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1498794B1 -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94B1
KR101498794B1 KR1020130070515A KR20130070515A KR101498794B1 KR 101498794 B1 KR101498794 B1 KR 101498794B1 KR 1020130070515 A KR1020130070515 A KR 1020130070515A KR 20130070515 A KR20130070515 A KR 20130070515A KR 101498794 B1 KR101498794 B1 KR 10149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exible tube
heat resistant
resistant tip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7387A (en
Inventor
맹성호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세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13007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794B1/en
Publication of KR2014014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9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Forming the tip of a catheter, e.g. bevelling process, join or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로와 와이어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로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열팁과;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의 내부에 고정되고 와이어설치구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동카테터 및 카테터장치는, 선단부에 금속제 내열팁이 구비되어 있어 레이저시술시 레이저빔의 열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므로, 그만큼 레이저빔의 출력을 충분히 올릴 수 있어 탁월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엑스레이 영상에 내열팁의 모습이 확실하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지점에 도달시킬 수 있어 시술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catheter and a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The flexible catheter includes: a flexible tube extending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and a wire fitting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having an open passag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And a steering wi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t resistant tip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a wire mounting hole.
In the mov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metal heat-resistant tip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 the laser beam is not deformed by the laser beam at the time of laser operation. Therefore,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particular, since the appearance of the heat-resistant tip is clearly displayed on the x-ray imag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accurate poin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procedure.

Description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0001] Mov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same [0002]

본 발명은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catheter and a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신경외과(神經外科)에서 주로 행해지는 신경융해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에, 체내로 통하는 구멍을 확보하고 상기 구멍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상기 카테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카테터의 선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중추신경과 신경가지의 신경조직을 괴사 시키거나 염증유발 물질 및 유착들을 제거하는 시술법이다.In neurofusion surgery performed mainly in neurosurgery, a ho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body is secured in the tail bone of the vertebra, a catheter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and a drug solution is injected through the catheter. It is a procedure to necrotize the nervous tissu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nerve branch at the branch, or to remove inflammation-inducing substances and adhesions.

또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를 이용한 소위, 꼬리뼈 내시경 치료법은, 체내로 진입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안에 초소형 내시경을 통과시켜, 내시경을 통해 체내 병변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진행하는 치료법으로서, 필요시 카테터를 통해 체내에 레이저치료기를 삽입하여 병변 부위에 레이저 직접 조사할 수 있어 정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척추관협착증이나 디스크파열환자나 신경융해술로 효과가 작은 경우에 적합한 시술법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a so-called tail bone endoscopic therapy using a video guide catheter is a treatment method in which an ultrasound endoscope is passed through a video guide catheter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the body part is visually confirmed through an endoscope. The laser can be directly irradiated to the lesion site by inserting the laser treatment unit, so that a precise treatment effect can be obtained. This is known to be a suitable procedure for spinal stenosis, disc rupture, or nerve fusion with small effect.

상기한 꼬리뼈 내시경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카테터로서 US 6,146,355호(Steerable catheter)가 제안된 바 있다.US 6,146,355 (Steerable catheter)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catheter used for the above-described caudal endoscopic surgery.

도 1은 상기 US 6,146,355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카테터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atheter disclosed in US Pat. No. 6,146,355,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카테터장치(11)는, 조작다이얼(17)이 구비되어 있는 조작부(13)와, 상기 조작부(13)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다이얼(17)에 의해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가동카테터(23)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catheter apparatus 11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13 provided with an operating dial 17 and an operating portion 17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13 and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dial 17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r a movable catheter 23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조작부(13)는, 시술시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로서, 상기 조작다이얼(17)의 일부가 케이스(15)의 양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시술자는 케이스(15)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다이얼(17)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리저리 돌려 가동카테터(23)를 구부린다.The manipulation portion 13 is a handle gripped by an operator at the time of surgery, and a part of the manipulation dial 17 is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case 15. [ The practitioner flexes the movable catheter 23 by turning the operating dial 17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with a finger while holding the case 15 by hand.

이를 위하여 상기 가동카테터(23)의 내부에는 스티어링와이어(25)가 설치된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5)는 플렉시블튜브(23a)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그 후단부가 조작다이얼(17)측으로 연장되어 조작다이얼(17)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플렉시블튜브(23a)를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To this end, a steering wire (25) is installed inside the movable catheter (23). The steering wire 25 is installed inside the flexible tube 23a and the rear end of the steering wire 25 extends toward the operation dial 17 and is pulled by the operation dial 17 to bend the flexible tube 23a.

도면부호 19는 연결포트이다. 상기 연결포트(19)는, 예컨대 내시경장치나 레이저치료기구를 케이스(15)의 내부로 받아들이는 통로로서, 연결튜브(27)를 통해 매니폴드(2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포트(19)로 진입한 내시경장치의 카메라나 레이저치료기의 레이저방출부는, 상기 연결튜브(27)와 매니폴드(21)를 통과해 가동카테터(23)의 관통로(23b)로 진입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connection port. The connection port 19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21 through a connection tube 27 as a passage for receiving the endoscope apparatus or the laser treatment apparatus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5, for example. The camera of the endoscope apparatus that has entered the connection port 19 or the laser emitting unit of the laser treatment apparatus enters the through passage 23b of the movable catheter 23 through the connection tube 27 and the manifold 21 .

한편, 상기 가동카테터(23)는, 체내에 직접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휘어질 수 있는 부재로서, 상호 나란한 두 개의 관통로(23b)와 두 개의 와이어설치구(23c)를 갖는 플렉시블튜브(23a)와, 상기 와이어설치구(23c)에 삽입 고정되는 스티어링와이어(25)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catheter 23 is a member which can be bent and which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body and whose distal end reaches the target point. The movable catheter 23 has two through-holes 23b and two wire- And a steering wire 25 inserted and fixed in the wire installation hole 23c.

상기 가동카테터(23)는 그 후단부가 매니폴드(21)에 고정된다. 상기 매니폴드(21)는 플렉시블튜브(23)의 후단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5)에 물려 고정된다. The movable catheter 23 has its rear end fixed to the manifold 21. The manifold 21 is held by the case 15 in a state of accommodating the rear end of the flexible tube 23.

상기 관통로(23b)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플렉시블튜브(23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플렉시블튜브(23a) 외부로 개방된 통로이다. 상기 관통로(23b)는 카메라나 레이저방출부가 통과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도 있고, 필요에 따라 체내 목표지점에 약물을 가하는 약액주입통로로 사용될 수 도 있다.The through passage 23b has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exible tube 23a and has both ends open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tube 23a. The through-passage 23b may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amera or the laser emitting unit passes, and may be used as a chemical-liquid injecting passage for applying a drug to a target point in the body, if necessary.

상기 와이어설치구(23c)는, 플렉시블튜브(23a)의 선단부로는 밀폐되고 후단부로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각각의 내부에 스티어링와이어(25)를 수용한다.The wire installation hole 23c is a space portion which is closed at the front end of the flexible tube 23a and opened at the rear end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steering wire 25 in each of them.

상기 한 쌍의 스티어링와이어(25)는 각 와이어설치구(23c)에 끼워지되 그 선단부가 와이어설치구(23c)내에 고정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매니폴드(21)를 통과한 후 갈라져 상기 조작다이얼(17)의 와이어고정부(17a)에 고정된다. 상기 각 스티어링와이어(25)의 후단부는 조작다이얼(17)에 고정되되, 조작다이얼(17)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연결되는 것이다.The pair of steering wires 25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wire fittings 23c and extend rea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s of the steering wires 25 are fixed in the wire fittings 23c and pass through the manifolds 21, And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17a of the dial 17. The rear end of each steering wire 25 is fixed to the operation dial 17 a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operation dial 17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5)의 선단부를 와이어설치구(23c)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티어링와이어(25)의 선단부에는 고정부(25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5a)는, 스티어링와이어(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볼의 형태를 취하며 플렉시블튜브(23a)내에 완전히 감싸여 고정된다. A fixing portion 25a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teering wire 25 so that the tip end of the steering wire 25 can be fixed in the wire fitting hole 23c. The fixing portion 25a takes the form of a ball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ire 25 and is completely wrapped and fixed in the flexible tube 23a.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카테터장치(11)는, 레이저치료시 가동카테터(23)의 선단부가 레이저빔의 열에 의해 쉽게 녹아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관통로(23b)를 통해 레이저치료기를 삽입하여 가동카테터(23)의 선단부에 레이저방출부(미도시)를 위치시킨 상태로 레이져를 조사할 때, 레이저방출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플렉시블튜브(23a)에 전달되어 플렉시블튜브(23a)를 녹일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theter apparatus 11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ovable catheter 23 can be easily melted and deformed by the heat of the laser beam during laser treatment. That is,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aser emitting unit (not shown) is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movable catheter 23 by inserting the laser treatment unit through the penetrating path 23b, heat generated in the laser emit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flexible tube So that the flexible tube 23a can be melted.

플렉시블튜브가 열에 의해 녹게 되면, 고분자 수지의 내부 조직에서 기포가 발생하며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와같이 플렉시블튜브(23a)의 선단부의 부피가 커지면, 가동카테터(23)를 체외로 빼낼 때, 부풀어 오른 부분이 체내의 조직에 걸려 미세혈관을 터뜨리거나 신경을 손상시킬 수 도 있다. 이러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실제 레이저치료시 레이저빔의 출력을 필요한 에너지까지 쉽게 올리지 못하고 있다. When the flexible tube is melted by heat,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lymer resin and swell. Wh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23a is bulky in this way, when the movable catheter 23 is pulled out of the body, the swollen portion may be caught by the tissue in the body, causing micro-blood vessels to burst or nerve damage. Because of this problem, the laser beam output can not be easily raised to the required energy during the actual laser treatment.

또한, 상기 가동카테터(23)는 시술시 엑스레이 영상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다. 그 이유는 가동카테터(23)를 구성하는 플렉시블튜브(23a)가 합성수지로만 제작되어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movable catheter 23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appear in the x-ray image during the procedure. This is because the flexible tube 23a constituting the movable catheter 23 is made of synthetic resin only.

일반적으로, 시술시 엑스레이 촬영장치를 통해 가동카테터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체크하여야 가동카테터의 선단부를 정확한 지점에 도달시킬 수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가동카테터(23)는 엑스레이 영상에 잘 나타타지 않아, 결국 정확한 시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시술시 엑스레이 영상에 나타나는 것은 스티어링와이어(25) 정도인데 스티어링와이어(25)는 그 굵기가 매우 얇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In general,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atheter is continuously checked through the X-ray imaging apparatus during the procedure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catheter can reach the correct posi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movable catheter 23 described above does not appear well on the X- In the end, it is difficult to make accurate procedures.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the x-ray image appears on the steering wire 25, but the steering wire 25 is not visible because the thickness thereof is very thi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선단부에 금속제 내열팁이 구비되어 있어 레이저시술시 레이저빔의 열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므로, 그만큼 레이저빔의 출력을 충분히 올릴 수 있어 탁월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엑스레이 영상에 내열팁의 모습이 확실하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지점에 도달시킬 수 있어 시술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metal heat-resistant tip is provided at a distal end thereof, so that laser beam is not deformed by heat at the time of laser treatment. Therefore, the laser beam output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catheter and a catheter apparatus having the movable catheter, which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because the shape of the heat-resistant tip is reliably displayed on the x-ray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로와 와이어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로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열팁과;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설치구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열팁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끼움결합하며, 플렉시블튜브와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선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와이어수용부를 갖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를 이루며 내열팁의 주행저항을 낮추기 위해 유선형의 콘(cone)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개방통로를 그 주행방향 전방으로 개방하는 콘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수용부는; 그 내부에 스티어링와이어를 일정 깊이로 꼽아 놓을 수 있도록 측벽부내에서 콘부의 전방 방향으로 막혀있으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수용부를 측벽부의 외부로 개방시켜, 와이어수용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어링와이어측으로 외부의 용접열을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측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측부구멍을 통해 전달된 용접열에 의해 용융되며 와이어수용부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와 내열팁에는, 플렉시블튜브와 내열팁의 중심축선을 일직선으로 유지시키는 지지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내열팁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내열팁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열팁의 삽입부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v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exible tub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and a wire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having an open passag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And a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ly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wire mounting hole with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heat resistant tip, the heat resistant tip comprising: A cylindrical wall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flexible tube and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the wall having a wi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tip end of the steering wire, And a cone portion that takes the form of a streamlined cone and opens the open passag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ravel in order to lower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wire. And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the side of the steering wire insert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steer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side holes are form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welding heat can be transmitted, and the steering wire is melted by welding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hole in a state where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portion, A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flexible tube and the heat resistant tip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ans for keeping the central axis of the flexible tube and the heat resistant tip straight.
In addition, the supporting means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heat-resistant tip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insertion portion therein.
Further, the supporting means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resistant tip;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eat resistant ti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테터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로와 와이어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로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열팁과;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설치구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열팁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끼움결합하며, 플렉시블튜브와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선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와이어수용부를 갖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를 이루며 내열팁의 주행저항을 낮추기 위해 유선형의 콘(cone)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개방통로를 그 주행방향 전방으로 개방하는 콘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수용부는; 그 내부에 스티어링와이어를 일정 깊이로 꼽아 놓을 수 있도록 측벽부내에서 콘부의 전방 방향으로 막혀있으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수용부를 측벽부의 외부로 개방시켜, 와이어수용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어링와이어측으로 외부의 용접열을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측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측부구멍을 통해 전달된 용접열에 의해 용융되며 와이어수용부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되는 가동카테터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후단부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를 그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매니폴드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매니폴드를 고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작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매니폴드의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스티어링와이어를 인장함으로써 상기 가동카테터가 구부러지게 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theter apparatus comprising: a flexible tub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and a wire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having an open passag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And a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ly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wire mounting hole with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heat resistant tip, the heat resistant tip comprising: A cylindrical wall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flexible tube and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the wall having a wi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tip end of the steering wire, And a cone portion that takes the form of a streamlined cone and opens the open passag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ravel in order to lower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wire. And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the side of the steering wire insert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steer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side holes are form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welding heat can be transmitted, and the steering wire is melted by welding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hole in a state where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portion, A movable catheter welded and fix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manifol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rear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passing the steering wire backward;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nd fixing the manifold; And an actuating member operatively provided in the case, the actuating member being engaged with a rear end of the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 of the manifold to tension the steering wire, thereby bending the movable cath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동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는, 선단부에 금속제 내열팁이 구비되어 있어 레이저시술시 레이저빔의 열에 의한 변형이 전혀 없으므로, 그만큼 레이저빔의 출력을 충분히 올릴 수 있어 탁월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엑스레이 영상에 내열팁의 모습이 확실하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지점에 도달시킬 수 있어 시술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Since the mov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theter apparatus having the catheter device a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with the metal heat-resistant tip at the distal end thereof, there is no deformation by the heat of the laser beam at the time of the laser procedure. Therefore,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particular, since the appearance of the heat-resistant tip is clearly displayed on the x-ray imag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accurate point, thereby enhancing the accuracy of the procedure.

도 1 종래 카테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동카테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동카테터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가동카테터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플렉시블튜브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atheter device.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vabl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catheter shown in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able catheter shown in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vabl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movable catheter shown in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theter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10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lexible tube that may be applied to a catheter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가동카테터는, 카테터의 선단부에 금속으로 제작된 내열팁을 적용함으로써, 레이저치료시 레이저의 열에 의한 플렉시블튜브의 열변형을 차단할 수 있어 레이저빔의 출력을 필요한 만큼 충분히 올려 시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내열팁이 표식자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엑스레이 영상장치를 통해 가동카테터의 현재 위치를 매우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정밀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Basically, in the mov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eat-resistant tip made of a metal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atheter, thermal deformation of the flexible tube due to heat of the laser during laser treatment can be blocked, And furthermore, the heat-resistant tip serves as a marker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able catheter can be confirmed very clearly through the x-ray imaging device, thereby enabling precise operations to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3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catheter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두 개의 관통로(33a)와 와이어설치구(33b)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33)와, 상기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내열팁(35)과, 상기 내열팁(35)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설치구(33b)를 통과해 플렉시블튜브(33)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25)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vable catheter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lexible tube 3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two through-passages 33a and a wire fitting 33b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35 which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33 and a wire fixing member 33b which is fixed inside the heat resistant tip 35 and extends rearwardly of the flexible tube 33 And a steering wire (25).

먼저, 상기 플렉시블튜브(33)는, 시술시 꼬리뼈를 통해 체내로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튜브로서, 그 선단부에 상기 내열팁(35)과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도 4의 33e)나 수용부(도 7의 33d)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33e)나 수용부(33d)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First, the flexible tube 33 is a synthetic resin tube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tail bone at the time of its operation. The flexible tube 33 is provided at its distal end with an insertion portion (33e in FIG. 4) for coupling with the heat resistant tip 35, 33d in Fig. 7). The insertion portion 33e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33d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플렉시블튜브(33)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로(33a)는 일정 내경을 가지며, 그 내부로 약액을 통과시키거나 아니면 내시경카메라나 레이저빔치료기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관통로(33a)의 양단부는 당연히 플렉시블튜브(33)의 외부로 개방된다. 아울러 상기 관통로(33a)의 개수는 가동카테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The passageway 33a formed in the flexible tube 33 has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and is a passage for passing the chemical solution through the flexible tube 33 or passing through the endoscope camera or the laser beam therapy device. Both end portions of the through passage 33a are naturally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tube 33. [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enetrating passages 33a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vable catheter.

또한 상기 와이어설치구(33b)는, 상기 관통로(33a)의 주변에 나란하게 형성된 통로로서, 특히 그 양단부가 플렉시블튜브(33)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이는 스티어링와이어(25)가 플렉시블튜브(33)와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플렉시블튜브(33) 외부에서 내열팁(35)에 결합하기 때문이다. 상기 와이어설치구(33b)의 개수도 가동 카테터의 타입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The wire fitting 33b is a passage formed in parallel to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passage 33a, and in particular,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open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tube 33. [ This is because the steering wire 25 is not engaged with the flexible tube 33 but coupled to the heat resistant tip 35 outside the flexible tube 33. Needless to say, the number of the wire fittings 33b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vable catheter.

상기 내열팁(35)은, 플렉시블튜브(33)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금속제 팁으로서 선단부에 유선형 콘부(35a)를 갖는다. 상기 콘부(35a)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가동카테터(31)가 체내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보다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체내 조직에 상처를 내지 않는다.The heat resistant tip 35 is a metal tip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exible tube 33 and has a streamlined cone portion 35a at its tip end. The cone portion 35a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enables smooth movement of the movable catheter 31 when the movable catheter 31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does not particularly damage the internal tissues.

상기 내열팁(35)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통로(35b)는 콘부(35a)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다.The open passage 35b formed in the heat resistant tip 35 opens forward through the cone portion 35a.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동카테터(31)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가동카테터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catheter 31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ovable catheter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플렉시블튜브(33)의 내부에 두 개의 관통로(33a)와 두 개의 와이어설치구(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로(33a)와 와이어설치구(33b)는 플렉시블튜브(33)의 내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된 통로이며, 상기 와이어설치구(33b)는 관통로(33a)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칭으로 위치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wo through-holes 33a and two wire mounting holes 33b are formed in the flexible tube 33. [ The through hole 33a and the wire attachment hole 33b extend in parallel within the flexible tube 33. The wire attachment hole 33b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33a Located.

또한 상기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부에는 삽입부(33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3e)는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부를 내열팁(35)의 수용부(35m)내에 끼우기 위해 형성한 부분으로서, 플렉시블튜브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An insertion portion 33e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33. The insertion portion 33e is a portion formed to fi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33 into the receiving portion 35m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flexible tube 33. [

상기 삽입부(33e)에는 걸림턱부(33c)가 포함된다. 상기 걸림턱부(33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부(35)의 하단부와 밀착하는 부분이다. 이와같이 걸림턱부(33c)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튜브(33)의 중심축선과 내열팁(35)의 중심축선이 항상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33e includes a latching jaw portion 33c. As shown in Fig. 6, the latching jaw portion 33c is a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e portion 35. As shown in Fig. By forming the latching jaw portion 33c in this way, the center axis of the flexible tube 33 and the center axis of the heat-resisting tip 35 can always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상기 삽입부(33e)에 대한 내열팁(35)의 결합은 압입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of the heat-resistant tip 35 to the insertion portion 33e can be realized by an indentation method.

한편, 상기 삽입부(33e)에 끼워지는 내열팁(35)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벽부(35n)와, 상기 측벽부(35n)의 선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콘(cone)의 형태를 취하는 콘부(35a)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resistant tip 35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33e has a cylindrical sidewall portion 35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cylindrical portion 35d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idewall portion 35n and in the form of a cone And is formed of a cone portion 35a.

상기 내열팁(35)은 스텐레스스틸이나 티타늄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두 개의 개방통로(35b)와 두 개의 와이어수용부(35k)를 갖는다.The heat resistant tip 35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and has two open passages 35b and two wire receiving portions 35k therein.

상기 개방통로(35b)는, 플렉시블튜브(3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로(33a)에 대응하는 통로로서, 상기 관통로(33a)와 같은 내경을 가지며 관통로(33a)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개방통로(35b)가 내열팁(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은 물론이다.The open passage 35b corresponds to the through passage 33a formed in the flexible tube 33 and has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through passage 33a and is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33a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n passage 35b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

또한 상기 와이어수용부(35k)는,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5)의 선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홈으로서, 내열팁(35)의 후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와이어수용부(35k)는 개방통로(35b)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칭 배치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내열팁(35)의 단면형상은 상기 플렉시블튜브(33)의 단면형상과 같다.The wire receiving portion 35k is a groove for receiving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ire 25 therein and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 The wire receiving portion 35k is disposed symme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open passage 35b therebetwe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eat-resistant tip 35 thus formed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lexible tube 33.

특히 상기 와이어수용부(35k)에 수용된 스티어링와이어(25)의 선단부를 내열팁(35)에 대해 용접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35n)에는 다수의 측부구멍(35c)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side holes 35c ar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35n so that the tip end of the steering wire 25 received in the wire receiving portion 35k can be welded to the heat resistant tip 35. [

상기 측부구멍(35c)은 각 와이어수용부(35k)를 측방향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로서, 내열팁(3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상하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구멍(35c)의 적용갯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ide hole 35c is a passage that opens each of the wire receiving portions 35k to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The number of application of the side holes 35c may vary depending on cases.

상기 측부구멍(35c)은, 와이어수용부(35k)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어링와이어(25)에 용접열을 가하기 위한 통로이다. 즉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5)가 와이어수용부(35k)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측부구멍(35c)을 통해 용접열을 가하여, 스티어링와이어(35)가 내열팁(35)의 내벽면에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35)와 내열팁(35) 자체가 용접 모재(母材)이다.The side hole 35c is a passage for applying welding heat to the steering wire 25 inserted in the wire receiving portion 35k. The steering wire 35 is wel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by applying welding heat through the side hole 35c in a state where the steering wire 25 is fitted in the wire receiving portion 35k will be. The steering wire 35 and the heat resistant tip 35 themselves are welded base materials.

상기 용접을 통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티어링와이어(25)의 일부가 내열팁(35)의 내부에 완전히 일체화 된다. 도면부호 w가 일체화된 용접부위를 가리킨다.6, a part of the steering wire 25 is completely integra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through the above welding. The reference numeral w designates an integrated welded portion.

상기 내열팁(35)에 대한 스티어링와이어(35)의 용접은 레이저용접방식으로 함이 좋다. 그러나 미세 용접을 할 수 있는 한 다른 방식의 용접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welding of the steering wire 35 to the heat resistant tip 35 is preferably performed by laser welding.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y other type of welding can be applied as long as fine welding is possible.

한편, 상기 내열팁(35)의 내부 후단부에는 수용부(35m)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5m)는 플렉시블튜브(33)의 삽입부(33e)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지지턱(35e)을 갖는다. The heat-resistant tip 35 has a receiving portion 35m at an inner rear end there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5m has a supporting jaw 35e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sertion portion 33e of the flexible tube 33. [

상기 지지턱(35e)은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면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플렉시블튜브(33)의 더 이상의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The support jaw 35e is a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33 which is caught on the end surface of the flexible tube 33 and serves as a stopper for blocking the entry of the flexible tube 33 further.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부에 내열팁(35)이 결합한 상태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5)의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35)의 내부에 용접된 구성을 가진다.6,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ire 25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33 in a state where the heat-resistant tip 35 is engag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33, And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카테터(31)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가동카테터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vable catheter 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ructure of the movable catheter shown in FIG. to be.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부재로서 그에 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예에 따른 가동카테터(31)의 내열팁(35)은 그 후단부에 삽입부(35f)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35f)는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33d)에 끼워지는 부분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resistant tip 35 of the movable catheter 3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has an insertion portion 35f at an end portion thereof. The insertion portion 35f is a portion that fits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3d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33. [

상기 삽입부(35f)는 상기 플렉시블튜브(33)에 내열팁(35)을 맞추어 결합할 때, 수용부(33d)의 내부에 끼워지며 그 외주면이 수용부(33d)의 내주면에 밀착한다.The insertion portion 35f is fit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3d when the heat resistant tip 35 is fitted to the flexible tube 3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3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41)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theter device 41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41)는, 그 선단부에 내열팁(35)이 구비되어 있는 가동카테터(31)와, 상기 가동카테터(31)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매니폴드(21)와, 상기 매니폴드(21)를 고정하며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조작부(43)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catheter device 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catheter 31 having a heat-resistant tip 35 at its distal end and a manifold (not shown) for securing the rear end of the movable catheter 31 21), and an operation portion (43) for fixing the manifold (21) and holding the operation by a hand of a practitioner.

상기 가동카테터(31)에 포함되는 스티어링와이어(25)는, 그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35)의 내부에 용접 고정되고, 후단부는 조작다이얼(17)의 와이어고정부(17a)에 각각 고정된다.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ire 25 included in the movable catheter 31 is weld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and the rear end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dial 17 .

따라서 상기 조작다이얼(17)을 가령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측 스티어링와이어(25)가 인장되어 내열팁(35)을 당긴다. 이와같이 스티어링와이어(25)가 내열팁(35)을 당기므로, 내열팁(35)과 결합하고 있는 플렉시블튜브(33)는 내열팁(35)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며 화살표 d 방향으로 휘어진다.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dial 17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he one-side steering wire 25 is pulled and pulls the heat resistant tip 35. Since the steering wire 25 pulls the heat resistant tip 35 in this manner, the flexible tube 33 coupled with the heat resistant tip 35 is pushed rearward by the heat resistant tip 35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arrow d.

조작다이얼(17)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when the operation dial 17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구성을 갖는 카테터장치(41)를 이용해 레이저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가동카테터(31)를 인체의 꼬리뼈를 통해 체내에 삽입한다. 이 때 엑스레이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가동카테터(31)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카테터장치(41)에는 내열팁(35)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엑스레이 영상장치를 통하 가동카테터(31)의 위치 파악이 매우 정확하고 용이하다. 내열팁(35)이 금속재이므로, 그만큼 엑스레이 영상에 선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In order to perform laser treatment using the catheter device 4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ovable catheter 31 is first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tail bone of the human body.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catheter 31 must be continuously detected us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theter device 4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heat-resistant tip 35, positioning of the movable catheter 31 through the X-ray imaging device is very accurate and easy. This is because the heat-resistant tip 35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is clearly visible in the x-ray image.

상기 과정을 통해 내열팁(35)을 목표지점에 도달시켰다면, 일측 연결포트(19)를 개방하고, 그 내부로 레이저치료기(미도시)의 레이저방출부를 삽입한다. 상기 레이저방출부는, 레이저치료기 본체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을 그 전방으로 조사하여 원하는 조직을 절단하거나 제거하는 것으로서, 연결튜브(27)와, 매니폴드(21)와, 일측 관통로(33a)와, 일측 개방통로(35b)를 통과해 내열팁(35)의 콘부(35a) 전면에 돌출된다.If the heat-resistant tip 35 reaches the target poin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one connection port 19 is opened and the laser emitting portion of the laser treatment devic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The laser emitting unit cuts or removes a desired tissue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laser treatment unit forward and includes a connection tube 27, a manifold 21, a one-side through passage 33a, Passes through the one open passage 35b and protrude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one portion 35a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

상기 레이저방출부의 세팅이 완료된 후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필요한 시술을 수행한다. 이 때 레이저빔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은 사방으로 전달되며, 일부는 플렉시블튜브(33)측으로도 전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가동카테터(31)에는 내열팁(35)이 플렉시블튜브(33)의 선단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므로 레이저빔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플렉시블튜브(33)가 열변형될 염려가 없다.After the setting of the laser emitting unit is completed,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perform necessary procedures. At this time, heat of high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laser beam is transmitted to all directions, and a part of the heat is also transmitted to the flexible tube 33 side. However, in the movable catheter 3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eat-resistant tip 35 receives and protects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33, there is no fear that the flexible tube 33 is thermally deform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aser beam.

상기 과정을 마친 후, 후속 시술이 완료되었다면 레이저치료기와 가동카테터(31)를 빼내어 시술을 완료한다.After completing the above procedure, if the subsequent procedure is completed, the laser treatment device and the movable catheter 31 are removed and the procedure is completed.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41)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플렉시블튜브(33)의 단면도이다. 상기 내열팁(35)의 단면 형상도 도시되어 있는 플랙시블튜브(33)의 형상에 대응함은 물론이다.10A-10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various types of flexible tubes 33 that may be applied to a catheter device 41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ctional shape of the heat resistant tip 35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lexible tube 33 shown in the figure.

도 10a에 도시한 플렉시블튜브(33)는, 하나의 관통로(33a)와 두 개의 와이어설치구(33b)가 적용되어 있는 타입이다. 상기 관통로(33a)는 플렉시블튜브(33)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설치구(33b)는 관통로(33a)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다. The flexible tube 33 shown in Fig. 10A is a type in which one through-hole 33a and two wire fittings 33b are applied. The through-hole 33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lexible tube 33, and the wire installation hole 33b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rough-hole 33a.

도 10b의 플렉시블튜브(33)는 나비카테터용으로서, 하나씩의 관통로(33a)와 와이어설치구(33b)를 갖는다. 와이어설치구(33b)가 하나 이므로, 도 10b의 플렉시블튜브는 한쪽 방향으로만 구부러진다.The flexible tube 33 shown in Fig. 10B is for a butterfly catheter, and has a through-hole 33a and a wire fitting 33b. Since there is only one wire mounting hole 33b, the flexible tube of Fig. 10B is bent only in one direction.

도 10c에 도시한 플렉시블튜브(33)는, 중앙에 하나의 관통로(33a)를 가지고, 상기 관통로(33a) 주변에 세 개의 와이어설치구(33b)가 형성되어 있는 타입이다. 세 개의 스티어링와이어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플렉시블튜브인 것이다.The flexible tube 33 shown in Fig. 10C has one through-hole 33a at the center and three wire fittings 33b around the through-hole 33a. And is a flexible tube driven by using three steering wire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카테터장치 13:조작부 15:케이스
17:조작다이얼 17a:와이어고정부 19:연결포트
21:매니폴드 23:가동카테터 23a:플렉시블튜브
23b:관통로 23c:와이어설치구 25:스티어링와이어
25a:고정부 27:연결튜브 31:가동카테터
33:플렉시블튜브 33a:관통로 33b:와이어설치구
33c:걸림턱부 33d:수용부 33e:삽입부
35:내열팁 35a:콘부 35b:개방통로
35c:측부구멍 35e:지지턱 35f:삽입부
35k:와이어수용부 35m:수용부 35n:측벽부
41:카테터장치 43:조작부
11: catheter device 13: operating part 15: case
17: Operation dial 17a: Wire fixing part 19: Connection port
21: manifold 23: movable catheter 23a: flexible tube
23b: Through-hole 23c: Wire fitting 25: Steering wire
25a: fixing portion 27: connecting tube 31: movable catheter
33: flexible tube 33a: through-hole 33b:
33c: engaging jaw portion 33d: accommodating portion 33e:
35: heat-resistant tip 35a: cone 35b: open passage
35c: side hole 35e: support tab 35f:
35k: wire receiving portion 35m: receiving portion 35n:
41: catheter device 43:

Claims (9)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로와 와이어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로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열팁과;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설치구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열팁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끼움결합하며, 플렉시블튜브와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선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와이어수용부를 갖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를 이루며 내열팁의 주행저항을 낮추기 위해 유선형의 콘(cone)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개방통로를 그 주행방향 전방으로 개방하는 콘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수용부는;
그 내부에 스티어링와이어를 일정 깊이로 꼽아 놓을 수 있도록 측벽부내에서 콘부의 전방 방향으로 막혀있으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수용부를 측벽부의 외부로 개방시켜, 와이어수용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어링와이어측으로 외부의 용접열을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측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측부구멍을 통해 전달된 용접열에 의해 용융되며 와이어수용부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카테터.
A flexible tube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and a wire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having an open passag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And a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ly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wire fitting in a state in which the tip end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eat resistant tip,
The heat resistant tip comprises:
A sidewall portion having a wir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ire in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exible tube fit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lexible tube,
And a con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portion to take the form of a streamlined cone to lower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heat resistant tip and to open the open passage in a forward direction of travel,
The wir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d is block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one portion in the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steering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at a certain depth,
A plurality of side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to open the wir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welding he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teering wire side inserted in the wir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steering wire is welded and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ire receiving portion by welding by the welding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hole in a state where the tip end portion of the steer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튜브와 내열팁에는, 플렉시블튜브와 내열팁의 중심축선을 일직선으로 유지시키는 지지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tube and the heat resistant tip are further formed with supporting means for keeping the central axis of the flexible tube and the heat resistant tip straigh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내열팁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카테터.
5. The method of claim 4,
Said support means comprising: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a receptacle formed in the heat resistant tip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insertion portion therei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내열팁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열팁의 삽입부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카테터.
5. The method of claim 4,
Said support means comprising:
An insert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resistant tip,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adapted to receive and fix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eat resistant tip.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로와 와이어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튜브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로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개방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내열팁과; 선단부가 상기 내열팁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설치구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티어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열팁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끼움결합하며, 플렉시블튜브와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재로서, 그 내부에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선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와이어수용부를 갖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일체를 이루며 내열팁의 주행저항을 낮추기 위해 유선형의 콘(cone)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개방통로를 그 주행방향 전방으로 개방하는 콘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수용부는; 그 내부에 스티어링와이어를 일정 깊이로 꼽아 놓을 수 있도록 측벽부내에서 콘부의 전방 방향으로 막혀있으며,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와이어수용부를 측벽부의 외부로 개방시켜, 와이어수용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어링와이어측으로 외부의 용접열을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측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는, 그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측부구멍을 통해 전달된 용접열에 의해 용융되며 와이어수용부의 내벽면에 용접 고정되는 가동카테터와;
상기 플렉시블튜브의 후단부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를 그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매니폴드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매니폴드를 고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작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매니폴드의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스티어링와이어를 인장함으로써 상기 가동카테터가 구부러지게 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장치.
A flexible tube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and a wire mounting hole formed therein; A heat resistant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having an open passag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of the through passage; And a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ly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wire mounting hole with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nserted and fixed in the heat resistant tip, the heat resistant tip comprising: A cylindrical wall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flexible tube and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tube, the wall having a wir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tip end of the steering wire, And a cone portion that takes the form of a streamlined cone and opens the open passag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ravel in order to lower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wire. And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to the side of the steering wire inserted in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side wall portion so that the steer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side holes are forme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welding heat can be transmitted, and the steering wire is melted by welding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side hole in a state where the tip end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portion, A movable catheter welded and fix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manifold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rear end of the flexible tube and passing the steering wire backward;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nd fixing the manifold;
And an actuating member operably provided in the case, the actuating member engaging with a rear end of the steering wire extending rearward of the manifold to tension the steering wire to bend the movable cath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70515A 2013-06-19 2013-06-19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Active KR101498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15A KR101498794B1 (en) 2013-06-19 2013-06-19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15A KR101498794B1 (en) 2013-06-19 2013-06-19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87A KR20140147387A (en) 2014-12-30
KR101498794B1 true KR101498794B1 (en) 2015-03-05

Family

ID=5267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515A Active KR101498794B1 (en) 2013-06-19 2013-06-19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7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21B1 (en) 2015-05-22 2022-02-11 한국과학기술원 Single channel steering catheter with micro flow path for injecting medical liquid
KR101828289B1 (en) * 2016-11-18 2018-02-13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The flexible catheter using wires
KR102632513B1 (en) * 2021-06-10 2024-02-05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Multi-lumen tube apparatus of micro flexible surgical instru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2918A1 (en) * 2000-08-30 2003-02-13 Quinn David G. Catheter
US20120209073A1 (en) * 2004-03-23 2012-08-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vivo visualization system
KR101195997B1 (en) * 2012-09-03 2012-11-0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Catheter using optical fiber and camera
US20130046236A1 (en) * 2005-05-19 2013-02-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teerable catheter with distal tip orientation sheath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2918A1 (en) * 2000-08-30 2003-02-13 Quinn David G. Catheter
US20120209073A1 (en) * 2004-03-23 2012-08-1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vivo visualization system
US20130046236A1 (en) * 2005-05-19 2013-02-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teerable catheter with distal tip orientation sheaths
KR101195997B1 (en) * 2012-09-03 2012-11-0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Catheter using optical fiber an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87A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0471B1 (en) Continuous single wire steerable catheter system
CN103764012B (en) Curved tubes, medical equipment
US11930999B2 (en) Steerable ultrasound attachment for endoscope
EP3773134B1 (en) Steerable ultrasound attachment for endoscope
US20150313450A1 (en)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US20130144164A1 (en) Ultrasonic puncture needle
WO2015168664A1 (en)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JP2004510536A (en) Surgical instruments
KR101498794B1 (en) Steerable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having the same
JP6856759B2 (en) Radiofrequency treatment tool and endoscopic system
US11083493B2 (en) Mechanism for holding elongate medical apparatus
WO2013141011A1 (en) Medical tube control handle and medical tube device
JP2023508542A (en) Deflection Mechanism of ENT Tool
JP3347358B2 (en) High-frequency incision instrument for endoscope
JP4043456B2 (en) High frequency incision tool
US20170215694A1 (en) Articulating medical device
JP2023510176A (en) Non-Circular Working Channel for ENT Tools
JP2023508716A (en) Prevents twisting of pull wires when deflecting ENT tools
KR101868442B1 (en) Endoclip device
CN115944257A (en) Endoscopes, Accessories and Endoscopy Systems
JP2001245897A (en) High frequency incision device
JPH0817767B2 (en) Endoscope device
JP2018171257A (en) Ultrasound endoscope and hood for ultrasound endoscope
CN105902293A (en) Endoscopic device for application of surgical clamps
KR101693216B1 (en) Video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