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1573118B1 -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 Google Patents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118B1
KR101573118B1 KR1020130155765A KR20130155765A KR101573118B1 KR 101573118 B1 KR101573118 B1 KR 101573118B1 KR 1020130155765 A KR1020130155765 A KR 1020130155765A KR 20130155765 A KR20130155765 A KR 20130155765A KR 101573118 B1 KR101573118 B1 KR 10157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gpu
cpu
bio
l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9405A (en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18B1/en
Publication of KR2015006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81Scheduling strategies for dispatcher, e.g. round robin, multi-level priority que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의료센터에 생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스마트 단말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둘 이상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코어 및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고, 시리얼(serial)로 되어 있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Fragmentation)하여 프로세싱(processing) 태스크(task)를 생성하고, 조각화된 프로세싱 태스크를 상기 둘 이상의 GPU 코어에 할당하는 태스크 스케쥴러(Task schedul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단말의 기능 확장을 통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진입 장벽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erminal for receiving a living body signal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a living body signal to a related medical center through the Internet, compri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E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receives biometric signal data from two or more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cores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r processing a screen output and at least one sensor for collecting biometric signals, and divides the biometric signal data, And a task scheduler that generates a processing task by fragmenting the fragmented processing task and allocates the fragmented processing task to the at least two GPU c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rriers to entry into mobile healthcare can be eliminated by extending functions of smart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Description

현장 의료 진단을 위한 스마트 단말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0001] Smart terminal for on-site medical diagnosis [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의 스마트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 의료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 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erminal used for on-site medical diagnosi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의 기능이 단순 통화기능에서 데이터 통신은 물론 동영상 이미지까지 전송해주는 멀티미디어폰으로 발전하고 있다.Generally, as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 of a mobile phone is developing as a multimedia phone which transmits a simple call function, 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moving image.

또한 사회적인 측면에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평균수명이 상승함에 따라 고령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웰빙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기본적으로 개인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the living standard increases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and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As interest in the well-being lifestyle that pursues a happy life increases, interest in the individual's health and safety is increasing. to be.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이동 단말기(예컨대, 휴대폰)를 이용하여 건강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 점차 개발되어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374979호로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위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등록된바 있다.In response to this tendency, technologies for providing health-related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s (e.g., mobile phones)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4979 has been proposed as "a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 Method "has been registered.

상기 종래기술은 휴대폰에 진동센서부와 저주파감지부를 구비하여 이용자의 보행수와 심장 박동수를 검출한 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개인별 건강관련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related art, a mobile phone has a vibration sensor unit and a low-frequency sensor unit to detect the number of walking and heart rate of a user and transmit the detected number to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rver analyzes the information to provide individual health- hav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건강관련 서비스 제공기술들은 이용자의 생체정보 중 극히 일부만을 검출하여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므로 건강관련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서비스 내용도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health-related service providing technologies detect only a small part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e health related information, so that health related information is not accurate and service contents are extremely limited.

또한 한국특허 등록 제10-0397756호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계한 종합 안전 관리 시스템과 같이 인간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차량(자동차, 전동차, 기차), 선박, 항공기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이 적용되는 이동체의 안전관리 기술로 안전 및 관리를 이루도록 이동체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계한 안전 및 관리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동체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계하고, 이 밖에 등록 콜센터, 경찰청 등을 연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동체(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자가진단, 관제, 비상, 차량제어, 교통정보 제공 및 기타 이동체 차량의 정보 및 안전과 관리와 관련한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In addition,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utomobiles, electric trains, trains), ships, aircraft and the like have been applied to human-use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link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97756. , A ship, an aircraft, and so on, the safety and management system that links the mobile bod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lemented in order to achieve safety and management, and the mobile bod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linked.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vehicle, the control of the vehicle, the provision of traffic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and safety and management of the vehicle are introduced.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관리대상물을 선박, 항공기, 중장비 및 중요시설의 안전장치에 한정하고 있어서 대상물 설정에 제약이 있고, 통신접속이 끊기거나 반응속도가 느리고 통신이용료의 경제성문제가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technology restricts the objects to be managed to safety devices for ships, aircraft, heavy equipment, and important facilities,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object setting,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ut off or the reaction speed is slow and the economical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fee is obstructed in commercialization There was a problem.

한편, 통신망의 발전은 지구촌 곳곳의 정보를 시차 없이 전달하는 정보의 바다라 불리는 국제 컴퓨터통신망 인터넷은 인류 만인에게 매우 중요하고 유용해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called the sea of information that conveys the information of every part of the world at an unspectacular time. The international computer network Internet is very important and useful to all human beings and it is a technology that broadens the choice for all the members of society.

이를 이용한 전자 정보 통신의 IT기술 역사는 무선통신으로 호출번호를 찍으면 상대방 기기에 주문 번호가 찍히고 찍힌 그 호출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통화를 하였던 아날로그기능의 단순 삐삐(전성기; 1990년)시대를 지나 휴대 셀룰러 폰(음성기능)을 만든(1973년) 모토로라 전 부사장 마틴 쿠퍼의 단순음성휴대전화 기술시대를 지나 현재는 문자와 영상이 실시간 전송되는 피쳐폰 기술이 일반화되어 있다.The IT technology history of electronic information communication using this is that when the calling number is taken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order number is taken on the other devic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simple pager of the analog function which called by calling the calling number, Former vice president of Motorola (1973) who made cellular phone (voice function) After Martin Kofer's simple voice mobile phone technology era, feature phone technology that transmits characters and images in real time is generalized.

상기 인터넷기술, IT기술, 위성통신망기술이 결합해 음성, 문자, 영상을 송수신하는 피쳐폰(feature phone)은 삐삐, 셀룰러폰에 비해 혁신적인 IT기술이다.The feature phone, which combines the Internet technology, IT technology, an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text, and image, is an innovative IT technology compared to a pager and a cellular phone.

그러나 최근 애플의 아이폰(iphone), 삼성의 갤럭시S 스마트폰(smartphone) 등은 웹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하거나 다운받아 활용성을 더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등으로 인하여 휴대폰이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이 소프트웨어 실행을 위해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의 운영 체제, 구현 기능 등이 피쳐폰 독점시장을 허물어내고 있다.However, recently, Apple's iPhone (iphone), Samsung's Galaxy S smartphone (smartphone), etc., can not be used as a personal computer Operating systems and implementation functions, such as providing interfaces and platforms for software execution, are destroying the feature phone monopoly market.

상업적 네트워크를 성공시킨 모자이크(Mosaic) 브라우저 출시로 월드와이드페이지를 보기 위한 웹 브라우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등을 이용하는 통신기기 피쳐폰, 스마트폰으로 접속하는 웹 접속으로 호모 모빌리스에 연결 이용자가 원하는 음악 듣기, 길안내, 일정관리, 전자책 보기, 증강현실구현방법 등 피쳐폰이 할 수 없었던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이 자체적으로 제작하거나 다운받아 활용성을 더할 수 있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로 대표되는 온라인구축서비스(SNS) 모바일기능 등으로 인하여 PC와 같은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여 이용자들로부터 검색 점유율을 올리려는 SNS서비스개선기능 등의 이용 편리성을 얻으려는 기술개발 경쟁이 포털, 웹, 홈페이지 등의 하위 사이트로 내려갈수록 응용프로그램 개발 경쟁은 치열하다.Web browser for launching Mosaic browser with successful commercial network Web browser for accessing world wide page by using Microsoft's Internet Explorer, Mozilla's Firefox, etc. Feature phone, Connect to Mobilis Facebook, which allows smartphones to create and download applications that feature phones can not use, such as listening to music, getting directions, scheduling, viewing e-books, and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nd SNS (Mobile Social Networking Service), which is represented by Twitter, provide a PC-like interface and platform, and the SNS service improvement function to increase the search share from the users, , Web, homepage, etc., Development of competition is fierce.

상기 피쳐폰(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phone)의 서비스기술시장에 소형 PC라 불리는 태블릿PC에 마이크로 소프트(MS) 윈도7의 운영체제(OS)탑재 웹캠과 SD카드슬롯과 마이크로 HDMI 단자와 다른 와이파이(무선랜) 블루투스 외에 와이맥스(와이브로)에도 접속할 수 있는 아이패드(ipad)와 구별되는 태블릿PC가 개발 상용화 초기단계이며, 인터넷기술과 IT기술이 위성통신망기술과 결합해 이용되는 인터넷통신망의 IT기기의 구현시스템은 피쳐폰 이후 스마트폰, 스마트폰 이후 태블릿PC폰, 또 데스크톱PC, 또 노트북PC로 이어지는 차세대 PC기기는 인터넷 망과 그 인터넷망에 연결하고, 그 인터넷망에 연결된 IT기기를 접속시키고, 접속 후 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서비스 주체의 주시 관점 결정 결과에 따라 서비스 질과 량의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In the service technology market of the feature phone and the smartphone, a tablet PC called a small PC is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S) of Microsoft (MS) Windows 7, a webcam and an SD card slot, a micro HDMI terminal and another Wi- (Wi-LAN) In addition to Bluetooth, Tablet PC, which is different from iPad that can connect to WiMAX, is in the initial stage of commercialization. It is an IT device of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at Internet technology and IT technology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The next generation PC device that connects to smartphone, smartphone, tablet PC phone, desktop PC, and notebook PC after the feature phone connects to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and connects IT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 The result of service quality and amount of service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viewpoint decision of the service entity managing and operating the service after connection.

최근에는 상기 인터넷기술, IT기기기술, 위성통신망기술을 결합해 이용하는 통신망의 구현시스템과 또 상기 피쳐폰 이후 스마트폰, 스마트폰 이후 태블릿PC, 데스크톱PC, 노트북PC, 스마트TV로 이어지는 차세대 PC기기에 데이터 분석을 정교한 수학적 계산방식에서, 지성적이며 감성적으로 하려는 지능적 판단과 역할이 실시 실행되게 하려는 모바일 CPU(사람의 두뇌)와 GPU(다중 모니터)기술이 나날 히 발전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ystem for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mbines Internet technology, IT device technology, an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and a next-generation PC device that includes smart phones, tablet PCs, desktop PCs, The mobile CPU (human brain) and GPU (multi-monitor) technologies are evolving to make intelligent decisions and roles that make data analysis more sophisticated, mathematical, intelligent and emotional.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는 인터넷 검색, 멀티미디어 재생 등 다양한 가능성 지향기능을 제공하면서 실행속도도 1 ㎓ 수준으로 높아져 업체간 기술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In the mobile device, the execution speed is also increased to 1 GHz, providing various possibilities oriented functions such as Internet search and multimedia reproduction, and the competition among the companies is intensifying.

최근 개인화된 의료서비스에 대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신규 센서 개발에 많은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여기서 생체신호의 간헐적인 모니터링, 임계치 기반의 알람(Alarm), 데이터 업로드가 주대상이 된다.Recently,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for personalized medical services. In this trend, much attention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sensors, where the main subject is intermittent monitoring of biological signals, alarms based on thresholds, and data uploading.

이러한 의료서비스에 대해서 별도의 모니터링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separate monitoring terminal is used for such medical service, which increases the cost.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단말이 활용되는 경우 단순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와 같은 제약으로 고객 침투율이 낮다. In addition, when smart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used, most of them are used for simple display purposes.

그리고, 에너지 효율적인 지속적 생체신호 프로세싱이 요구되는데, 보급률이 높은 스마트 단말을 활용하여 1차 로컬 프로세싱을 할 경우 많은 장점이 있다. 예컨대, 조기 위험진단 및 유사 시 원격진료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고,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고, 경제적인 현장 진단(Point-of-Care, POC) 테스팅 기기로 확장하여 활용 가능하다. In addition, energy-efficient continuous bio-signal processing is required, and there are many advantages when first-order local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a highly-smart smart terminal. For example, it can request early risk diagnosis and telemedicine in similar cases, utilize various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can be extended to use as an economical point-of-care (POC) test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활용예는 전용단말 대비 전력소모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다양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공존하여 범용화하기 어렵고, 대형 디스플레이 및 고성능 CPU 사용으로 기본 소비 전력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n application example using the smart terminal is difficult to manage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a dedicated terminal, and various user applications coexist and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and large power consumption is large due to use of a large display and a high performance CPU.

한국 특허 등록 10-037497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4979 한국 특허 등록 10-039775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9775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장 의료 진단을 위한 스마트 단말의 생체신호 프로세싱(Processing)에 대한 에너지를 효율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energy efficient processing of bio-signal processing of a smart terminal for on-site medical diagnosis.

이를 위하여, 스마트 단말에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모바일 GPU 기반의 생체신호 로컬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설계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For this purpose, there is another purpose of collecting sensing data in a smart terminal, designing an algorithm, and designing a mobile GPU based bio-signal local processing algorith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의료센터에 생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스마트 단말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둘 이상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코어 및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고, 시리얼(serial)로 되어 있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Fragmentation)하여 프로세싱(processing) 태스크(task)를 생성하고, 조각화된 프로세싱 태스크를 상기 둘 이상의 GPU 코어에 할당하는 태스크 스케쥴러(Task scheduler)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terminal for receiving a living body signal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a living body signal to an associated medical center through the Internet, Processing unit), two or more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cores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f a smart terminal or processing a screen output, and biometric signal data from at least one sensor for collecting bio-signals, And a task scheduler for fragmenting the bio-signal data to generate a processing task and allocating a fragmented processing task to the two or more GPU cores.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최소 시간 동안만 GPU 코어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생체 신호를 버퍼링할 수 있다. The task scheduler may buffer the bio-signal so that the GPU core is activated for a minimum amount of time.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GPU 코어 개수만큼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할 수 있다. The task scheduler may fragment the bio-signal data by the number of GPU cores.

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각 생체신호 별 프로세싱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각 생체신호의 프로세싱이 서로 다른 타임 슬롯에 할당되도록 버퍼링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bio-signal from two or more sensors, the task scheduler can buffer the processing of each bio-signal to be assigned to different time slots if the processing time difference for each bio-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에 상기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load)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 및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에 상기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terminal includes a CPU processing algorithm for providing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PU processing to the task scheduler and a GPU processing algorithm for providing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PU processing to the task scheduler algorithm).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CPU와 상기 GPU의 로드 별 파워 소모 특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DB(Database) 테이블화하고, 생체신호의 입력 로드에 따라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를 예측하고, 상기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상기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에 기반하여 프로세싱의 에너지 효율성 및 최적 로드 분산을 결정할 수 있다.The task scheduler quantifies th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PU and the GPU according to the load, DB (Database) tables them, predicts a load due to the CPU processing and a load according to the GPU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load of the bio-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cessing and the optimal load distribu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C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CPU processing algorithm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G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GPU processing algorithm.

상기 스마트 단말은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에너지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에너지 비용을 기반으로 상기 CPU 및 상기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Wherein the smart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battery, the task scheduler calculating an energy cost in conjunction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sed on the calculated energy cost, the CPU and the GPU Can be scheduled.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싱 딜레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상기 CPU 및 상기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The task scheduler may schedule a task between the CPU and the GPU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a processing dela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단말의 기능 확장을 통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진입 장벽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rriers to entry into mobile healthcare can be eliminated by extending functions of smart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또한, 스마트 단말의 모바일 헬스 케어 용도 사용 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nergy can be efficiently used when a smart terminal uses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의료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의 조각화 및 GPU코어에 연산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medical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ragmentation of a bio-signal and an operation allocation method in a GPU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의료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medical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1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념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smart terminal 100 is a concep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스마트 단말(100)은 무선 바디 센서 등의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의료센터에 생체신호를 송신한다. The smart terminal 100 receives a biometric signal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such as a wireless body sensor, and transmits the biometric signal to the related medical center via the Internet.

본 발명에서는 현장 의료 진단(Point-of-care, POC)을 위한 스마트 단말의 생체 신호 프로세싱 에너지 효율화를 추구하고, 이를 위하여 복수 생체 신호의 GPU 프로세싱을 위한 데이터 가공 기술과, 프로세싱 로드 및 에너지 소모 예측에 따라 GPU와 CPU 간 태스크를 할당 및 스위칭하는 방안을 기술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ignal processing energy efficiency of a smart terminal for point-of-care (POC) is sought, and a data processing technique for GPU processing of multiple bio-signals, a processing load and an energy consumption prediction And assigning and switching tasks between the GPU and the CPU.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의 조각화 및 GPU코어에 연산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ragmentation of a bio-signal and an operation allocation method in a GPU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PU란 컴퓨터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연산처리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의 그래픽 처리 작업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그래픽카드 또는 마더보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래픽카드 또는 마더보드에서 그래픽에 관련된 연산을 처리하는 반도체 칩을 말한다. GPU는 그래픽 프로세서 또는 간단히 GPU(graphics processing unit)라고도 한다.A GPU is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image information of a computer or outputs a screen image. The GPU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graphic processing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The GPU is included in a graphics card or a motherboard. Quot; refers to a semiconductor chip that processes an operation. A GPU is also called a graphics processor or simply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GPU는 중앙처리장치(CPU)의 그래픽 작업으로 인해 생기는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2D 또는 3D 그래픽을 CPU가 처리하는 것보다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가속기능 때문에 그래픽카드를 그래픽가속기(graphics accelerator)라고도 하며, 그래픽카드의 성능은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비디오 램(RAM)에 따라 달라진다.The GPU was created to address bottlenecks caused by the graphics work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can process 2D or 3D graphics faster than CPU processing. Because of this graphics acceleration, the graphics card is also called a graphics accelerator,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phics card depends on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video RAM (RAM).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은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시리얼(serial) 타입의 생체신호를 조각화(Fragmentation) 후, 프로세싱 태스크(processing task)를 복수의 GPU 코어에 할당(assignment)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smart terminal performs fragmentation of a serial type bio signal input from a sensor, and then assigns a processing task to a plurality of GPU cor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은 태스크 스케쥴러(Task scheduler)(310),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코어,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320),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330),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340)을 포함한다. 3,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sk scheduler 31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core, a GPU processing algorithm 320, A processing algorithm 330,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340.

CPU는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PU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GPU 코어(core)는 스마트 단말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있다.The GPU core plays a role of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or processing the screen output, and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고, 시리얼(serial)로 되어 있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Fragmentation)하여 프로세싱(processing) 태스크(task)를 생성하고, 조각화된 프로세싱 태스크를 둘 이상의 GPU 코어에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The task scheduler 310 receives bio-signal data from at least one sensor for collecting bio-signals, and generates a processing task by fragmenting the bio-signal data in serial form , And assigning fragmented processing tasks to more than one GPU c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최소 시간 동안만 GPU 코어가 활성화되도록 생체 신호를 버퍼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scheduler 310 may buffer the biometric signal such that the GPU core is activated for a minimum amount of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GPU 코어 개수만큼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scheduler 310 may fragment the bio-signal data by the number of GPU cores.

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각 생체신호 별 프로세싱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각 생체신호의 프로세싱이 서로 다른 타임 슬롯에 할당되도록 버퍼링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receiving biometric signals from two or more sensors, the task scheduler 310 may buffer the processing of each bio-signal to be assigned to different time slots if the processing time difference for each biometric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320)은 태스크 스케쥴러(310)에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load)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CPU processing algorithm 320 serves to provide the task scheduler 310 with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CPU processing.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330)은 태스크 스케쥴러(310)에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GPU processing algorithm 330 serves to provide the task scheduler 310 with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GPU processing.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CPU와 GPU의 로드 별 파워 소모 특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DB(Database) 테이블화하고, 생체신호의 입력 로드에 따라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를 예측하고,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에 기반하여 프로세싱의 에너지 효율성 및 최적 로드 분산을 결정한다. The task scheduler 310 quantifies th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PU and the GPU according to the load, DB (Database) tables them, predicts the load according to the CPU processing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GPU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load of the bio- Determines the energy efficiency and optimal load distribution of the processing based on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C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CPU processing algorithm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G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GPU processing algorithm.

배터리 관리 시스템(340)은 배터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340 serves to manage the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340)과 연동하여 에너지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에너지 비용을 기반으로 CPU 및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싱 딜레이(delay)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CPU 및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scheduler 310 may calculate the energy cost in conjunction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340, and may schedule tasks between the CPU and the GPU based on the calculated energy cost. Here, the task scheduler 310 can schedule tasks between the CPU and the GPU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processing dela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에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CPU와 GPU의 로드별 파워소모 특성을 정량화하고, DB 테이블화한다. 이를 위하여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실시간 측정 또는 사전측정 데이터를 하드코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scheduler 310 quantifies th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CPU and the GPU according to the load, and DB-tables them. To this end, the task scheduler 310 hard-codes real-time measurements or pre-measurement data.

p_cpu(load)는 CPU 로드에 따른 파워소모 함수이고, p_gpu(load)는 GPU 로드에 따른 파워소모 함수이다. p_cpu (load) is the power consum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PU load, and p_gpu (load) is the power consum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GPU load.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생체신호의 입력로드(load)에 따라 CPU 프로세싱 로드와 GPU 프로세싱 로드를 예측한다. The task scheduler 310 predicts the CPU processing load and the GPU processing load according to the input load of the bio-signal.

load_cpu(a × load)는 할당 신호 로드에 따른 CPU 로드 변환 함수이고, load_gpu((1 - a) × load)는 할당 신호 로드에 따른 CPU 로드 변환 함수이다.load_cpu (a × load) is a CPU load conver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llocation signal load, and load_gpu ((1 - a) × load) is a CPU load conver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allocation signal load.

a(0 ≤ a ≤ 1)는 로드 분산 팩터이다. a (0? a? 1) is a load dispersion factor.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각각의 현 로드에 기반하여 프로세싱의 에너지 효율성을 예측하고, 최적 로드 분산을 결정한다. 아래와 같이 표현되는 총 에너지 소비를 CPU와 GPU간 로드 분산 팩터 a에 대해서 최소값을 구하여 적용한다. The task scheduler 310 predicts the energy efficiency of processing based on each current load and determines the optimal load distribution.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expressed as follows is obtained by applying the minimum value to the load dispersion factor a between the CPU and the GPU.

E(a) = p_cpu(cload_cpu + load_cpu(a × load)) × nT_cpu(a × load) + p_gpu(cload_gpu + load_gpu((1 - a) × load)) × nT_gpu((1 - a) × load) Load (1-a) load) nT_gpu ((1-a) load) clp_cpu (cl_cpu + load_cpu (a x load) nt_cpu (a x load) + p_gpu (cload_gpu +

여기서, E(a)는 총 소비 에너지로서 a에 대한 함수이고, cload_cpu는 기존의 CPU의 인가 로드이고, cload_gpu는 기존의 GPU의 인가 로드이고, nT_cpu(a × load)는 인가된 생체신호 프로세싱을 위한 CPU의 동작 소요 시간이고, nT_gpu((1 - a) × load)는 인가된 생체신호 프로세싱을 위한 GPU의 동작 소요 시간이다. Here, E (a) is a function of a as a total energy consumption, cload_cpu is an authorization load of a conventional CPU, cload_gpu is an authorization load of an existing GPU, and nT_cpu (a x load) , And nT_gpu ((1 - a) × load)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GPU for processing the bio signal.

본 발명에서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340)과의 연동을 통한 에너지비용을 산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scheduler 310 calculates the energy cost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340.

태스크 스케쥴러(310)는 현재 배터리 잔량에 따라 다른 전략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잔량이 많은 경우 프로세싱 딜레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아래와 같이 표현되는 에너지 소비에 따른 비용(Cost)을 로드 분산 팩터에 따라 최소화하는 a를 구하여 적용한다. The task scheduler 310 operates in a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current remaining battery level, and operates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processing delay when the remaining amount is large. A, which minimizes the cost due to the energy consumption express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load dispersion factor, is applied.

Cost(a) = e_price(cbattery) × E(a)Cost (a) = e_price (cbattery) x E (a)

여기서, e_price(cbattery)는 현재 배터리 잔량(cbattery)에 따른 에너지 소모의 비용이다.
Here, e_price (cbattery) is the cost of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battery charge (cbattery).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스마트 단말 310 태스크 스케쥴러
320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 330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
340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0 Smart Terminal 310 Task Scheduler
320 GPU processing algorithm 330 CPU processing algorithm
340 Battery management system

Claims (8)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관련 의료센터에 생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스마트 단말의 영상정보를 처리하거나 화면 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둘 이상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코어; 및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고, 시리얼(serial)로 되어 있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Fragmentation)하여 프로세싱(processing) 태스크(task)를 생성하고, 조각화된 프로세싱 태스크를 상기 둘 이상의 GPU 코어에 할당하는 태스크 스케쥴러(Task scheduler)를 포함하되,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최소 시간 동안만 GPU 코어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생체 신호를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1. A smart terminal for receiving a living body signal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transmitting a living body signal to an associated medical center via the Internet,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t least two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cores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f a smart terminal or for processing a screen output;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bio-signal, comprising: receiving bio-signal data from at least one sensor for collecting a bio-signal; generating a processing task by fragmenting the bio-signal data in serial; And a task scheduler that allocates the task scheduler to the two or more GPU cores,
Wherein the task scheduler buffers the bio-signals so that the GPU core is activated only for a minimum amount of tim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GPU 코어 개수만큼 생체 신호 데이터를 조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sk scheduler segments the bio-signal data by the number of GPU cores.
청구항 1에 있어서,
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각 생체신호 별 프로세싱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각 생체신호의 프로세싱이 서로 다른 타임 슬롯에 할당되도록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sk scheduler buffers the processing of each of the bio-signals so that the processing time of each of the bio-signals is allocated to different time slots if the processing time difference of each of the bio-signa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에 상기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load)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 및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에 상기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terminal includes:
A CPU processing algorithm for providing the task scheduler with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PU proces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GPU processing algorithm for providing the task scheduler with l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PU proces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CPU와 상기 GPU의 로드 별 파워 소모 특성을 정량화하고, 이를 DB(Database) 테이블화하고, 생체신호의 입력 로드에 따라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를 예측하고, 상기 C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C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와 상기 GPU 프로세싱 알고리즘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GPU 프로세싱에 따른 로드에 기반하여 프로세싱의 에너지 효율성 및 최적 로드 분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of claim 5,
The task scheduler quantifies the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PU and the GPU according to the load, DB (Database) tables them, predicts a load due to the CPU processing and a load according to the GPU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put load of the bio- And determines the energy efficiency and optimal load distribution of processing based on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C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CPU processing algorithm and the load according to the current GPU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GPU processing algorith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에너지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에너지 비용을 기반으로 상기 CPU 및 상기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The smart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battery,
Wherein the task scheduler calculates an energy cost in cooperation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schedules a task between the CPU and the GPU based on the calculated energy cos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스케쥴러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싱 딜레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상기 CPU 및 상기 GPU 간의 태스크를 스케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ask scheduler schedules a task between the CPU and the GPU in a direction that minimizes a processing dela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KR1020130155765A 2013-12-13 2013-12-13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Active KR101573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65A KR101573118B1 (en) 2013-12-13 2013-12-13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765A KR101573118B1 (en) 2013-12-13 2013-12-13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05A KR20150069405A (en) 2015-06-23
KR101573118B1 true KR101573118B1 (en) 2015-12-01

Family

ID=5351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765A Active KR101573118B1 (en) 2013-12-13 2013-12-13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71B1 (en) * 2016-12-06 201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query based on heterogeneous computing device
CN115292610B (en) * 2022-09-28 2023-02-14 北京小成素问信息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KR102835012B1 (en) * 2022-10-18 2025-07-17 국방과학연구소 Electronic apparatus and cryptanalysis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1974A1 (en) 2009-12-28 2011-06-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allelizing Heterogeneous Network Communication in Smart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1974A1 (en) 2009-12-28 2011-06-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allelizing Heterogeneous Network Communication in Smar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05A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9873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4552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ferencing using a neural network
EP301001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poken interaction thereof
US11648461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big data for online gameplay
CN108027952B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EP3642838B1 (en)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supporting the same
US10831392B2 (en)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444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creen mirroring service
EP29405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source code into machine code
KR20180083587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119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data
US201603603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by electronic device
EP32281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task of electronic device
KR102350739B1 (en)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ignal line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04152A (en) Method for setting up an priority of task in accordance with multi processor and a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CN106919918A (en) A kind of face tracking method and device
CN108012156A (en) A kind of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and control platform
KR20180082070A (en)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27589A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573118B1 (en) Smart terminal for point of care
US11763409B2 (en) Determine passenger drop-off location based on influencing factors
CN10826893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US1060646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2298184B (en) Driving swi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80110896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radio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