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47B1 -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Google Patents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3347B1 KR101633347B1 KR1020150119412A KR20150119412A KR101633347B1 KR 101633347 B1 KR101633347 B1 KR 101633347B1 KR 1020150119412 A KR1020150119412 A KR 1020150119412A KR 20150119412 A KR20150119412 A KR 20150119412A KR 101633347 B1 KR101633347 B1 KR 10163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eacon
- unit
- smart device
- location identif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06010013647 Drowni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nsmitter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업활동 중에는 근방의 파고 정보를 수신하여 해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어선 및 선박에 탑승한 조업자가 해난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익수 여부를 판단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GPS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조난자의 현재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위치정보와 익수 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신호를 관제센터와 비상연락망 및 주변어선으로 송신함에 따라 조난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으며,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두 기기와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구조를 요청하기에 혹시 모를 센서부의 고장에도 안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More specifically, during fishing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accidents by receiving nearby crest information, and when a fishing vessel or a person aboard the vessel automatically detects the temperature when a marine accident occurs, transmitted from By receiving the satellite signal at the GPS receiver and accurately grasp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ctim and transmitting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ubmers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and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urrounding fishing line, Identification Beacons and smart devices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in a low-power Bluetooth manner, so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wo devices is out of a certain range during fishing activities,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range is out of range. To an automatic distress reporting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which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sensor unit can be relieved even if the sensor unit is unkn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업활동 중에는 근방의 파고 정보를 수신하여 해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어선 및 선박에 탑승한 조업자가 해난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익수 여부를 판단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GPS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조난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위치정보와 익수 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신호를 관제센터와 비상연락망 및 주변어선으로 송신함에 따라 조난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으며,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두 기기와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구조를 요청하기에 혹시 모를 센서부의 고장에도 안심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More specifically, during fishing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accidents by receiving nearby crest information, and when a fishing vessel or a person aboard the vessel automatically detects the temperature when an accident occurs, The GPS receiver receives the satellite signal from the GPS receiver and accurately grasp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ctim and transmits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ubmers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and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urrounding fishing lin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smart device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by the low power Bluetooth metho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evice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range is out of range. The sensor can be relieved even if the sensor part is not known. It relates to the automatic distress beacon reporting system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and smart devices so.
해상에서의 재난사고에 있어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어업은 바다를 생산공간으로 하기 때문에 큰 위험성을 안고 있어서 다른 어떤 산업에 비해서도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가장 많이 입는 산업 부문이다.Fishing vessels account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disasters on the sea. Fishing is an industrial sector that is most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compared to any other industry, as it has great potential for sea production.
어선사고는 충돌, 기관손상이나 항만 근처에서의 폐어망, 폐로프 등에 의한 안전저해사건도 다발하고 있고, 대형 항만의 출입항로를 운항하는 화물선과 항로를 횡단하는 어선 간 충돌사고나 악천후로 인한 침몰사고 등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지만 소형 어선 및 선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조난이나 위급상황에 대비한 장치나 시스템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더욱 심각한 현실은 10톤 미만의 선박의 대부분이 1인 조업으로 사고가 나도 당사자 아니면 사고를 통보할 마땅한 수단과 방법이 없으므로 거의 실종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들에게는 과다한 구난 장치의 구입비용이 부담되는 경우도 있고, 운용상의 시스템이 미비하여 필수적인 구난 장치의 부착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Fishing accidents are often caused by collisions, damage to machinery, abandonment near the harbor, and closed rope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of collision between a cargo ship operating on the port of entry and exit of a large port and a fishing vessel crossing the port, ,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small fishing vessels and ships are not equipped with devices or systems for relatively distress or emergencies. More seriously, most of the vessels less than 10 tons are operated by a single person, and even if an accident occurs, there is often no way or means to notify the person of the accident, which leads to the disappearance or death. In some cases, the cost of purchasing an excessive rescue device may be burdensome. In reality, it is a reality that the operation system is insufficient and the attachment of the rescue device is insufficient.
이러한 정황으로 미루어볼 때, 소형어선의 해난사고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가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런 소형어선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해난사고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소형어선이나 조업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지속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도입이 바람직하다.Given these circumstances, it can be assumed that the severity of the accident of small fishing vessels.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 device and system that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small fishing boats or operators and maintain continuous communication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f such small fishing vessels and to take prompt action in case of a marine accident.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2011-0075090(2011.7.6.공개)Prior Art Document KR Patent Publication No. 2011-0075090 (published on July 6, 20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난사고를 예방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날씨정보를 알려주어 해난 사고를 1차적으로 예방하고, 해난사고 발생 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알리는데 도움을 주는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weather accid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istress reporting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which helps to inform the location of a distresser by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 cent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은 온도를 감지하여 익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익수가 판단되면 자동으로 조명을 켜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조명부, 위치식별 비콘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GPS 수신부 및 센서부와 GPS 수신부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제1 발신부를 포함하며 조업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는 위치식별 비콘;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distress reporting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the system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a temperatur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eacon is submerged; A first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beac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on the basis of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a sensor unit and a GPS receiver A first transmitter for receiv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wink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smart device in a low power Bluetooth manner;
각각의 위치식별 비콘에 해당하는 조업자의 인적사항과 비상연락망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위치식별 비콘의 제1 발신부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수신하는 비콘 정보 수신부, 비콘 정보 수신부로부터 발생 된 정보를 관제 센터와 주변어선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조난자의 비상연락망으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제2 발신부, 향해 중 주변 해상에 설치된 부표에 부착된 센서가 흔들리는 높낮이에 따라 물결의 높이를 산출하여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을 나타낸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파고 정보 수신부, 파고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에서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이 임계값 이상이고 부표에 부착된 센서의 위치가 스마트 기기를 기준으로 일정범위 이내일 시, 위험신호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제1 경보부, 비콘 정보 수신부에 의해 익수 상태라는 정보를 수신받으면 자동으로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는 제2 경보부 및 스마트기기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하고 어선이나 선박에 장착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A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ubwoofer information in a low power Bluetooth manner through a first transmitter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of the victim stored in the control center, the surrounding fishing boat, and the memory unit, an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ave A wave height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wave height value due to the wind intensity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a wave height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wave height information receiving unit, If the location is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smart device, periodically notify the danger signal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mart device,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shing boats or the ship when the beac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first alarm unit and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smart device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device.
또한, 센서부는 조난자의 신체부위 일부에 장착되어 조난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있다가 해상사고를 발생시, 센싱한 조난자의 체온에서 수온의 영향으로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시간 이내로 일정 온도 이상 낮아지게 될 경우, 센서부에서는 익수 상태로 판단하여 제1 발신부로 익수 정보를 송신하고, 그 이후에도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구간으로 내려갈 때마다 제1 발신부로 익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 body temperature of a victim attached to a part of a body part of a victim, when a temperature at which a sens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victim is detected by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ow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at the sensor unit is in the submerged state, transmits the submergence information to the first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submers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ransmitter every time the sensed temperature falls to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위치식별 비콘의 제1 발신부와 스마트기기의 비콘 정보 수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기기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제 2발신부로 송신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er of the smart device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in a low-power Bluetooth manner, so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smart device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during the fish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quest the struc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by requesting the structure of the beacon.
본 발명에 의하면, 파고 정보 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근방의 파고 정보를 수신하여 해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wave height information receiving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rine accident in advance by receiving wave height information in the vicinity of the fishing activ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선 및 선박에 탑승한 조업자가 해난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익수 여부를 판단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GPS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조난자의 현재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위치정보와 익수 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신호를 관제센터와 비상연락망 및 주변어선으로 송신함에 따라 조난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sherman or a shipborne person aboard a vessel detects a temperature in the event of a marine accident, the sensor automatically detects the temperature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ssel is submerged. The GPS receiver receives a satelli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ubmers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urrounding fishing li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reconstruct the victi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두 기기와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구조를 요청하기에 혹시 모를 센서부의 고장에도 안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smart device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in a low-power Bluetooth manner, so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evices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during the fish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range is out of range, , So that the structure is automatically requested to be submerged, so that it can be relieved even if the sensor part is not known.
도 1은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어업 활동 전 위치식별 비콘(100)과 스마트기기(200)의 장착과 메모리부(210)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GPS 수신부(140)와 파고 정보 수신부(24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파고 정보 수신부(240)에 의한 제1 경보부(22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해난 사고 발생 시 센서부(110)와 GPS 수신부(14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센서부(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단계적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발신부(150)와 비콘 정보 수신부(260)의 통신과 그 통신과 제2 경보부(23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제2 발신부(250)를 통한 구조요청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istress report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FIG. 2 is a view showing a
3 illustrates the role of the
4 is a view showing the role of the
5 illustrates the role of the
6 is a diagram showing a stepwis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of th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ransmitting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request through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어업 활동 전 위치식별 비콘(100)과 스마트기기(200)의 장착과 메모리부(210)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GPS 수신부(140)와 파고 정보 수신부(24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파고 정보 수신부(240)에 의한 제1 경보부(22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해난 사고 발생 시 센서부(110)와 GPS 수신부(14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센서부(1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단계적 송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1 발신부(150)와 비콘 정보 수신부(260)의 통신과 그 통신과 제2 경보부(230)의 역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제2 발신부(250)를 통한 구조요청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u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a smart devic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110), 조명부(120), 제1 전원부(130), GPS 수신부(140) 및 제1 발신부(150)를 포함하는 위치식별 비콘(100)과 메모리부(210), 제1 경보부(220), 제2 경보부(230), 제2 전원부(230), 파고 정보 수신부(240), 제2 발신부(250) 및 비콘 정보 수신부(260)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200)를 포함한다.1, the system includes a
보다 상세하게는, 조난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는 위치식별 비콘(100)은, 온도를 감지하여 익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110), 센서부(110)에 의해 익수가 판단되면 자동으로 조명을 켜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조명부(120), 위치식별 비콘(1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30),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2)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GPS 수신부(140) 및 센서부(110)와 GPS 수신부(14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200)로 전송하는 제1 발신부(15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어선이나 선박에 장착 되는 스마트기기(200)는, 각각의 위치식별 비콘에 해당하는 조업자의 인적사항과 비상연락망이 저장되는 메모리부(210), 위치식별 비콘(100)의 제1 발신부(150)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수신하는 비콘 정보 수신부(260), 비콘 정보 수신부(260)로부터 발생 된 정보를 관제 센터(3)와 주변어선(5) 및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조난자의 비상연락망(4)으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제2 발신부(250), 향해 중 주변 해상에 설치된 부표(1)에 부착된 센서(1a)가 흔들리는 높낮이에 따라 물결의 높이를 산출하여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을 나타낸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파고 정보 수신부(240), 파고 정보 수신부(260)에서 수신된 정보에서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이 임계값 이상이고 부표(1)에 부착된 센서(1a)의 위치가 스마트 기기(200)를 기준으로 일정범위 이내일 시, 위험신호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제1 경보부(220), 비콘 정보 수신부(260)에 의해 익수 상태라는 정보를 수신받으면 자동으로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는 제2 경보부(230) 및 스마트 기기(20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270)를 포함한다. The
또한, 조난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는 위치식별 비콘(100)의 센서부(110)는 조난자의 신체부위 일부에 장착되어 조난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있다가 해상사고를 발생시, 센싱한 조난자의 체온에서 수온의 영향으로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시간 이내로 일정 온도 이상 낮아지게 될 경우, 센서부(110)에서는 익수 상태로 판단하여 제1 발신부(150)로 익수 정보를 송신하고, 그 이후에도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구간으로 내려갈 때마다 제1 발신부(150)로 익수 정보를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위치식별 비콘(100)의 제1 발신부(150)와 스마트 기기(200)의 비콘 정보 수신부(26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위치식별 비콘(100)과 스마트 기기(200)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100)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제2 발신부(250)로 송신하여 구조를 요청한다.The first transmitting
일례로, 해난사고가 발생하기 전 예방과 발생한 후 대처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For example, the prevention before occurrence of a marine accident and the action after occurr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6,
도 2를 참조하면, 어업활동을 하는 조업자가 위치식별 비콘(100)을 신체 일부에 장착하고, 스마트 기기(200)를 어선이나 선박에 장착하여, 스마트 기기(200)의 메모리부(210)에 조업자 각각의 위치식별 비콘(100)에 해당하는 조업자의 인적사항과 비상연락망을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2, a fishermen carrying a fishing activity mounts a
도 3을 참조하면, 해난사고가 발생하기 전 위치식별 비콘(100)의 GPS 수신부(140)에서 GPS 위성(2)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고, 스마트 기기(200)의 파고 정보 수신부(240)는 주변 해상에 설치된 부표(1)에 부착된 센서(1a)가 흔들리는 높낮이에 따라 물결의 높이를 산출하여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을 나타낸 정보를 파고 정보 수신부(240)로 무선통신으로 실시간으로 수신한다.3, the
도 4를 참조하면, 파고 정보 수신부(240)에서 나타낸 파고의 값이 임계값 이상이고 부표에 부착된 센서의 위치가 스마트 기기를 기준으로 일정범위 이내일 시, 제1 경보부(220)는 위험신호를 주기적으로 알려준다.4, when the peak value indicated by the peak
도 5를 참조하면, 해난사고가 발생하여 조업자가 바다에 빠지면, 조업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어있던 위치식별 비콘(100)의 조난자의 체온을 감지하던 센서부(110)가 수온의 영향으로 감지되는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 온도가 10초 이내에 3℃ 이상 낮아지게 되면 센서부(110)에서는 익수 상태로 판단하여 해난사고가 발생하기 전 센싱되던 온도와 현재 센싱되는 온도를 포함하는 익수 정보를 1차적으로 제1 발신부(150)로 송신하고, GPS 수신부(140)에서 GPS 위성(2)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발생된 위치정보 또한 제1 발신부(150)로 송신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an accident occurs and a person is dropped into the sea, the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110)에서 제1 발신부(150)로 1차적으로 송신한 정보에서 현재 센싱 되는 온도가 3℃씩 내려갈 때마다 제1 발신부(150)로 익수 정보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식별 비콘(100)의 제1 발신부(150)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조난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기기(200)의 비콘 정보 수신부(260)를 나타내고, 정보를 받은 비콘 정보 수신부(260)는 제2 경보부(230)으로 신호를 보내 경보음을 울리게 하고, 구조요청을 하기 위해 제2 발신부(250)로 정보를 송신한다.7, the beacon
도 8을 참조하면, 제2 발신부(250)에서 스마트 기기(200)의 비콘 정보 수신부(26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관제센터(3), 메모리부(210)에 입력된 비상연락망(4), 주변어선(5)에 송신하여 구조를 요청한다.8, the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beacon
또한, 위치식별 비콘(100)의 제1 발신부(150)와 스마트 기기(200)의 비콘 정보 수신부(260)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위치식별 비콘(100)과 스마트 기기(200)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100)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제2 발신부(250)로 최근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구조를 요청한다.The first transmitting
또한, 스마트 기기(20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며, 조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부표 1a - 센서
2 - GPS 위성 3 - 관제센터
4 - 비상연락망 5 - 주변 어선
100 - 위치식별 비콘 200 - 스마트 기기
110 - 센서부 210 - 메모리부
120 - 조명부 220 - 제1 경보부
130 - 제1 전원부 230 - 제2 경보부
140 - GPS 수신부 240 - 파고 정보 수신부
150 - 제1 발신부 250 - 제2 발신부
260 - 비콘 정보 수신부
270 - 제2 전원부1 -
2 - GPS satellite 3 - Control center
4 - Emergency network 5 - Surrounding fishing boat
100 -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200 - Smart Device
110 - sensor unit 210 - memory unit
120 - illumination unit 220 - first alarm unit
130 - first power supply unit 230 - second alarm unit
140 - GPS receiver 240 - Fargo information receiver
150 - first output unit 250 - second output unit
260 - Beacon information receiver
270 -
Claims (3)
센서부에 의해 익수가 판단되면 자동으로 조명을 켜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조명부,
위치식별 비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GPS 수신부, 및
센서부와 GPS 수신부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제1 발신부
를 포함하며, 조업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는 위치식별 비콘; 및
각각의 위치식별 비콘에 해당하는 조업자의 인적사항과 비상연락망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위치식별 비콘의 제1 발신부를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익수 정보를 수신하는 비콘 정보 수신부,
비콘 정보 수신부로부터 발생 된 현재 위치정보와 익수 정보를 관제 센터와 주변어선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조난자의 비상연락망으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제2 발신부,
항해 중 주변 해상에 설치된 부표에 부착된 센서가 흔들리는 높낮이에 따라 물결의 높이를 산출하여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을 무선통신으로 수신하는 파고 정보 수신부,
파고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에서 바람의 세기로 인한 파고의 값이 임계값 이상이고 부표에 부착된 센서의 위치가 스마트 기기를 기준으로 일정범위 이내일 시, 위험신호를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제1 경보부,
비콘 정보 수신부에 의해 익수 상태라는 정보를 수신받으면 자동으로 경보음을 울려 알려주는 제2 경보부, 및
스마트기기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를 포함하고, 어선이나 선박에 장착되는 스마트 기기
를 포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센서부는
조난자의 신체부위 일부에 장착되어 조난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있다가 해상사고 발생시, 센싱한 조난자의 체온에서 수온의 영향으로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시간 이내로 일정 온도 이상 낮아지게 될 경우, 익수 상태로 판단하여 제1 발신부로 익수 정보를 송신하고, 그 이후에도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구간으로 내려갈 때마다 제1 발신부로 익수 정보를 송신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제1 발신부와 스마트기기의 비콘 정보 수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어업활동 중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기기의 거리가 일정구간을 벗어날 경우, 센싱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고 위치식별 비콘의 어선 이탈, 익수 상태라고 자동으로 제2 발신부로 송신하여 구조를 요청함으로써 센서부의 오작동에도 인명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to be submerged,
An illumination unit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s to display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sensor unit determines the submersion,
A first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 real time, a satellite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and
A fir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wakeup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GPS receiver in real time to the smart device in a low power Bluetooth manner,
A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mounted on a body part of the operator;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perator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A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wavenumber information in a low power Bluetooth manner through a first transmitter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beacon,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ubmers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o the emergency contact network of the victim stored in the control center,
A wave information receiver for calculating the wav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nsor attached to the buoy installed in the surrounding sea during the voyage and receiving the value of wave height due to wind intensity by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alarm unit for periodically notifying a danger signal when the value of the wave height due to wind strength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attached to the buo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smart device, ,
A second alarm unit that automatically sounds an alarm sound when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tate of being taken in by the beacon,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smart device,
And a smart device mounted on a fishing boat or ship
Lt; / RTI >
The sensor part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If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istressed person who is sensed by the sensed victim is lower than a certain temperatur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a marine accident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victim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part of the victim, Transmits wavenumber information to the first transmitter, transmits wavenumber information to the first transmitter every time the sensed temperature falls to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after,
The first beacon of the location beacon and the beac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the smart device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in a low power Bluetooth manner so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beacon and the smart device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during the fishing operation, The automatic distress reporting system using the location identification beacon and the smart device that enables the lifesaving structure of the sensor unit to be performed by requesting the structure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beacon's deviation from the fishing line and the drowning state to the second send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9412A KR101633347B1 (en) | 2015-08-25 | 2015-08-25 |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9412A KR101633347B1 (en) | 2015-08-25 | 2015-08-25 |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33347B1 true KR101633347B1 (en) | 2016-06-24 |
Family
ID=563435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19412A Active KR101633347B1 (en) | 2015-08-25 | 2015-08-25 |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33347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6831B1 (en) * | 2017-08-28 | 2018-03-09 | (주)에스알씨 |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
| KR20180033833A (en) * | 2016-09-26 | 2018-04-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ufferer on the Sea |
| KR20180042655A (en) * | 2016-10-18 | 2018-04-26 |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
| KR20190033878A (en) * | 2017-09-22 | 2019-04-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marine distress situation |
| KR102068174B1 (en) * | 2019-06-12 | 2020-01-20 | 에이티온 주식회사 | System for asset management with low power consumption |
| KR20210045168A (en) | 2019-10-16 | 2021-04-26 | 주식회사 지노시스 | Distress reporting and rescue request system of web-based using nfcqr |
| KR20220029880A (en) | 2020-09-02 | 2022-03-10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Wireless alarm signal generator for marine lifesaving and alarm signal generating system for marine lifesaving using the same |
| KR20220102792A (en) * | 2021-01-14 | 2022-07-21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Marine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location-based buoy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68018A (en) * | 2008-12-12 | 2010-06-22 | 21세기미래산업 주식회사 | Lifesaving system for tracking victim position on sea |
| KR101066406B1 (en) * | 2011-04-19 | 2011-09-21 | (주)동남티디에스 | Maritime Control System and Maritime Control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
| KR101256947B1 (en) * | 2011-02-25 | 2013-04-25 | 주식회사 맥스포 | Ubiquitous sensor networks system |
-
2015
- 2015-08-25 KR KR1020150119412A patent/KR1016333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68018A (en) * | 2008-12-12 | 2010-06-22 | 21세기미래산업 주식회사 | Lifesaving system for tracking victim position on sea |
| KR101256947B1 (en) * | 2011-02-25 | 2013-04-25 | 주식회사 맥스포 | Ubiquitous sensor networks system |
| KR101066406B1 (en) * | 2011-04-19 | 2011-09-21 | (주)동남티디에스 | Maritime Control System and Maritime Control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33833A (en) * | 2016-09-26 | 2018-04-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ufferer on the Sea |
| KR102325827B1 (en) * | 2016-09-26 | 2021-11-11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ufferer on the Sea |
| KR20180042655A (en) * | 2016-10-18 | 2018-04-26 |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
| KR101836831B1 (en) * | 2017-08-28 | 2018-03-09 | (주)에스알씨 |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
| KR20190033878A (en) * | 2017-09-22 | 2019-04-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marine distress situation |
| KR101984663B1 (en) * | 2017-09-22 | 2019-06-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marine distress situation |
| KR102068174B1 (en) * | 2019-06-12 | 2020-01-20 | 에이티온 주식회사 | System for asset management with low power consumption |
| KR20210045168A (en) | 2019-10-16 | 2021-04-26 | 주식회사 지노시스 | Distress reporting and rescue request system of web-based using nfcqr |
| KR20220029880A (en) | 2020-09-02 | 2022-03-10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Wireless alarm signal generator for marine lifesaving and alarm signal generating system for marine lifesaving using the same |
| KR102448955B1 (en) * | 2020-09-02 | 2022-09-28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Wireless alarm signal for marine lifesaving and marine lifesaving alarm system using the same |
| KR20220102792A (en) * | 2021-01-14 | 2022-07-21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Marine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location-based buoys |
| KR102512939B1 (en) * | 2021-01-14 | 2023-03-21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Marine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location-based buoy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33347B1 (en) |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 |
| US7119694B2 (en) | Proximity dead man interrupter, alarm and reporting system | |
| AU2006212052B2 (en) |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 EP2688052B1 (en) | Maritime alarm and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system | |
| US11097811B2 (en) | System for securing a submerged buoy | |
| KR101791379B1 (en) | Distress Support and Response System for Small Ship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 KR10211656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ress passenger of vessel | |
| US1009340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 |
| KR102170351B1 (en) |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a man overboard person | |
| KR20170007639A (en) | Ship safety management system | |
| KR102055583B1 (en) |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 |
| CN103129720A (en) | Anti-collision signal device of ship and method | |
| KR20160052885A (en) | Ship accident alarming system in an ocean | |
| KR101995259B1 (en) | Man overboard alert apparatus using wireless device | |
| KR101942020B1 (en) | A Remote Informationl Unit system that is based on group communication for buoys | |
| KR20140115684A (en) | Small Ship's Integrated Automatic Location Informing System | |
| KR20220125398A (en) | Ship Safety Operation Support System | |
| KR102142381B1 (en) | Marin safety alarm system and method the same | |
| GB2506108A (en) | A marine vessel emergency warning system incorporating recording means | |
| CN212256586U (en) | Safety device suitable for construction ship on water | |
| KR20140040967A (en) | Maritime rescue system and method | |
| WO2021198629A1 (en) | Vessel location monitoring system | |
| KR20150102392A (en) | Method for ship collision prevention by using multiplex position data of ship | |
| KR102338081B1 (en) | 2 Way EPIRB | |
| KR20240075149A (en) |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Rescue Work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