 제2 입력 데이터 및 제3 입력 데이터 모두를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3 사용자 디바이스 모두에게 비선별적으로 또는 비차별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제1 사용자 디바이스, 제2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3 사용자 디바이스 모두에서 제공되고 있는 협업 룸에서 제1 입력 데이터, 제2 입력 데이터 및 제3 입력 데이터 모두가 빠르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1 입력 데이터, 제2 입력 데이터, 제3 입력 데이터를 각각 제1 레이어, 제2 레이어 및 제3 레이어 상에 구현할 수 있고, 각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제1 레이어, 제2 레이어 및 제3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협업 룸의 캔버스 상에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pu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는 본 발명에 따른 협업 룸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각종 버튼, 메뉴 바, 캔버스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등)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는, 이미지 첨부, 촬영 된 사진 첨부, 저장, 불러오기, 인쇄, 이메일, 포인팅, 그래프, 스크롤, 새로고침, 지우기, 그리기, 채팅, 음성 채팅, 영상 채팅 등의 다양한 협업 기능을 사용자가 실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Nex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50)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협업 룸에 대하여 요청하거나 업로드한 다양한 객체에 관한 데이터, 복수의 사용자가 발생시킨 입력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50)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가 될 수 있다.Next,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6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의/으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70)는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 공유 객체 관리부(220),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부(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7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협업 사용자 관리부(210), 공유 객체 관리부(220), 입력 데이터 관리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24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부(2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통신망
2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협업 사용자 관리부
220: 공유 객체 관리부
230: 입력 데이터 관리부
240: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통신부
270: 제어부
300: 사용자 디바이스
400: 외부 서버100: Network
200: Service providing system
210: Collaboration User Management Unit
220: Shared object management unit
230: input data management unit
240: User interface manager
250: Database
260:
270:
300: User device
400: external server
Claims (8)
상기 협업 사용자 관리부가,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따로 수행함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선별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협업 룸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잉 데이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행한 드로잉의 좌표, 자취, 속도, 선 유형 및 선 굵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비시각화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잉 데이터는 가상으로 적층될 수 있는 레이어 상에서 시각화되고, 상기 레이어는 상기 드로잉 데이터가 발생하는 순서에 따라 적층되어 표시되고,
상기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가 각각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적용 단계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 모두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고,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는 각각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 상에 구현되고,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협업 룸 상에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되거나 업로드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모두에게 공유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에는, 드로잉,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메모, 채팅, 영상통화, 웹페이지 및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A method for implementing real-time collaboration in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collaboration user management unit and an input data management unit;
Wherein the collaborative user management unit comprises: a step of specify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Wherein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is operable, when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is generated from at least on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performing the operations required to selectively transmit the input data to a particular use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all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non-selectively, and
Wherein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applies the transmitted input data in real time to the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object is stored in a database connectable to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ll of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input data includes drawing data that can be visually displayed through a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drawing data includes non-visualized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a trace, a speed, a line type, and a line thickness of a drawing performed by the at least one user,
The drawing data is visualized on a layer that can be virtually stacked, and the layers are stack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drawing data is generated,
In the transmitting step, when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generates first input data and second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from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respectivel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Transmitting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to all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the two users,
In the application step,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may apply both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the devi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are implemented on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respectively, and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are generated,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displayed on the collaboration room,
An object requested or uploaded by at least on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shared by all of the plurality of users,
Th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rawing, text, image, video, audio, memo, chat, video call, web page and hyperlink
Way.
협업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가상의 공간인 협업 룸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협업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따로 수행함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선별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는 입력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협업 룸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드로잉(drawing)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잉 데이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행한 드로잉의 좌표, 자취, 속도, 선 유형 및 선 굵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비시각화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드로잉 데이터는 가상으로 적층될 수 있는 레이어 상에서 시각화되고, 상기 레이어는 상기 드로잉 데이터가 발생하는 순서에 따라 적층되어 표시되고,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협업 룸과 연관된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가 각각 발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모두에게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제2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상기 협업 룸에 대하여 상기 전송되는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 모두를 실시간으로 적용시키고,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는 각각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 상에 구현되고, 상기 제1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데이터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협업 룸 상에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되거나 업로드된 객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모두에게 공유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에는, 드로잉,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메모, 채팅, 영상통화, 웹페이지 및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A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collaboration,
A collaborative user management unit for specifying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on room, which is a virtual space in which objects to be collaborated are shared in real time;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when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is generated from at least on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performing the operations required to selectively transmit the input data to a particular user, And an input data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to all the devices of the users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a non-categorized manner and applying the transmitted input data to the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in real time,
Wherein the object is stored in a database connectable to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ll of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input data includes drawing data that can be visually displayed through a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drawing data includes non-visualized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a trace, a speed, a line type, and a line thickness of a drawing performed by the at least one user,
The drawing data is visualized on a layer that can be virtually stacked, and the layers are stack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drawing data is generated,
Wherein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is operable when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on room are respectively generated from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Transmitting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to all of the devices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input data management unit applies both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collaboration room implemented in each device of the plurality of users,
Wherein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are implemented on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respectively, and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arr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input data and the second input data are generated,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displayed on the collaboration room,
An object requested or uploaded by at least one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shared by all of the plurality of users,
Th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rawing, text, image, video, audio, memo, chat, video call, web page and hyperlink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04758A KR101876134B1 (en) | 2017-08-18 | 2017-08-18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04758A KR101876134B1 (en) | 2017-08-18 | 2017-08-18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76134B1 true KR101876134B1 (en) | 2018-07-06 |
Family
ID=629208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04758A Active KR101876134B1 (en) | 2017-08-18 | 2017-08-18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613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06606A1 (en) * | 2021-12-06 | 2023-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ud server supporting collaborative edi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78946A (en) * | 1994-12-23 | 1996-10-22 | Electron & Telecommun Res Inst | Control method for collaboration between terminals sharing input information |
| JPH1040058A (en) * | 1996-07-26 | 1998-02-13 | Fuji Xerox Co Ltd | Method for managing cooperative work information and system for supporting cooperative work |
| KR20070043353A (en) * | 2005-10-21 | 2007-04-25 | 유아이넷주식회사 | Real-time simultaneous collaborative document processing among multiple users in web based system environment |
| KR20100123562A (en) * | 2009-05-15 | 2010-11-2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Contents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among multi-user |
| KR20160070254A (en) * | 2014-12-09 | 2016-06-20 | 주식회사 조커팩 | Providing system, method for real time canva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2017
- 2017-08-18 KR KR1020170104758A patent/KR1018761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78946A (en) * | 1994-12-23 | 1996-10-22 | Electron & Telecommun Res Inst | Control method for collaboration between terminals sharing input information |
| JPH1040058A (en) * | 1996-07-26 | 1998-02-13 | Fuji Xerox Co Ltd | Method for managing cooperative work information and system for supporting cooperative work |
| KR20070043353A (en) * | 2005-10-21 | 2007-04-25 | 유아이넷주식회사 | Real-time simultaneous collaborative document processing among multiple users in web based system environment |
| KR20100123562A (en) * | 2009-05-15 | 2010-11-2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Contents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among multi-user |
| KR20160070254A (en) * | 2014-12-09 | 2016-06-20 | 주식회사 조커팩 | Providing system, method for real time canva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06606A1 (en) * | 2021-12-06 | 2023-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ud server supporting collaborative edi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US12386580B2 (en) | 2021-12-06 | 2025-08-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ud server supporting co-edi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14106B2 (en) |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 |
| US11190557B1 (en) |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 |
| US11171893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virtual collaboration via network | |
| US202001265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web enabled application execution and management | |
| KR102350329B1 (en) | Real-time sharing during a phone call | |
| KR102131646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EP3425872A1 (en) |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 |
| US9996210B2 (en) | Enabling host active element content related actions on a client device within remote presentations | |
| CN107831974A (en) | information shar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US20120166964A1 (en) | Modular user profile overlay | |
| US20120215900A1 (en) | Persistent network resource and virtual area associations for realtime collaboration | |
| CN107534704A (en) | Message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ssage handling program | |
| US11349889B1 (en) | Collaborative remote interactive platform | |
| US20160150009A1 (en) | Actionable souvenir from real-time sharing | |
| JP636885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agging chat messages | |
| CN110168539A (en) | Fast Page load in mixing application | |
| US20130132455A1 (en) | Electronic content editing platform environment | |
| JP2015043149A (en) | Operation termina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KR101876134B1 (en)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real-time collaboration | |
| JP2021060949A (en) |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 KR101708417B1 (en) | Electronic device, contents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 |
| CN105849762B (en) | social media platform | |
| KR102656933B1 (en) | Spot channel based community service implementation system | |
| CN112862945B (en) | Record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 |
| KR101983837B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 image based on a user-feedbackable bots, and a non-transien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