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400B1 -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 Google Patents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400B1 KR101804400B1 KR1020160174978A KR20160174978A KR101804400B1 KR 101804400 B1 KR101804400 B1 KR 101804400B1 KR 1020160174978 A KR1020160174978 A KR 1020160174978A KR 20160174978 A KR20160174978 A KR 20160174978A KR 101804400 B1 KR101804400 B1 KR 101804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keyword
- search
- rating
- cont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 G06F17/30864—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웹 상에서의 콘텐츠 관리를 통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평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온라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확대되면서 온라인 게시판의 악플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게시판의 악플 등을 삭제 요청하는 등의 관리를 하고자 하는 시도를 해왔다. 예를 들면, 한국 출원 특허 10-2013-0033039 에서는 개인 디지털 데이터의 삭제 요청에 따라 인터넷 상에 저장된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 후, 포털 사이트 서버에 개인 디지털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함으로써 개인 디지털 데이터의 삭제 및 차단이 이루어진다.As communication through online has expanded, problems caused by online bulletin boards have been increasing.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ast,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nage such as requesting deletion of bullshit of an online bulletin board.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33039, personal digital data stored on the Internet is searched in response to a deletion request of personal digital data, personal digital data is stored, and then personal digital data is deleted from the portal site server The deletion and blocking of the personal digital data is made by request.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개인 디지털 데이터’란 온라인 상에서의 사용자 ID와 연계되는 ‘개인과 관련된 온라인 데이터’를 의미한다(한국 출원 특허 10-2013-0033039호의 도면 6 및 관련 설명 참조).The 'personal digital data'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eans 'online data related to an individual' linked with a user ID on the on-line (refer to FIG. 6 and related descrip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33039).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순히 인터넷 상에 저장된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삭제 요청하는 것에 머무른다. 개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삭제만을 수행함으로써,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의 유명인 혹은 단체(기업 등)의 경우, 본인(유명인 혹은 단체)이 직접 작성한 작성 글이나 작성들에 대한 댓글들 외에 해당 유명인 혹은 단체와 관련된 기사, 블로그, 작성 글 등과 같은 각종 게시물들 및 제3자가 작성한 게시글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나아가, 온라인 상에서 특정 개인이나 단체 관련 글을 삭제 처리만 할 뿐 전반적인 평판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simply stays on request to delete personal digital data stored on the Internet. By deleting only personal digital data, celebrities or politicians, such as celebrities or organizations (such as companies), can not only comment on writings and writings written by themselves (celebrities or organization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manage various posts such as articles, blogs, articles, and posts made by third parties, and further, it deletes only articles related to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onl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본 발명은 단순히 온라인 상의 개인 디지털 데이터를 찾아내어 단순히 삭제 요청하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온라인 상에 무작위로 존재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분류하여 개인 혹은 단체에 대한 온라인 상에서의 전반적인 평판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that simply searches for personal digital data on-line and simply requests deletion, searches for a random content on-line and classifies it to classify the overall reputation of an individual or group onlin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improv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 수집/분석을 통하여 검색대상에 대한 평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검색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여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온라인 콘텐츠들을 소정의 분류 규칙에 의하여 분류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등급 부여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수집단계에서,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것을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텐츠 수집단계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를 포함하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들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키워드들의 각각에 관련 속성값을 부여하는 키워드 속성 부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aging evaluation of an object to be searched through online content collection / analysis, comprising: an online contents collection step of selecting a search keyword and collecting online contents using the selected search keyword;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rule and assigning a rating to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In the content acquisition step, the search keyword for search uses the one previously stored in the keyword database. The content collection step includes a keyword database building step. The keyword database building step includes collecting and storing one or more keywords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A keyword attribute assigning step of assigning an associated attribute value to each of the collected keywords;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은 검색 대상자에게 속성 정보를 부여하는 대상자 속성정보 부여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어 중에서 상기 대상자 속성 정보와 일치하는 속성 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매칭 키워드 추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ject attribut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assigning attribute information to a person to be searched. A matching keyword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having attribute information matching the subject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keyword database, Extraction step;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콘텐츠 수집 단계는, 상기 추출한 매칭 키워드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collecting step performs a method of searching for a content using the extracted matching keyword.
또한,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결정하며, 상기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 노출된 키워드의 개수를 계산하고, 노출된 키워드의 등급별 노출 횟수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등급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ting of the content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assigning a rating to the content, calculating the number of keyword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and classifying the rating of the content Is provided.
또한, 상기 등급 부여는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 노출된 키워드의 개수를 계산하고, 노출된 키워드의 등급별 노출 횟수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등급 결정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등급 결정 단계에서 등급이 결정된 콘텐츠들 중에서 소정의 등급을 가지는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ting may include a content rating determin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keyword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and giving a rating of the conte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exposure of the exposed keyword by rating; And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grade among contents determined to be classified in the rating determination step.
상기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방법은, 평판 관리단계 및 평판관리 보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평판 관리단계는, 상기 등급 부여단계에서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하는 평판 등급 부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평판관리 보고단계는,The method of evaluating a search target through online content additionally includes a reputation management step and a reputation management reporting step, wherein the reputation management step includes a step of, on the basis of contents rated in the rating step, A flat grade assigning step of giving a flat plate of the flat plate; Wherein the reputation management reporting step comprises:
상기 평판 관리단계에서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대상자에게 보고할 수 있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generating and reporting a report for reporting to the subject by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the reputation management step.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평판 관리 단계는, 등급이 결정된 콘텐츠들 중에서 소정의 등급을 가지는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putation manag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grade among the determined contents; And a control unit.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평판 관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각 온라인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분석모듈; 상기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하고, 평판 관리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평판 관리 모듈; 관리 대상자의 정보 및 속성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대상자 관리 모듈; 상기 온라인 콘텐츠, 키워드, 보고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comprises: a content acquisition module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 for reputation management; A contents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contents of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nd assigning ratings; A reputation management module that assigns a reputation on-line to a subject based on the content to which the rating is attached, and generates a report on the reputation management result; A target person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 management subject in a database; And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data for the online contents, keywords, and reports in a database.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 수집 모듈은, 온라인 콘텐츠로부터 키워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각 키워드에 대하여 속성 값을 부여하여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 대상자와 관련되는 속성 값과 상기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값이 매칭되는 것을 검색하여, 상기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매칭되는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콘텐츠 검색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속성 값을 부여한 각 키워드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 베이스 모듈에 저장되며, 상기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매칭되는 키워드들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분석 모듈에서,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분석 대상 콘텐츠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들이 존재하는 빈도 수를 계산하며, 상기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 노출된 키워드의 개수를 계산하고, 노출된 키워드의 등급별 노출 횟수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The content collec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rch keyword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keywords from online contents and constructing a primary keyword database by assigning attribute values to the collected keywords; A content search module for searching for a match between an attribute value associated with the subject and an attribute value of the primary keyword database and extracting matching keywords from the primary keyword databas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each keyword to which an attribute value is assigned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and the matching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rimary keyword database are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in the form of a database. In the content analysis module, the rating of the conten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keywords installed in the keyword database of the content to be analyzed, calculating the number of keyword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The rating of the content can be given based on the number of exposures by the rating of the content.
또한 상기 평판 관리 모듈은,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 중에서 소정의 등급을 가지는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lat panel managemen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module that performs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rating among the rated content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특정 대상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분석한 정보에 결과에 대응하는 등급을 부여하고, 이를 대상자별로 연계하여 관리함으로써 목적에 맞는 정확성이 향상된 평판 관리 및 개선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analyzes online contents for a specific object, assigns a rating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analyzed information, and manages it by linking and managing the objec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and the reputation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연결구성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connecting part in the middle,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ons ". The word " step " or " step of ~ "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 step for.
“~(하는) 절차”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The same is true of the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수집을 통한 평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put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content collection,
평판 관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모듈;A content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for reputation management;
상기 수집된 각 온라인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분석모듈;A contents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contents of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nd assigning ratings;
상기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하고, 평판 관리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평판 관리 모듈;A reputation management module that assigns a reputation on-line to a subject based on the content to which the rating is attached, and generates a report on the reputation management result;
관리 대상자의 정보 및 속성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대상자 관리 모듈;A target person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a management subject in a database;
상기 온라인 콘텐츠, 키워드, 보고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data for the online contents, keywords, and reports in a databas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도록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 overview of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 개요1. Overview of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Invention
1.1. 분석대상 데이터: 온라인 콘텐츠 1.1. Data to Analyze: Onlin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및 시스템은 온라인 상의 콘텐츠를 대상물로 한다. 온라인 상의 콘텐츠는 임의의 웹 사이트, 포털, 게시판, 블로그 게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텍스트, 그림, 영상물, 사진 데이터 혹은 이들의 혼합형태의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그림, 영상물, 사진 등의 데이터에는 캡션, 설명문 등의 텍스트가 결합될 수 있다. The evaluation and system of the search object through the online contents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 contents on-line as an object. The online content may include any web site, portal, bulletin board, blog post, etc., and the form may be text, picture, video, photo data or a mixture of them. Data such as a picture, a video, and a photograph may be combined with text such as a caption and an explanatory text.
1.2. 관리대상물: 온라인 상에서의 검색대상에 대한 평가/평판1.2. Controlled object: Evaluation / reputation of online search object
본 발명의 관리대상물은 평판 관리의 대상이 되는 개인 또는 단체의 온라인상에서의 평판(reputation) 이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이란 온라인상의 상기 콘텐츠들이 상기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의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The manageme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nline reputation of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that is subject to reputation manag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putation on-line may mean a result of a qualitative analysis as to how the contents on-line are evaluated for the individual or group.
1.3. 분석대상 데이터의 분석 및 평가: 온라인 콘텐츠의 정성적인 분석1.3. Analysis and Evaluation of Data to Analyze: Qualitative Analysis of Online Conten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통하여 온라인 콘텐츠들에 대하여 등급을 부여한다. 분석은 객관적인 분석과 주관적인 분석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ntents are grad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online contents.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objective analysis and subjective analysis.
(1) 객관적인 분석(1) objective analysis
객관적인 분석이란, 소정의 콘텐츠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특정 온라인 콘텐츠가 상기 관리대상인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 지를 자동으로 하나 이상의 등급으로 분류한다.Objective analysis means tha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lassifies predetermined contents. For exampl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lassifies how certain online content is being evaluated for the person or entity being managed, into one or more classes.
(2) 주관적인 분석(2) Subjective analysis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자는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상기 객관적인 분석의 결과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주관적인 분석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객관적인 분석에 의하여 특정 온라인 콘텐츠의 등급이 결정된 경우, 시스템 운영자는 그 등급을 주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주관적인 분석이라고 한다. The system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results of the objective analysis according to subjective judgment. This process is called subjective analysis. For example, if the rating of a specific online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objective analysis, the system operator can change the rating subjectively. This is called subjective analysis.
(3) 평가(3) Evalu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객관적 분석과 주관적 분석에 의하여 온라인 콘텐츠를 평가하고 각각에 대하여 등급을 부여한다. 소정의 온라인 콘텐츠는 소정의 등급 분류 기준에 따라서 소정의 등급으로 평가되어 분류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the objective analysis and subjective analysis described above, and assigns ratings to the respective contents. The predetermined online contents can be evaluated and classified to a predetermined rat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ating classification standard.
1.4. 평판 관리: 분석결과의 관리1.4. Reputation management: management of analysis results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평가된 각 콘텐츠의 등급에 따라, 그와 관련된 관리대상물, 즉, 개인 혹은 단체의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관리한다.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online reputation of an associated object, i. E.,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rating of each content as evaluated above.
이와 같은 평판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색 키워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검색 키워드를 사용하여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단계(S100), 상기 수집한 온라인 콘텐츠들을 소정의 분류 규칙에 따라 분류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수집된 오라인 콘텐츠의 분석 및 등급 부여단계(S200), 검색되고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를 관리하고, 대상자의 평판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관리 및 평판 관리단계(S300),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보고서를 생성하고, 보고하는 평판관리 보고단계(S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such a reput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content acquisition step (S100)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by selecting a search keyword and using a predetermined search keyword, A content management and reputation management step of classifying according to classification rules and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orin contents to be assigned a rating (S200), managing the searched and rated contents, (S300), generating a report on the result of the execution, and generating and reporting a report (S400).
이하,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step of evaluation of the search object through online content coll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검색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2. Evaluation of search object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through online contents se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온라인 콘텐츠의 수집 단계(S100)2.1. The online content collection step (S100)
본 발명에서의 평판 관리를 위한 콘텐츠의 수집은 웹 크롤링(Web Crawling), 포털 사이트에 대한 검색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수집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ollection for reputation management is performed through Web crawling, search for a portal site, and the like, and is colle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단계(S110)end.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keyword database (S110)
본 발명에서의 평판 관리를 위한 콘텐츠의 수집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 중에서 하나 이상을 콘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로 선정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collection for flat management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keyword database as search keywords for content search.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10)을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word database building step (S110) for constructing a keyword database.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The keyword database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1) 키워드 수집 단계(S112)(1) Keyword collection step (S112)
키워드 수집 단계는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 API에 입력하는 검색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로서, 이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어 리스트, 연관검색어 리스트(도 2), 관련 검색어 리스트, 개인/단체별 이슈 키워드 리스트 등으로부터 키워드를 수집하여 저장한다.The keyword collection step is a step of collecting and storing search terms input to the search API provided by the portal site in order to collect the online contents. The keyword collection step includes a real-time search word list, an associated search word list (FIG. 2) List, individual keyword list, and the like.
(2) 키워드 속성 부여 단계(S114) (2) Keyword Attribute Granting Step (S114)
수집한 키워드에 대하여 속성값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속성값들은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출생연도(나이), 성별, 직종, 직업 등의 속성값들을 개별 키워드에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키워드의 속성값들 중의 하나로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 개인 혹은 단체명이 부여될 수도 있다.And assigning attribute values to the collected keywords. As shown in FIG. 3, the attribute values may be assigned attribute values such as birth year (age), sex, occupation, occupation, etc. to individual keywords. At this time, an individual or a group name associated with the keyword may be given as one of the attribute values of the specific keyword.
키워드 속성으로 부여되는 속성값들 중 하나 이상의 속성값은 후술하는 대상자 속성정보와 일치하도록 부여할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attribute values assigned to the keyword attribute can be assigned to match the subject attribute information described later.
(3) 키워드 등급 분류 단계(S116)(3) Keyword classification step (S116)
본 발명에서는 수집한 키워드에 속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정적인 키워드에는 등급 B(black), 긍정적인 키워드에는 등급 W(white),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닌 키워드에는 G(grey), 매우 악의적인 키워드에는 S(spam)를 부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ttributes but also grades can be assigned to collected keywords. For example, a negative B (black) keyword, a positive W (white) keyword, a G (gray) for a positive or negative keyword, and a S (spam) for a very malicious keyword .
(4) 키워드 저장 단계(S118)(4) Storing the keyword (S118)
속성값들을 부여한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서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storing the keywords assigned the attribute values into a database of the server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 device of the server.
이와 같이 S112, S114, S116, S118 단계를 거치면서,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료된다.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인 갱신과정을 거칠 수 있다.Thus, the steps S112, S114, S116, and S118 are perform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primary keyword database. The primary keyword database can undergo a continuous update process.
나. 검색 키워드 선정 단계(S120)I. In step S120,
본 발명에서는 대상자와 관련되는 온라인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술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선정한다. 검색 키워드의 선정은 대상자와 관련되는 속성값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들의 속성값을 매칭 검색하여 속성값이 일치하는 키워드들을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arch keyword is selected from the above-described keyword database in order to search online contents related to a target person. The selection of the search keyword is performed by matching an attribute value related to the target person with an attribute value of the keyword in the keyword database and extracting the keywords having the same attribute value from the keyword database.
이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 절차를 거친다. In order to process such a process, the following detailed procedure is performed.
(1) 대상자 속성정보 부여 단계(S122)(1) Subject attribut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122)
관리 대상자에게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나이, 성별, 직종, 직업 등의 속성 정보가 부여된다.And giving attribu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ubjec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ttribution information such as age, sex, occupation, and occupation is given to the management subject.
(2) 매칭 키워드 추출 단계(S124)(2) Matching Keyword Extraction Step (S124)
관리 대상자에게 속성정보를 부여한 이후, 관리 대상자에게 부여된 속성값들을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절차를 가진다. 이 때, 매칭되는 속성값을 가지는 키워드를 매칭 키워드로 선정하여 추출한다. After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given to the management subject, the attribute value assigned to the management subject is searched in the keyword database. At this time, a keyword having a matching attribute value is selected and extracted as a matching keyword.
도 5를 들어 설명하면, 대상자 ‘김이박’에 대한 콘텐츠 수집을 위한 검색 키워드를 선정하기 위하여 대상자 ‘김이박’에 대한 속성값으로 성별, 나이, 직업을 각각 입력한 경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속성값과 일치하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5에서는 성별, 나이, 직업이 모두 일치하는 키워드로 '교통사고'가 매칭 키워드로 추출되며, 성별, 나이가 일치하는 키워드로는 '음주운전', 성별, 직업이 일치하는 키워드로는 '이혼'이 검출된다. 이 때, 특정 키워드의 속성값 중의 하나로 대상자인 개인/단체의 이름 혹은 명칭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해당 키워드는 대상자와 매칭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5, when sex, age, and occupation are input as attribute values for the subject 'Kim Ji-bum' in order to select a search keyword for collecting contents for the subject 'Kim Ji-bum' Extract matching keywords. In FIG. 5, 'traffic accident' is extracted as a matching keyword for all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drinking driving' for a keyword matching the age and the age, Is detected. At this time, if the name or the name of the person / organization as the target is given as one of the attribute values of the specific keyword, the keyword can be extracted by the target person and the matching keyword.
이때, 매칭되는 속성값의 개수가 몇 개 이상인 것을 매칭 키워드로 추출할 것인가 혹은 어떤 속성값이 일치하는 것을 매칭 키워드로 추출할 것인가 하는 것은 관리자의 설정 값 혹은 시스템 설정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many matching attribute values are to be extracted by a matching keyword or which attribute values are matched to a matching keyword, depending on a setting value of a manager or a system setting value.
(3) 검색식 설정 단계(S126)(3) Search expression setting step (S126)
본 발명은 상기 추출된 매칭 키워드를 중심으로 콘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식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retrieval expression for retrieving contents based on the extracted matching keyword.
검색식은 매칭 키워드만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매칭 키워드에 대상자의 명칭을 조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매칭 키워드들의 상호 관계에 따라 통상적인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색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earch expression may be set only with the matching keyword or may be set by combining the name of the subject with the matching keyword. In addition, a search expression may be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search operator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wo or more matching keywords.
도 6을 참조하여 검색식 설정 단계를 설명한다.The retrieval expression setting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124 단계에서 추출된 매칭 키워드들을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합함으로써 검색식을 설정한다. 콘텐츠 수집의 목적에 따라서, 부정적 키워드를 포함하고, 긍정적 키워드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든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대상자 명칭만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검색식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retrieval expression is set by combining the matching keywords extracted in operation S124 using a retrieval operato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tent collection, a search expression can be set to include a negative keyword and not include an affirmative keyword. In order to search all contents, only a subject name can be used as a keyword to set a search expression.
다. 콘텐츠 검색단계(S130)All. In the content retrieving step (S130)
본 발명은 상기 검색 키워드 선정단계(S120)에서 추출한 매칭 키워드 혹은 매칭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정한 검색식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단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로부터 대상자와 관련된 매칭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식을 설정하여 콘텐츠를 검색하는 본 발명의 콘텐츠 수집 방법은, 단순히 검색 키워드를 제공받아 콘텐츠를 검색하는 종래기술의 온라인 콘텐츠 검색 방법과는 구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searching step of searching for a content using a matching keyword extracted in the search keyword selecting step (S120) or a search formula set based on a matching keyword. A content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structing a keyword database and extracting a matching keyword associated with a target person from the keyword database and setting a search expression to search for a content is an online content search method .
2.2.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의 분석 및 등급 부여 단계(S200)2.2. Analyzing and rating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S200)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는 그 내용을 분석하여 등급을 부여 받는다.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re analyzed and their ratings are given.
상기 키워드 등급 분류 단계(S116)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별 콘텐츠별로 그 내용에 따라 등급을 분류할 수 있다. 부정적인 내용의 콘텐츠에는 등급 B(black), 긍정적인 콘텐츠에는 등급 W(white),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닌 콘텐츠에는 G(grey), 매우 악의적인 콘텐츠에는 S(spam)를 부여할 수 있다. As in the keyword classifying step S116, class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ents of individual contents. Class B (black) for content with negative content, rating W (white) for positive content, G (gray) for content that i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S (spam) for highly malicious content.
상술한 콘텐츠 등급 부여는 해당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S210),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S2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rating assignment may include analyzing contents of the contents (S210) and assigning a rating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S220).
가. 콘텐츠 내용 분석 단계(S210)end. In the contents content analysis step S210,
개별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개별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은 해당 콘텐츠에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들이 존재하는 빈도 수를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content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contents can be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existence of the keywords embedded in the keyword database in the contents.
(1)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내의 키워드 노출 빈도 계산 단계(S212) (1) Keyword exposure frequency calculation step S212 in the keyword database
이때,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들을 검색어로 하여 검색된 횟수를 계산한다. 이를 반복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 전체에 대하여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서 각각 몇 회 노출되는지 계산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searched keywords is calculated from the keywords to be analyzed in the keyword database. This is repeated to calculate how many times each of the keywords loaded in the keyword database i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2) 검색식 내에 포함된 키워드의 노출 빈도 계산 단계 (S213)(2) calculating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keyword included in the search formula (S213)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12 단계와는 달리 검색식 내에 포함된 키워드들만을 사용하여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해당 키워드들이 노출되는 빈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tep S212, the frequency of exposing the keywords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may be calculated using only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search formula.
이와 같은 S213 단계의 방식을 택하는 경우, S212 단계의 방식을 택하는 경우보다 빠르게 분석대상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 If the method of step S213 is selected, the analysis target content can be analyzed faster than the method of step S212.
나. 콘텐츠 등급 부여 단계(S220)I. In step S220,
상술한 것과 같이 내용을 분석한 콘텐츠들의 각각에 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And assigning a rating to each of the content analyzed contents as described above.
콘텐츠 등급 부여는 상기 키워드 등급 분류 단계(S116)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별 콘텐츠별로 그 내용에 따라 등급을 분류할 수 있다. 부정적인 내용의 콘텐츠에는 등급 B(black), 긍정적인 콘텐츠에는 등급 W(white),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닌 콘텐츠에는 G(grey), 매우 악의적인 콘텐츠에는 S(spam)를 부여할 수 있다. As with the keyword classification step S116, the contents classification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ents of individual contents. Class B (black) for content with negative content, rating W (white) for positive content, G (gray) for content that i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S (spam) for highly malicious content.
분석 대상 콘텐츠의 내용이 긍정적인 것인지 부정적인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상술한 S210 단계에서 해당 콘텐츠에 노출된 키워드들의 등급에 따라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등급 B의 키워드가 소정횟수 이상 노출되었다면 해당 분석 대상 콘텐츠는 등급 B로 분류될 수 있으며, 등급 B의 키워드와 등급 W의 키워드가 노출된 횟수가 유사하다면 등급 G로 분류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content of the content to be analyzed is positive or negativ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ng of the keywords exposed to the content in step S210. For example, if the keyword of the class B is expo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the analysis target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the class B. If the class B keyword and the class W keyword are similar in the number of exposures, . ≪ / RTI >
(1) 등급 부여 규칙 결정 단계(S222)(1) Grading rule determination step (S222)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A rule for assigning a rating of the content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소정의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등급 B, G, W, S 의 키워드들이 노출되는 빈도를 각각의 백분율(%)로 표현하였을 때, 전체 키워드 노출 횟수 대비 등급 B 키워드 노출빈도가 50%가 넘는 경우 해당 콘텐츠는 B 등급으로 결정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of exposure of the keywords of the classes B, G, W, and S in a predetermined analysis target content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 the frequency of the class B keyword exposure exceeds 50% In this case, the content can be set to a rule of B rank.
다른 실시 예로는, S 등급 키워드의 경우 단 1회라도 노출이 된다면 해당 콘텐츠를 등급 S 로 처리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of an S-rank keyword, a rule may be set to treat the content as a grade S if only one exposure occurs.
또 다른 실시 예로는, 30%가 넘는 빈도를 가지는 키워드 등급으로 해당 콘텐츠 등급을 결정하되, 30%가 넘는 키워드가 등급 B와 등급 W 의 두 개 등급 이상인 경우, 해당 콘텐츠 등급을 등급 G로 결정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content rating of more than 30% is determined with a keyword rating of more than 30%, but if the keyword has a rating of more than 30%,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rating is G Rules can be set.
해당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규칙은 기본적으로 전체 키워드 노출 횟수 대비 해당 등급의 키워드가 노출되는 횟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설정하되, 상기 실시 예들만으로 국한되지는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rule for assigning the rating of the content is basically determined to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keyword of the corresponding grade is expos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keyword exposure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2) 등급 부여 민감도 조절 단계(S223)(2) Grading sensitivity control step (S223)
콘텐츠 등급 부여 단계는 등급 부여 민감도 조절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여러 등급의 키워드가 노출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에 대한 등급의 부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하여 조절하고 결정하는 단계이다. The content rating assign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grading sensitivity adjusting step. This is a step of adjusting and determining how to assign a rating to the content when a plurality of keywords are exposed in one content to be analyzed.
예를 들어, 등급 부여 민감도가 레벨 1 내지 레벨 5의 단계를 가지고 있으며, 레벨이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콘텐츠인 것으로 분류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분석 대상 콘텐츠에 등급 B의 키워드가 4개, 등급 W의 키워드가 3개 노출된 경우 민감도가 낮게 설정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등급 W로 설정될 수 있고, 민감도가 높게 설정된 경우 해당 콘텐츠는 등급 B로 설정될 수 있다. 민감도를 최고로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등급 W 키워드의 노출횟수와 관계없이 등급 B 키워드가 1개만 나오더라도 등급 B의 콘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said that the grading sensitivity has
(3) 콘텐츠 등급 결정 단계(S224)(3) content rating determination step (S224)
상기 콘텐츠 내용 분석 단계(S210)에서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 노출된 키워드의 개수를 계산한 이후, 상기 등급 부여 규칙 결정 단계 및/또는 등급 부여 민감도 조절 단계에서 결정한 등급 부여 규칙에 따라 콘텐츠 등급을 결정한다.After the number of keyword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is calculated in the contents content analyzing step (S210), the content rat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ng rules determined in the rating rule determination step and / or the rating sensitivity adjustment step.
콘텐츠 등급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등급 B, G, W, S로 결정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The content rating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s B, G, W, 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에서 등급 B, G, W, S는 키워드 등급과 마찬가지로 대상자에게 대한 좋지 않은 평가인 콘텐츠인 경우 등급 B(Black), 좋은 평가와 나쁜 평가가 공존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 등급 G(grey), 좋은 평가의 콘텐츠인 경우 등급 W(white), 매우 악의적인 평가인 경우 등급 S(spam)으로 결정된다.In this case, grades B, G, W, and S, as well as the keyword rank, are grades B (Black) for content that is not good for the subject, grades G (gray) for good and bad grades The rating W (white) for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and the rating S (spam) for the highly malicious evaluation.
2.3. 콘텐츠 관리 및 평판 관리 단계(S300)2.3. Content management and reputation management step (S300)
검색되고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는 별도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관리되는 콘텐츠는 그 등급을 다시 조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의 등급별 개수에 따라 대상자의 평판 등급이 부여된다. 평판 등급이 부여된 대상자에게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retrieved and rated content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managed. The managed content can be re-adjusted and stored, and the subject's reputation level is assigned based on the number of ratings of the rated content. A report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a person who has been given a reputation rating.
이와 같은 등급 부여 콘텐츠 관리 및 평판 관리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절차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The detailed procedure for constructing such rating content management and reputation management steps will be described below.
가. 콘텐츠 저장 및 갱신 단계(S310)end. In the content storage and update step S310,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는 별도로 저장되어 지속적으로 관리된다. 저장되는 콘텐츠는 관리 대상자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며, 그 목록과 함께 해당 콘텐츠가 위치하는 온라인 어드레스(URL) 등이 함께 저장되어, 향후 대상자에 대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검색하여 저장 콘텐츠 목록이 갱신될 수 있다.The graded content is stored separately and is continuously managed. The content to be stored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management subject, and the list together with the online address (URL) where the content is located is stored together with the updated content list. .
나. 콘텐츠 등급 조정 단계(S320)I. In step S320,
본 발명은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리를 수행하여 등급을 조정하는 콘텐츠 등급 조정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등급의 조정은 S222 단계에서 등급 부여 민감도를 조정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가 수동으로 콘텐츠의 등급을 조정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rating adjustment step of continuously managing the content with the rating and adjusting the rating. The adjustment of the rating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rating sensitivity in step S222, and the system administrator may manually adjust the rating of the content.
등급이 조정된 콘텐츠는 S310에서의 갱신 단계에서 그 등급이 갱신되어 저장된다. The grade-adjusted content is updated and stored in the update step in S310.
다. 평판 등급 부여 단계(S330)All. In step S330,
등급이 결정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한다. 평판 부여는 수치적으로, 부정적인 콘텐츠인 등급 B 또는 다른 등급별 콘텐츠의 양(개수)를 기반으로 부여할 수 있다. Based on the determined content, online reputation is given to the subject. Reputation can be numerically given based on the amount (number) of content by grade B or other grade that is negative content.
예를 들어, 검색되고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의 수가 100개인 경우, 이중 부정적인 콘텐츠의 양이 60개일 때, 전체적인 평판을 평가함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60% 정도가 부정적인 평판을 보이고 있다고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searched and rated content is 100, and the total amount of negative content is 60, then 60% of the online reputations are rated as having a negative reputation have.
라. 평판 관리 단계(S340)la. In the reputation management step S340,
부여된 평판 등급은 대상자별로, 일자별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자별이란, 검색을 실시한 일자(date)를 말한다. The granted reputation class can be managed on a per-subject, per-day basis. Here, "date" refers to the date on which the search was conducted.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상자와 연계되는 평판 등급 레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평판 등급 레코드는 콘텐츠 검색 회차별 평판 등급으로 관리되어 대상자의 평판이 변화되는 추이를 관리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aging reputation class records associated with the subject. The reputation grade records are managed by the reputation rating of the content search society, so that it can manage the change of the subject's reputation.
마. 콘텐츠 삭제 처리 단계(S350)hemp. In the content deletion processing step S350,
상기 평판 관리 단계는 추가로 콘텐츠 삭제 처리 단계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The reputation management step may further have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step.
콘텐츠 삭제 처리는 등급이 결정된 콘텐츠들(S224) 중에서 소정의 등급을 가지는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콘텐츠 삭제 처리는 삭제 콘텐츠 결정 단계(S352) 및 삭제요청 단계(S354), 삭제요청 처리결과 모니터링 단계(S3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s deletion processing is for performing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grade among the contents S224 of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The contents deletion processing may include a deletion contents determination step (S352), a deletion request step (S354), and a deletion request processing result monitoring step (S356).
(1) 삭제 콘텐츠 결정 단계(S352)(1) Deletion content determination step (S352)
등급이 결정된 콘텐츠에 대하여 삭제 콘텐츠를 결정한다. 삭제 콘텐츠는,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등급 S(spam)으로 결정된 콘텐츠에 대하여 삭제 등급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ent to be deleted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whose rating is determined. The deleted content can be determined as deletion grade content,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content that is typically determined as the grade S (spam).
삭제 콘텐츠로 결정된 콘텐츠들은 아래에 설명하는 삭제 요청 단계에서 외부 포털 사이트, 게시판 사이트, SNS 사이트에 삭제 처리 요청될 수 있다. Content determined as deleted content may be requested to be deleted from the external portal site, the bulletin board site, and the SNS site in the deletion request step described below.
(2) 삭제 요청 단계(S354)(2) Deletion request step (S354)
삭제 콘텐츠로 결정된 콘텐츠에 대해서 삭제 요청을 수행한다. 삭제 요청은 해당 콘텐츠의 온라인 콘텐츠 저장 및 갱신 단계(S310)에서 콘텐츠 목록과 함께 저장된 해당 콘텐츠가 위치하는 온라인 어드레스(URL)를 해당 사이트 관리자 혹은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해당 사이트란 삭제 요청하는 콘텐츠가 저장된 포털 사이트, 게시판 사이트 등이 될 수 있다. And deletes the content determined as the deleted content. The deletion request is made by transmitting an online address (URL) where the corresponding content stored together with the content list is stored in the online content storage and update step S310 of the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site manager or management server. The site may be a portal site, a bulletin board site, or the like, in which content requested to be deleted is stored.
(3) 삭제요청 처리결과 모니터링 단계(S356) (3) monitoring the deletion request processing result (S356)
삭제 요청한 콘텐츠 목록을 그 온라인 어드레스(URL)과 함께 저장하고, 소정의 주기로 혹은 시스템이 지정하는 시점에서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한다. 처리결과는 요청한 사이트의 관리자 혹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리결과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처리결과 정보는 이메일(e-mail) 정보 등을 포함한다.Stores the list of contents requested to be deleted together with the online address (URL), and receives and monitors the processing result at a predetermined period or at a time designated by the system.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or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requested site, and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includes e-mail information and the like.
2.4. 평판관리 보고단계(S400)2.4. In the reputation management reporting step (S400)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의 수집 단계(S100),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의 분석 및 등급 부여 단계(S200), 등급 부여 콘텐츠 관리 및 평판 관리 단계(S300)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대상자에게 보고할 수 있는 보고서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평판관리 보고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collecting the online contents (S100), analyzing and rating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S200), rating content management, and reputation management (S300) And a reputation management reporting step (S400) for generating and reporting a report that can be performed.
평판관리 보고단계는 본 발명에 의한 평판관리 과정의 정보를 정리하여 보고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 대상자별로 설정되는 시스템의 마이 페이지(My page) 모듈에 보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메일(e-mail), 팩스(fax) 등을 통하여 대상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생성한다. In the reputation management reporting step, the information of the reputa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nd the repor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report information in the My page module of the system set for each management object. mail, fax, and the like.
가. 보고서 정보 수집 단계(S410)end. The repor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410)
보고서 정보 수집 단계는 단계 S100 내지 S300 과정을 진행하면서 획득한 평판관리 결과를 대상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The repor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a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report for transmitting the obtained reputation management result to the subject while proceeding with steps S100 to S300.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한 보고서 생성정보는 콘텐츠 내용 분석 단계(S210)에서 분석하고 콘텐츠 등급 부여 단계(S220)에서 등급을 부여한 콘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평판 등급 부여 단계(S330)에서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port gener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report may include contents classified in the contents content analysis step S210 and classified in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S220. And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graded contents in the reputation rating assigning step (S330).
나. 보고서 생성 단계(S420)I. The report generation step (S420)
보고서 생성단계에서는 보고서 정보 수집 단계(S410)에서 수집한 보고서 생성정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In the report generation step, a report is generated based on the report gen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report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410).
도 7은 생성된 보고서의 일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enerated report.
도 7을 참조하면, 평판관리 보고서는 대상자에 대한 평판관리를 수행한 날짜별 콘텐츠 등급들의 분포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전체 평판의 등급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reputation management report can display the distribution of the content classes by date in which the reputation management is performed on the subject. Although not shown, the rating of the entire reputation can be classifi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
이와 같은 평판관리 보고서를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평판이 날짜별로 변화되는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Based on this reputation management repor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online reputation of the target by date.
다. 보고서 전송 단계(S430) All. The report transmission step (S430)
보고서 전송 단계는 생성된 보고서를 대상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보고서의 전송은 기 등록된 대상자의 e-mail, 팩스, 오프라인 전송처(주소지)로 전송될 수 있다.The report transmission step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port to the subject. Transmission of the report can be transmitted to e-mail, fax, offline transfer destination (addres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subject.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검색을 통한 평판 관리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수집 모듈(100), 콘텐츠 분석 모듈(200), 평판 관리 모듈(300), 대상자 관리 모듈(400),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 the reput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 retrie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시스템은 외부의 온라인 포털 등의 서버(600)와 연계되어 콘텐츠 수집, 평판 관리 등을 수행하며, 온라인 포털을 통한 검색은 포털이 제공하는 API 모듈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ntent collection, reputation management, etc.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onlin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아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검색을 통한 평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reputation management through online content se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콘텐츠 수집 모듈(100)은, 평판 관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를 수집하는 모듈일 수 있다.The
상기 콘텐츠 수집 모듈(100)은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과 콘텐츠 검색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은, 키워드 수집 단계(S112), 키워드 속성 부여 단계(S114), 키워드 등급 분류 단계(S116)의 절차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500)의 키워드 DB(210)에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9, the search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은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 API에 입력하는 검색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데, 이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어 리스트, 연관 검색어 리스트, 관련 검색어 리스트, 개인/단체별 이슈 키워드 리스트 등으로부터 키워드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를 수집한 후, 수집한 키워드에 대하여 속성값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속성값들은 출생연도, 성별, 직종, 직업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속성값들을 개별 키워드에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키워드의 속성값들 중의 하나로서 해당 키워드와 관련이 있는 개인 혹은 단체명이 부여될 수도 있다.In more detail, the search
더불어, 상기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은 수집한 키워드에 속성값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정적인 키워드에는 등급 B(black), 긍정적인 키워드에는 등급 W(white),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닌 키워드에는 G(grey), 매우 악의적인 키워드에는 S(spam) 과 같은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이와 같이, 속성값과 등급을 부여한 키워드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500)의 키워드 DB(510)에 저장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keywords having attribute values and classifications can be stored in th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은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인 갱신 과정을 거치며 갱신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earch
이를 위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110)은 별도의 서버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평판 관리 시스템이 하나의 운영서버로 운영되는 경우, 운영서버 내에 통합된 검색 키워드 관리 절차를 수행하는 SW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this, the search
콘텐츠 검색 모듈(120)은, 검색 키워드 선정단계(S120) 및 콘텐츠 수집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집단계(S130)에서 수집된 콘텐츠는 데이터베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콘텐츠 수집단계(S130)에서 수집된 콘텐츠는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의 콘텐츠 DB(520)에 저장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나이, 성별, 직종, 직업 등과같은 속성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에게 속성 정보를 부여한 이후, 관리 대상자에게 부여된 속성값들을 키워드 검색 관리 모듈(110)에서 구축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매칭되는 속성값을 가지는 키워드를 매칭 키워드로 선정하여 추출한다. 이 때, 매칭되는 속성값의 개수가 몇 개 이상인 것을 매칭 키워드로 추출할 것인지 혹은 어떤 속성값이 매칭되는 것을 매칭 키워드로 추출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은 관리자의 설정 값 혹은 시스템 설정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ge, sex, occupation, occupation and the like can be given to the management subject first. After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given to the management subject, the attribute values assigned to the management subject are searched in the keyword database constructed in the keyword
매칭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매칭 키워드를 중심으로 콘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식을 설정할 수 있다. 검색식은 매칭 키워드만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매칭 키워드의 대상자의 명칭을 조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매칭 키워드들의 상호 관계에 따라 통상적인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색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After retrieving the matching keyword, a retrieval expression for retrieving the contents can be set based on the extracted matching keyword. The search expression may be set only by the matching keyword, or may be set by combining the name of the target of the matching keyword. In addition, a search expression may be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search operator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wo or more matching keywords.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 검색식은, 콘텐츠 수집의 목적에 따라서 부정적인 키워드를 포함하고 긍정적인 키워드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든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대상자 명칭만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The search formula set in this mann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negative keywor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ntent collection and not include positive keywords. In order to search all the contents, only the subject name can be set using keywords.
따라서, 콘텐츠 검색 모듈(120)은,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검색식을 설정한 후, 상기 검색식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500)의 콘텐츠 DB(520)로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콘텐츠 분석 모듈(200)은,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하여 그 내용을 분석(S210)하고, 등급을 부여(S220)할 수 있다.The
콘텐츠에 부여된 등급은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의 콘텐츠 DB(52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class assigned to the conten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stored in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콘텐츠 내용을 분석하는 방식은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irst, the method of analyzing the content contents can be used in one of two ways.
첫번째 방식은,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들을 검색어로 하여 검색된 횟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키워드 전체에 대하여, 분석 대상 콘텐츠 내에서 각각 몇 회가 노출되는지 계산할 수 있다. In the first method, the number of searched keywords is calculated using the keywords loaded in the keyword database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This process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to calculate how many times each of the keywords loaded in the keyword database is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두번째 방식은, 검색식 내에 포함된 키워드들만을 사용하여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해당 키워드들이 노출되는 빈도를 계산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thod, only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search formula are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keywords are exposed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두번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첫번째 방식보다 빠르게 분석 대상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using the second method,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ntent to be analyzed faster than the first method.
분석 대상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한 후, 분석한 콘텐츠들 각각의 내용에 따라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부정적인 내용의 콘텐츠에는 등급 B(black), 긍정적인 내용의 콘텐츠에는 등급 W(white), 긍정적인 것도 부정적인 것도 아닌 콘텐츠에는 G(grey), 매우 악의적인 콘텐츠에는 S(spam)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analysis target content, it is possible to assign a rating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ach analyzed content. Grade B (black) for content with negative content, rating W (white) for content with positive content, G (gray) for content that i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S (spam) for highly malicious content .
이와 같은 분석 대상 콘텐츠의 내용이 긍정적인 것인지 부정적인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앞서 수행한 해당 콘텐츠에 노출된 키워드들의 등급에 따라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대상 콘텐츠에서 등급 B의 키워드가 소정횟수 이상 노출되었다면 해당 분석 대상 콘텐츠에는 등급 B를 부여할 수 있으며, 등급 B의 키워드와 등급 W의 키워드의 노출된 횟수가 유사하다면 등급 G를 부여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content of the analysis target content is positive or negative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ating of the keywords exposed to the content. For example, if the keyword of the class B is expo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content to be analyzed, the class B can be assigned to the analysis target content. If the class B keyword and the class W keyword are similar in number of exposures, .
이와 같이 콘텐츠에 부여된 등급은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의 콘텐츠 DB(52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하여 연계되어 저장할 수 있다.The class assigned to the content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stored in the
도 9를 참고하면, 평판 관리 모듈(300)은 콘텐츠 관리 및 평판 관리단계(S300), 보고서 정보 수집단계(S410), 보고서 생성 단계(S420)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도 8과 같이, 상기 평판 관리 모듈(300)은, 등급 부여 및 갱신 모듈(310)과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flat
상기 등급 부여 및 갱신 모듈(310)은,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를 별도로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등급 부여 및 갱신모듈(31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관리 대상자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되며, 그 목록과 함께 해당 콘텐츠가 위치하는 온라인 어드레스(URL) 등이 함께 저장됨으로써, 향후 대상자에 대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검색하여 저장 콘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The rating granting and updating
또한,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할 수 있다. 평판 부여는, 수치적으로 부정적인 콘텐츠인 B 또는 다른 등급별 콘텐츠의 개수를 기반으로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ive online reputation to the subject based on the contents having the rating. The reputation grant can be based on the number of content that is numerically negative, B or other grade-specific content.
예를 들어, 검색되고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의 개수 100개 중, 부정적인 콘텐츠의 개수가 60개인 경우는 전체적인 평판을 평가함에 있어서, 온라인상에서 60%정도가 부정적인 평판을 보이고 있다고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negative content is 60 out of 100, which is searched and rated, 60% of the online ratings are rated as having a negative reputation in evaluating the overall reputation .
또한, 평판 등급을 부여한 콘텐츠를 대상자별, 일자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 검색 회차별 평판 등급으로 관리하여 대상자의 평판이 변화되는 추이를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having the reputation rating can be managed by the target person and the date, and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hange in the reputation of the subject by managing the rating level according to the content search society.
더불어, 평판 관리 모듈(300)은 이와 같이 수행되는 평판관리의 정보를 대상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츠 분석 모듈(200), 등급 부여 및 갱신 모듈(310)에서 처리된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 생성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한 보고서 생성정보를 이용하여 평판관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평판관리 보고서는 대상자에 대한 평판관리를 수행한 날짜별 콘텐츠 등급들의 분포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전체 평판의 등급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평판관리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대상자에 대한 온라인 평판이 날짜별로 변화되는 추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평판관리 보고서를 기 등록된 대상자의 e-mail, 팩스, 오프라인 전송처(주소지)로 전송하여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 report, the
상기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320)은, 콘텐츠 삭제 처리 단계(S35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320)은 소정의 등급에 따라 삭제 등급으로 결정된 콘텐츠에 대하여 외부의 포털 사이트/SNS 관리자 계정, 관리자 e-mail 등과 연계되어 삭제 요청할 콘텐츠에 대하여 외부로 삭제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삭제요청은 해당 콘텐츠와 연계된 온라인 어드레스(URL)를 함께 전송하여 처리될 수 있다.The deletion request may be processed by transmitting an online address (URL) associated with the content.
또한, 상기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320)은 삭제 요청한 콘텐츠에 대하여 그 처리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삭제 처리결과의 수신은, 외부의 포털 사이트/SNS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e-mail, 팩스, 서신 등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처리 결과에 대하여 관리자가 입력하여 대상자 정보 DB(5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대상자 정보 DB(540)에 저장된 삭제 처리결과는 대상자 관리 모듈(400)에 의하여 대상자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content
대상자 관리 모듈(400)은, 관리 대상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관리 대상자에게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대상자 속성정보 부여단계(S122)를 수행할 수 있다.The target
도 8과 같이, 상기 대상자 관리 모듈(400)은, 대상자 정보 입력 모듈(410), 대상자 정보 관리 모듈(420) 및 보고서 관리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상기 대상자 입력 모듈(410)은, 관리 대상자의 정보 및 그 속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개인 혹은 단체인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이름 등의 대상자 정보를 입력 받으며, 나이, 성별, 직종, 직업 등의 속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ubject
상기 대상자 정보 관리 모듈(420)은, 상기 대상자 입력 모듈(410)에서 입력 받은 대상자 정보 및 속성 정보들을 관리하며, 평판 관리 모듈(300)과 연계하여 대상자의 평판 분석 결과를 링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 정보는 평판 관리 정보와 더불어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에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될 수 있다.The subject
상기 보고서 관리 모듈(430)은, 평판 관리 보고서를 대상자별로 관리하고 전송할 수 있다.The
도 8을 참고하면, 데이터베이스 모듈(500)은, 키워드 DB(510), 콘텐츠 DB(520), 보고서 DB(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온라인 콘텐츠, 키워드, 보고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8, the
100: 콘텐츠 수집 모듈
200: 콘텐츠 분석 모듈
300: 평판 관리 모듈
400: 대상자 관리 모듈
500: 데이터베이스 모듈100: content acquisition module
200: content analysis module
300: reputation management module
400: target person management module
500: Database module
Claims (16)
관리대상과 관련되는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들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키워드 수집단계;
상기 키워드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키워드들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속성값을 부여하는 키워드 속성 부여단계;
관리 대상에게 속성 정보를 부여하는 대상자 속성정보 부여단계;
상기 저장된 키워드들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에게 부여된 속성정보를 속성값으로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선정하는 매칭 키워드 추출단계;
상기 매칭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검색식을 설정하는 검색식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검색식을 사용하여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집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단계;
상기 수집한 온라인 콘텐츠들을 소정의 분류 규칙에 의하여 분류하고,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등급 부여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 search target evaluation through online content collection,
A keyword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and storing one or more keywords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related to a management object;
A keyword attribute assigning step of assigning at least one attribute value to each of the keywords collected in the keyword gathering step;
A subject attribut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assigning attribut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subject;
A matching keyword extracting step of selecting one or more keywords having attribut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management object among the stored keywords as an attribute value;
A retrieval express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retrieval expression to include the matching keyword;
An online contents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online contents using the set search formula;
A content rating assigning step of classifying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rule and assigning a rating;
A method of managing evaluation of a search object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상기 키워드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키워드들의 각각에 소정의 등급을 부여하는 키워드 등급 부여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eyword rating step of assigning a predetermined rating to each of the keywords collected in the keyword collection ste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키워드 수집단계에서 키워드를 수집하는 것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어 리스트를 구성하는 실시간 검색어들을 키워드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the keywords in the keyword collecting step includes:
Wherein the real-time search words constituting the real-time search word list provided by the Internet portal site are collected as keywords.
상기 콘텐츠 등급 부여단계는,
상기 키워드 등급 부여단계에서 등급이 부여된 키워드들이 온라인 콘텐츠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온라인 콘텐츠에 포함된 횟수를 계산하는 제1 키워드 노출빈도 계산단계; 또는 상기 검색식 내에 포함된 매칭 키워드들이 상기 수집한 온라인 콘텐츠에 포함된 횟수를 계산하는 제2 키워드 노출빈도 계산단계; 중의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키워드 노출빈도 계산단계 또는 제2 키워드 노출빈도 계산단계에서 노출된 키워드의 등급별 노출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rating step includes:
A first keyword exposure frequenc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keywords assigned the rating in the keyword rating step are included in the online contents collected in the online content collection step; Or a second keyword exposure frequenc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matching keywords included in the search formula are included in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 ≪ / RTI >
Assigning a rating of the conte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exposure of each of the keywords exposed in the first keyword exposure frequency calculation step or the second keyword exposure frequency calculation step; Wherein the search target evalua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상기 콘텐츠 등급 부여단계에서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 중에서 소정의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상에서의 삭제 절차를 수행하는 콘텐츠 삭제처리 단계;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to which a predetermined grade is assigned among the contents classified in the content classification step; Wherein the online content acquisi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상기 콘텐츠 등급 부여단계에서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관리대상에 대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하는 평판 등급 부여단계; 를 포함하는 평판 정보 생성단계,
상기 평판 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평판 보고서 생성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ating level assigning step of assigning a reputation on-line to an object to be manag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assigned the rating in the content rating assigning step; A flat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flat information,
A reputation repor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eput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online content;
검색 키워드를 수집하고, 수집한 검색 키워드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속성값과 소정의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
관리대상에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를 부여하고, 관리 대상과 연결된 속성정보를 관리하는 대상자 관리 모듈;
상기 검색 키워드 관리 모듈의 키워드들로부터 관리대상에 부여된 속성정보와 동일한 속성값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매칭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매칭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식을 구성하여 온라인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 모듈;
상기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고, 상기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콘텐츠 분석모듈;
상기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을 바탕으로 관리대상에 대한 온라인상에서의 평판을 부여하고, 그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평판 관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시스템.
A search object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A search keyword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search keywords, managing one or more attribute values and a predetermined rating for the collected search keywords, and managing the search keywords;
A target person management module for assigning one or more pieces of attribute information to a management target and managing attribute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management target;
A content search module for extracting at least one matching keyword having the same attribute value as the attribute information given to the management object from the keywords of the search keyword management module and configuring a search expression including the matching keyword to search for online content;
A content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online contents and assigning the rating of the contents;
A reputation management module for assigning a reputation on-line to a management subject based on the content assigned with the rating and generating a report on the result;
And a search target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llecting online contents.
상기 속성값을 부여한 키워드, 상기 매칭 키워드, 상기 검색한 온라인 콘텐츠, 또는 상기 생성한 보고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 database module for storing at least one of a keyword to which the attribute value is assigned, the matching keyword, the retrieved online content, or the generated report in a database; Wherein the search target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es:
상기 콘텐츠 분석 모듈에서 상기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상기 수집된 온라인 콘텐츠 내에 노출된 상기 검색 키워드 또는 매칭 키워드의 등급별 노출횟수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content analysis module,
Wherein the rating of the content is given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exposure of the search keyword or the matching keyword exposed in the collected online content.
상기 평판 관리 모듈은,
등급이 부여된 콘텐츠들 중에서 소정의 등급을 가지는 콘텐츠들에 대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수집을 통한 검색대상 평가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putation management module comprises:
A content deletion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on-line deletion processing on contents having a predetermined rating among the rated contents; Wherein the search target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74978A KR101804400B1 (en) | 2016-12-20 | 2016-12-20 |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74978A KR101804400B1 (en) | 2016-12-20 | 2016-12-20 |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04400B1 true KR101804400B1 (en) | 2018-01-11 |
Family
ID=6100414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749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4400B1 (en) | 2016-12-20 | 2016-12-20 |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0440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06884A (en) | 2022-01-07 | 2023-07-14 | 김소윤 | Content Collection Platform System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234090A (en) * | 2007-03-19 | 2008-10-02 | Fujitsu Ltd | Latest reput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14470B1 (en) * | 2015-05-15 | 2016-04-21 | 네이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word lis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978A patent/KR1018044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234090A (en) * | 2007-03-19 | 2008-10-02 | Fujitsu Ltd | Latest reput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
| KR101614470B1 (en) * | 2015-05-15 | 2016-04-21 | 네이버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word list and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06884A (en) | 2022-01-07 | 2023-07-14 | 김소윤 | Content Collection Platform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09830B1 (en) | Scoring User Consistency in Social Networks | |
| US8326818B2 (en) | Method of managing websites registered in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 |
| JP3943824B2 (en) |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 |
| JP2021534483A (en) |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survey results | |
| JP2000113064A (en) | Optimum acting person selection support system | |
| JP5905651B1 (en) |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ontrol program | |
| CN116070249B (en) | Asset data intelligen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 CN108171401A (en) | A kind of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of scientific research personnel | |
| Borradaile et al. | Whose tweets are surveilled for the police: An audit of a social-media monitoring tool via log files | |
| KR101804400B1 (en) | Search target evaluation and system through online contents collection | |
| WO2016203652A1 (en) | System related to data analysi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
| CN114969560A (en) | Crisis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vent situation and user cognition | |
| CN117473165B (en) | A user attention demand analysis an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 |
| KR10158318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ing problem sites | |
| CN116049168B (en) | Method for calculating resident portrait based on resident data relation aggregation portrait model | |
| JP2002342347A (en) | Knowledge storage supporting system and public summary providing method in the same | |
| CN114511185A (en) |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sset data | |
| KR101771634B1 (en) | System, Media, Program and Method on Generating Patent Licensing Prediction Information | |
| JP5156326B2 (en) | Search system | |
| KR20020069762A (en)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 appointed web site | |
| RU2555232C2 (en) | Method of generation and operation of data base | |
| JP432122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 Leidecker-Sandmann et al. | Female expertise in public discourses. Visibility of female compared to male scientific experts in German media coverage of eight science related issues | |
| Martínez et al. | Immigrant–native differences in multidimensional poverty after the great recession: a comparison of five European countries | |
| Steiger et al. | An advanc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on Spatiotemporal Analyses of Twitter Data–Technical Repor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1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