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1445612B1 -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612B1
KR101445612B1 KR1020080069751A KR20080069751A KR101445612B1 KR 101445612 B1 KR101445612 B1 KR 101445612B1 KR 1020080069751 A KR1020080069751 A KR 1020080069751A KR 20080069751 A KR20080069751 A KR 20080069751A KR 101445612 B1 KR101445612 B1 KR 10144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lens
unit fram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63A (ko
Inventor
히데마사 오자와
유영호
채주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612B1/ko
Priority to GB0911886.0A priority patent/GB2461795B/en
Priority to DE102009027762A priority patent/DE102009027762A1/de
Priority to US12/503,975 priority patent/US8542308B2/en
Publication of KR2010000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6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 생산시의 부품 단일화 및 제조 소요 재료의 절감을 통하여 저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 프레임에 부착된 렌즈부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부 프레임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시의 부품 단일화 및 제조 소요 재료의 절감을 통하여 저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한 광으로부터 촬상소자에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촬영장치로서, 이러한 광의 입사 시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셔터부를 구비한다. 셔터부로부터는 인쇄회로기판이 연장되어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 등에 연결됨으로써, 셔터부의 동작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CPU 등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최근에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기능이 추가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러한 추가되는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가 렌즈부에 배치되기도 한다. 이 경우 그러한 추가되는 구성요소가 셔터부와 일체화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일체화된 셔터부에서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은 셔터부로부터의 배선 및/또는 칩뿐만 아니라 셔터부에 일체화된 구성요소로부터의 배선 및/또는 칩까지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그 결과 셔터부를 감싸는 렌즈부 프레임의 형상에 있어서,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되지 않은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의 셔터부 프레임과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의 셔터부 프레임의 형상이 상이하게 되며, 그 결과 대량 생산 시 두 가지 형상의 셔터부 프레임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량 생산시의 부품 단일화 및 제조 소요 재료의 절감을 통하여 저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 프레임에 부착된 렌즈부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부 프레임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렌즈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는 상호 평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의 장축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에 입사하는 광축과 수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2개구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2회 굽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여 적어도 2회 굽어져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3회 굽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여 적어도 3회 굽어져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셔터부는 손떨림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대량 생산시의 부품 단일화 및 제조 소요 재료의 절감을 통하여 저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렌즈부(113, 114)와 렌즈부 프레임(111) 등이 결합된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부 프레임(111)과 이 렌즈부 프레임(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렌즈부 프레임(111)에 부착된 렌즈부 베이스(112)를 구비한다. 렌즈부 프레임(111)은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에서는 제1경통(113)과 제2경통(114)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 으며, 구체적으로 도 1a에서는 제1경통(113)과 제2경통(114)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에 배치되어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돌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렌즈부 프레임(111)은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 외부(111)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111a)를 갖는다. 또한,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111b)가 형성되도록, 렌즈부 프레임(111)과 렌즈부 베이스(112)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렌즈부 프레임(111)과 렌즈부 베이스(112)가 배치된다.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에는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 또는 렌즈부, 셔터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은 렌즈부 프레임(111) 외측으로 배출되어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인쇄회로기판 등에 연결됨으로써, 셔터부의 동작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CPU 등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이때,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될 경우, 셔터부로부터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셔터부로터의 배선 및/또는 칩 등뿐만 아니라 그 일체화된 구성요소로부터의 배선 및/또는 칩 등도 배치되기에,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되지 않은 경우의 인쇄회로기판보다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경우의 인쇄회로기판의 길이가 길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프레임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도록 하는 한 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되지 않은 경우와 셔터부에 다른 구 성요소가 일체화된 경우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 개구부가 렌즈부 프레임에 형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 상이한 형상의 렌즈부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인쇄회로기판의 길이에 따라 렌즈부 프레임의 개구부의 위치가 상이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대량생산에 있어서 복수개 형상의 렌즈부 프레임들을 제조하여 이를 각각의 상이한 모델에 대해 적용해야만 했으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를 갖는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를 구비하는 바,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되지 않은 경우와 셔터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경우에 대해 인쇄회로기판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언제나 동일한 형태의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가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를 가지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개구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대량생산 시 제조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의 상황에 따른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개구부(111a)는 제2개구부(111b)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절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셔터부(120) 및 이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2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 시된 부분이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c의 경통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셔터부(120)가 렌즈부 프레임(111) 내에 배치된다. 도 2b에서는 셔터부(120) 전방에 제1경통(113)과 제2경통(114)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 바, 특히 제1경통(113)과 제2경통(114)이 렌즈부 프레임(111)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경통(113)과 제2경통(114)은 렌즈부 프레임(111) 내측에 수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경통(114) 내에는 1군렌즈(114a) 배치되어 있고, 제1경통(113) 내에는 제2군렌즈(113a)가 배치되어 있으며, 렌즈부 프레임(111) 내에는 제3군렌즈(111a)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인쇄회로기판(122)은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연장되는데, 도시된 것과 같이 2회 굽어져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22)은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에 배치된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으로, 셔터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여 참조번호 122a 및 참조번호 122b의 두 군데서 각각 굽어짐으로써 2회 굽어져 제1개구부(111a)를 통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지나간다. 인쇄회로기판(122)은 2회 굽어져 있기 때문에 경통(113, 114)이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돌출될 시 셔터부의 위치가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2)이 단선되거나 하지 않는다. 물론 인쇄회로기판(122)은 필요에 따라 그 길이가 길어져야만 하는 경우 2회 이상 굽어져 있을 수 있다.
물론 셔터부(120)의 위치가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이동하는 등 그 위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122)이 그와 같은 셔터부(120)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단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22)은 셔터부(120)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22)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나갈 시의 그 용이성을 위하여,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의 장축은 렌즈부 프레임(111)에 입사하는 광축과 수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셔터부(130) 및 이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3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부분이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3c의 경통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의 셔터부(130)는 도 2a의 셔터부(120)에 다른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셔터부이다. 예컨대 도 3a의 셔터부(130)는 손떨림 보정모듈이 일체화된 셔터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셔터부(130)로부터의 인쇄회로기판(132)은 도 2a의 셔터부(120)로부터의 인쇄회로기판(122)과 달리 일체화된 손떨림 보정모듈에 의한 추가적인 배선 및/또는 칩을 더 갖게 된다. 따라서 그 인쇄회로기판(132)의 길이가 도 2a의 인쇄회로기판(122)의 길이보다 길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 이 인쇄회로기판(132)은 제1개구부(111a)가 아닌 제2개구부(111b)를 통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지나가게 되며, 이때 인쇄회로기판(132)은 참조번호 132a, 132b 및 132c에서 각각 굽어짐으로써 3회 굽어지게 된다. 인쇄회로기판(132)은 3회 굽어져 있기 때문에, 경통(113, 114)이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돌출될 시 셔터부의 위치가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2)이 단선되거나 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32)이 더 길어질 경우에는 3회 이상 굽어질 수도 있다.
물론 셔터부(130)의 위치가 렌즈부 프레임(111) 전방으로 이동하는 등 그 위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122)이 그와 같은 셔터부(130)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단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22)은 셔터부(130)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22)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나갈 시의 그 용이성을 위하여,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의 장축은 렌즈부 프레임(111)에 입사하는 광축과 수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3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비교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22')의 길이를 더 늘려 도 2d에 도시된 제1개구부(111a)와 유사한 위치에 개구부(111'a)를 갖되 제2개구부를 갖지 않는 렌즈부 프레임(111')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22')은 참조번호 122'a, 122'b, 122'c 및 122'd에서 각각 굽어짐으로써 4회 굽어지고 이후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짧은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동일한 개구부(111'a)를 이용하여 도 2d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태로 인쇄회로기판이 2회 굽어지고 이후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122')이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짧은 형태가 아니라 긴 형태이지만 도 3e에 도시된 것보다 짧은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길이라면, 이는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렌즈부 프레임에는 장착될 수 없다. 즉,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렌즈부 프레임(111')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짧은 형태가 아니라 그보다 조금이라도 긴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시, 그 인쇄회로기판이 4회 굽어져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긴 인쇄회로기판(122')을 이용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배선 및/또는 칩 등을 고려할 시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길이의 인쇄회로기판(132)으로 족함에도 불구하고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더 긴 길이의 인쇄회로기판(122')을 이용해야만 하므로,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렌즈부 프레임(111)에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제품들에 있어서 렌즈부 프레임(111)의 형상을 항상 일정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더 늘리거나 줄일 필요 없이 각각의 제품에 최적화된 길 이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 프레임(111)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 외부(111)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111a)를 가지며, 또한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111b)가 형성되도록 렌즈부 프레임(111)과 렌즈부 베이스(112)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렌즈부 프레임(111)과 렌즈부 베이스(11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렌즈부 프레임(111)과 렌즈부 베이스(112)가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2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 프레임(111)이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111a)와, 렌즈부 프레임(111)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111)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111b)를 모두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 셔터버튼(142), 모드 다이얼(144) 및/또는 플래쉬부(146)를 구비한다.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의 일부는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케이스 내 부에 배치되어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는 바,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1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개구부(111a)와 제2개구부(111b)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늘리지 않고도 적절한 길이로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셔터부 및 이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부분이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d는 도 2c의 경통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셔터부 및 이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부분이 도 1a에 도시된 부분 내부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c의 경통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e는 비교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렌즈부 프레임 어셈블리 111: 렌즈부 프레임
111a: 제1개구부 111b: 제2개구부
112: 렌즈부 베이스 113: 제1경통
114: 제2경통 120: 셔터부

Claims (10)

  1.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렌즈부 프레임: 및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 프레임에 부착된 렌즈부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부 프레임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렌즈부 프레임과 상기 렌즈부 베이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광이 전방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를 가지며, 렌즈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렌즈부를 포함한 경통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렌즈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1개구부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인쇄회로기판이 지나갈 수 있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는 상호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의 장축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에 입사하는 광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제2개구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2회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여 적어도 2회 굽어져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3회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셔터부로부터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이며, 상기 렌즈부 프레임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하여 적어도 3회 굽어져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 프레임 내부로부터 상기 렌즈부 프레임 외부로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손떨림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80069751A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51A KR101445612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장치
GB0911886.0A GB2461795B (en) 2008-07-17 2009-07-0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DE102009027762A DE102009027762A1 (de) 2008-07-17 2009-07-16 Digitalfotografiervorrichtung
US12/503,975 US8542308B2 (en) 2008-07-17 2009-07-1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lens unit configured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having different length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51A KR101445612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63A KR20100009063A (ko) 2010-01-27
KR101445612B1 true KR101445612B1 (ko) 2014-09-29

Family

ID=4102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612B1 (ko) 2008-07-17 2008-07-17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42308B2 (ko)
KR (1) KR101445612B1 (ko)
DE (1) DE102009027762A1 (ko)
GB (1) GB2461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37644U (zh) * 2012-08-14 2013-03-27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相机模块
USD717355S1 (en) * 2012-09-03 2014-11-11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US8992102B1 (en) * 2014-01-06 2015-03-31 Gopro, Inc. Camera housing for a square-profile camera
TWD179502S (zh) 2014-07-11 2016-11-11 Gopro公司 相機
USD830446S1 (en) 2015-12-15 2018-10-09 Gopro, Inc. Multi-lens camera
USD861592S1 (en) 2017-09-28 2019-10-01 Gopro, Inc. Battery
USD890835S1 (en) 2017-12-28 2020-07-21 Gopro, Inc. Camera
KR102511533B1 (ko) 2018-04-24 2023-03-20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CN209299367U (zh) * 2018-07-26 2019-08-23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多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EP3834039B1 (en) 2018-08-07 2024-03-27 GoPro, Inc. Camera and camera mount
USD905786S1 (en) 2018-08-31 2020-12-22 Gopro, Inc. Camera mount
USD907680S1 (en) 2018-08-31 2021-01-12 Gopro, Inc. Camera
USD894256S1 (en) 2018-08-31 2020-08-25 Gopro, Inc. Camera mount
USD907101S1 (en) 2019-06-11 2021-01-05 Gopro, Inc. Camera
USD903740S1 (en) 2018-09-14 2020-12-01 Gopro, Inc. Camera
US11698525B2 (en) * 2019-09-06 2023-07-11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USD1029745S1 (en) 2019-09-13 2024-06-04 Gopro, Inc. Camera battery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DE212020000722U1 (de) 2019-09-18 2022-04-26 Gopro, Inc. Türbaugruppen für Bildaufnahmevorrichtungen
US12066748B2 (en) 2019-09-18 2024-08-20 Gopro, Inc. Door assembl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WO2022000417A1 (en) 2020-07-02 2022-01-06 Gopro, Inc. Removable battery door assembl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USD1029746S1 (en) 2020-07-31 2024-06-04 Gopro, Inc. Battery
USD1050227S1 (en) 2020-08-14 2024-11-05 Gopro, Inc. Camera door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USD1066462S1 (en) 2021-02-12 2025-03-11 Gopro, Inc. Camera door
USD1061682S1 (en) 2022-08-04 2025-02-11 Gopro, Inc. Camera door
US12321084B2 (en) 2022-08-12 2025-06-03 Gopro, Inc. Interconnect mechanism for image capture device
US12379650B2 (en) 2023-02-15 2025-08-05 Gopro, Inc. Reinforced image capture devices including interconnect mechanisms with a threaded accessory interface
USD1096914S1 (en) 2024-03-15 2025-10-07 Gopro, Inc. Camera mou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348A (en) 1987-09-03 1989-09-05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install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052Y2 (ja) 1989-05-22 1995-12-0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のフレキシブル基板取付構造
US5537177A (en) * 1993-01-21 1996-07-16 Nikon Corporation Camera
US5717969A (en) * 1993-10-21 1998-02-10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US5655171A (en) 1994-02-02 1997-08-05 Nikon Corporation Ultraminiature lens shutter camera and lens barrel thereof
JP3782652B2 (ja) * 2000-08-31 2006-06-0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fpc配設構造
US20030016300A1 (en) * 2001-07-23 2003-01-23 Chih-Yu Ting Structure of a chip package
US7436435B2 (en) * 2001-10-01 2008-10-14 Minolta Co., Ltd. Image taking device having image-blur compensator
JP4474201B2 (ja) * 2004-05-26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2006157834A (ja) * 2004-12-01 2006-06-15 Pentax Corp 撮像装置
JP4455350B2 (ja) * 2005-01-1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EP1732312A3 (en) * 2005-06-07 2014-12-10 Sony Corporation Image stabilizer, lens barrel and imager apparatus
JP2007013618A (ja) * 2005-06-30 2007-01-18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08104037A (ja) * 2006-10-20 2008-05-01 Fujifilm Corp 撮像装置
KR100912316B1 (ko) 2007-01-24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20090027507A1 (en) * 2007-07-27 2009-01-29 Fujinon Corporation XY stage and image-taking apparatus
JP4948318B2 (ja) * 2007-08-08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N101750695A (zh) * 2008-12-01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348A (en) 1987-09-03 1989-09-05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install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3980A1 (en) 2010-01-21
US8542308B2 (en) 2013-09-24
KR20100009063A (ko) 2010-01-27
GB2461795B (en) 2012-07-25
GB2461795A (en) 2010-01-20
GB0911886D0 (en) 2009-08-19
DE102009027762A1 (de)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61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KR102185060B1 (ko) 카메라 모듈
US9436062B2 (en) Camera body
JP2007298617A (ja) レンズバリアのスライド機構およびカメラ
CN118363145A (zh) 光学成像模块与电子装置
US20090256945A1 (en) Imaging device
JP6721366B2 (ja) 撮像モジュール、内視鏡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897078B (zh) 光學成像模組與電子裝置
JP2012185246A (ja) 撮像ユニット
US8553310B2 (en) Lens device with an integrated shutter unit
KR101044788B1 (ko) 카메라 모듈
JP2007017698A (ja) 反射光学系組立ユニット
JP2013003180A (ja) レンズユニット
JP2008191173A (ja) カメラ
CN110622053A (zh) 透镜镜筒
WO2010026841A1 (ja) 電子撮影装置
JP2002023235A (ja) カメラ
JP4258512B2 (ja) 携帯型撮像装置
JP3693040B2 (ja) 電子カメラ
US6567616B2 (en) Temporary retaining structure for light projecting or receiving devices of AF apparatuses
JP2007052358A (ja) 光学ユニット
JP200828324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構造
JP2008233395A (ja) 外装カバー及び光学機器
JP2008216707A (ja) レンズ組立体および撮影装置
JP2006251367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