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758B1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3758B1 KR101413758B1 KR1020120100946A KR20120100946A KR101413758B1 KR 101413758 B1 KR101413758 B1 KR 101413758B1 KR 1020120100946 A KR1020120100946 A KR 1020120100946A KR 20120100946 A KR20120100946 A KR 20120100946A KR 101413758 B1 KR101413758 B1 KR 101413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ar
- purifier
- water purifier
- drinking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정수기 본체에 축 결합에 의하여 회전 작동하는 토출수단을 형성하고, 그 토출수단은 정수기 본체에 축결합되는 출수바에 유로관을 내장하여 출수바의 타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수단이 출수바의 절첩에 의하여 토출구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토출구의 위치 가변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물을 받는 용기의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물을 자유롭게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drinking water of a water purifier, which comprises a discharging means for rotating the water purifier body by shaft coupling with a water purifier body for purifying water to make drinking water, the discharging means comprising: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head bar so that the discharging means can expel the drinking water by exposing or hiding the discharging port by the folding of the head bar so that the discharge port for receiving the wat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changed and the water can be freely received and used irrespective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ainer for receiving the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출수바에 의하여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출수바를 펼쳐 물을 받거나, 출수바를 접어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drinking water of a water purifi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port for receiving water is folded by an outflow bar to open water catching bars to receive water or fold out a water catching bar, It is possible to keep it.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정수기의 전면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음용수를 뽑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Generally,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which is installed in a home, an office, or a public place and is used for domestic or commercial use. A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such a water purifier to extract drink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
특히, 이러한 토출구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음용수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버는 토출구의 상단에 장착되어 레버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토출구의 후방에 장착되어 컵을 밀어서 젖혀지도록 되면서 작동하는 것이고, 레버가 탄성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유지되다가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토출구가 열리면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structure of such a discharge port is generally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levers, so that the user can extract the drinking water by operating the lever. Such a lever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to lift the lever, or to mount the lever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port The lever is kept clos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so that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특히 이러한 토출구가 정수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출구와 레버가 정수기의 전면 내측으로 매립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높이는 보통 컵 등의 용기 높이를 고려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용량이 큰 용기에 음용수를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of this problem is that the discharge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not very good. Especially, in order to prevent the discharge port from protruding outside the purifier body, the discharge port and the lever are buried in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purifier.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s set at a predetermined heigh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eive drinking water in a container having a large capacity due to such a structural problem.
즉, 음용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물병이나 패트병, 또는 냄비나 볼(bowl)과 같은 주방용기에 음용수를 직접 받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렇게 매립되어진 형태의 구조에서는 음용수를 직접 받기가 매우 까다롭고,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레버의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음용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In other words, drinking water frequently receives drinking water directly from various types of water bottles, plastic bottles, or kitchen containers such as pots or bowls,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In such a buried type structure, In addition,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the lever in such a situation because it can receive drinking water.
또한, 이러한 정수기는 대부분 경우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두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 자체가 정수기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such a water purifier, in most cases, two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order to select cold water and hot water to be discharged, and this structure itself has a problem of detracting the beauty of the water purifier.
특히, 최근에는 온수를 토출할 경우 어린이가 사용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 측 레버에는 안전장치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 또한 외관을 더욱 해치게 됨은 물론, 온수 사용이 번거롭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when hot water is discharged, a safety device is formed in the hot water side lever in order to prevent the child from using the hot water. In addition, such a structure also deteriorates the appearance and also makes use of hot water troublesome .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을 받기 위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토출구의 위치 가변이 가능하여 물을 받는 용기의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물을 자유롭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토출구의 구조에 안전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without exposing the discharge port for receiving water, so that water can be freely receiv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로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정수기 본체에 축 결합에 의하여 회전 작동하는 토출수단을 형성하고, 그 토출수단은 정수기 본체에 축결합되는 출수바에 유로관을 내장하여 출수바의 타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수단이 출수바의 절첩에 의하여 토출구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for purifying water by using a filter to form a discharging means for rotating the water purifier body by shaft coupling, the discharging means including a water pipe, By forming the discharge port on the other side, the discharging means can discharge the drinking water while exposing or hiding the discharge port by the folding of the outlet bar.
또한, 이러한 축결합구조가 토출수단에 유로관과 정수라인의 튜브를 연결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삽입소켓부를 형성하고, 그 삽입소켓부가 정수기 본체에 형성되는 장착대에 끼워 조립되도록 하여 출수바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출수바에는 유로관에 살균수단을 내장함으로써 음용수가 배출되기 직전에 살균수단에 의한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connect the flow path tube and the integral line tube to the discharging means, the insertion socke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base formed on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so that the outlet bar is horizontally The water bar is provided with sterilizing means in the flow pipe so that water is purified by the sterilizing means immediately before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따라서 본 발명은 음용수를 토출할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출수바를 회동시켜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항상 출수바를 접어서 보관하므로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출수바가 접힌 상태에서는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출수바에 의하여 안전장치가 작동하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flow bar is temporarily exposed only when discharging the drinking water, and when the outflow bar is not used, the outflow bar is always folded and stored, so that the outward appearance can be enhanced. Therefore, i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the safety device can be operated by the bar.
또한, 음용수를 받기 위한 용기의 높이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물병이나 패트병, 또는 냄비나 볼(bowl)과 같은 주방용기로 음용수를 직접 받을 경우에도 간편하게 받을 수 있고, 출수바의 회동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음용수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정수기 본체의 설치 위치를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easily received even when receiving drinking water directly from various types of water bottles, plastic bottles, or kitchen containers such as pots or bowls regardless of the height or size of the container for receiving drinking water, Since the drinking water can be received at various positions, it is possible to freely install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without restri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기 본체와 토출수단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출수단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수바에 살균수단이 형성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출수바에 살균수단이 형성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the purifier body and the dischar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ructure of the discharg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in which the sterilizing means is formed on the head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in which the sterilizing means is formed on the head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 본체(10)에 필터가 내장되어 원수(原水)로 공급되어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로 만들어 토출수단(20)을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정수기로서, 이러한 토출수단(20)의 구조를 정수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축 회전하는 출수바(21)를 구비하고 그 출수바(21)의 말단부에는 유로와 연결되어지는 토출구(22)를 형성하여 출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구(22)가 노출되거나 감춰지면서 토출구(22)를 통하여 음용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o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is built in a
이때, 상기 출수바(21)의 내부에는 토출구(22)를 통하여 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로관(23)을 내장하고, 그 유로관(23)에는 정수라인 상에 장착되는 호스(30)와 연결하여 정수기 본체(10), 즉 필터에서 정수되어진 음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 유로관(23)은 정수기 본체(10)에 삽입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삽입소켓부(24)를 형성하여 호스(30)가 작동체(15)를 관통하게 끼우면서 삽입소켓부(24)의 하단을 정수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장착대(14)에 조립함으로써 출수바(21)가 정수기 본체(10)에 축 결합되어 출수바(21)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정수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내입턱(11)을 형성하면서 그 내입턱(11)에 개구홀(12)을 형성함으로써 삽입소켓부(24)가 개구홀(12)을 관통하여 장착대(14)에 조립되어지면서도 출수바(21)가 내입턱에 안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따라서 삽입소켓부(24)가 장착대(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출수바(21)륵 측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배출구(22)가 노출되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배출구(22)를 내입턱(11)의 상단에 위치시켜 가릴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When the
이때, 상기 출수바(21)의 장착높이, 즉 내입턱(11)의 높이에 따라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높이가 제한되는 것이고, 또한 출수바(21)의 길이에 따라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직경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which can be used for receiving water is limited according to the mounting height of the
즉, 정수기 본체(10)에서 출수바(21)가 높게 위치되도록 하면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높이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더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출수바(2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출수바의 회전축으로부터 토출구(22)가 멀리 위치하게 되므로 물을 받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직경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더욱 여러 종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height of the
따라서 출수바(21)의 장착높이와 길이를 설계과정에서 설정함으로써 필요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정수기의 설치장소나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정수기 사용이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이때, 상기 출수바(21)의 반복적인 작동이나 출수바(21)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을 받을 경우에 출수바(21)의 축 결합된 부분에 모든 하중이 집중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바(21)를 정수기 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한 삽입소켓부(24)의 형태를 유로관(23)과 호스(30) 연결을 위하여 직각으로 밴딩하여 형성하면서 그 밴딩되어진 부분에 보강수단(24a)을 덧댐으로써 삽입소켓부(24)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이러한 삽입소켓부(24)의 외주면에 돌기살(24b)을 형성하고, 출수바(21)에는 이와 대응되게 끼움홈(21b)을 형성하면 돌기살(24b)이 끼움홈(21b)에 맞물리게 끼워져 출수바(21)의 절첩시 출수바(21)와 삽입소켓부(24)가 긴밀히 연동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하여 장기간 반복 작동할 경우에도 출수바(21)에서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rotruding
그리고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정수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장착대(14)에는 출수바(21)의 삽입소켓부(24)와 조립되어 출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되게 작동하는 작동체(15)를 형성하고, 그 작동체(15)의 회전 반경 상에 안전스위치(40)를 장착하면 출수바(21)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안전스위치(40)를 자동으로 온/오프 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3 and 4, the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바(21)를 펼쳐 토출구(22)를 개방하면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작동체(15)의 가압돌기(15a)가 안전스위치(40)의 접점부(40a)로부터 떨어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준비되고, 반대로 출수바(21)를 접어 토출구(22)를 닫으면 작동체(15)가 회전하면서 작동체(15)의 가압돌기(15a)가 안전스위치(40)의 접점부(40a)를 가압하여 스위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물을 배출하는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5 and 6, when the
따라서 출수바(21)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안전스위치(40)의 작동상태를 해제하여 물을 받을 수 있는 준비 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안전스위치(40)가 작동되도록 하여 물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따라서 안전스위치(40)의 작동상태를 해제한 상태, 즉 도 5와 같이 출수바(21)을 전방으로 펼친 상태에서는 정수기 본체(10) 전면에 작동스위치(13)를 작동시켜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반대로 안전스위치(40)를 작동한 상태, 즉 출수바(21)가 접힌 상태에서는 정수기 본체(10) 전면에 작동스위치(13)를 작동시켜도 물이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출수바(21)의 삽입소켓부(24)와 작동체(15)가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삽입소켓부(24)와 작동체(15)에 서로 대응되게 걸림수단(15c,24c)을 형성함으로써 출수바(21)의 절첩 작동에 의하여 작동체(15)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걸림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조립구조 이외에도 기어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terlock the
또한, 상기 출수바(21)는 상부에 내입되는 형태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부(21a)를 형성하면 출수바(21)가 정수기 본체(10)에 밀착되게 접힌 상태에서도 손잡이부(21a)에 손가락을 걸어 간편하게 펼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부(21a)의 구조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부(21a)에 버튼식의 락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상기 출수바(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관(23)에는 살균수단(25)을 내장하면 음용수가 배출되기 직전에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수단(2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23)에 복수의 살균볼(25a)을 내장하고 그 내장된 살균볼(25a)의 양단을 탄성수단(25b)에 의하여 탄성 고정되도록 하면 토출관(22)을 통하여 물을 배출할 경우에도 유로관(23)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살균볼(25a)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terilizing
그리고 이때, 상기 살균수단(25)의 단부, 즉 유로관(23)의 말단부에는 걸름막(25c)을 장착하면 정수기 본체(10)의 필터 또는 상기 살균볼과 같은 정수, 살균 수단을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이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10: 정수기 본체 11: 내입턱
12: 개구홀 13: 작동스위치
14: 장착대 15: 작동체
15c: 걸림수단
20: 토출수단 21: 출수바
21a: 손잡이부 21a: 끼움홈
22: 토출구 23: 유로관
24: 삽입소켓부 24a: 보강수단
24b: 돌기살 24c: 걸림수단
25: 살균수단 25a: 살균볼
25b: 탄성수단 25c: 걸름막
30: 호스
40: 안전스위치 40a: 접점부10: purifier body 11: inner jaw
12: aperture hole 13: operation switch
14: mounting base 15: operating body
15c:
20: Discharging means 21:
21a:
22: discharge port 23:
24:
24b:
25: sterilization means 25a: sterilization ball
25b: elastic means 25c:
30: Hose
40:
Claims (8)
상기 정수기 본체(10)는 출수바(21)를 조립하기 위한 장착대(14)가 마련되고 출수바(21)에는 장착대(14)와의 조립을 위한 삽입소켓부(24)가 마련되어 삽입소켓부(24)가 장착대(14)에 축 결합되어 출수바(21)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장착대(14)에는 출수바(21)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게 작동하는 작동체(15) 및 그 작동체(15)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안전스위치(40)가 장착되어 출수바(21)의 절첩 작동에 의하여 안전스위치(40)를 자동으로 온/오프시켜 음용수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A water purifier main body 10 in which a filter is built up to purify water to make drinking water, a discharging means 20 to be installed in the purifier body 10 and a water purifier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of the purifier body 10 to the discharging means 20 And the discharge means 20 includes a discharge port 22 formed at one end of an outlet bar 21 axially coupled to the purifier body 10 and a flow pipe 23 connected to the hose 30 ) For drink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table 14 for assembling the water outlet bar 21 and an outlet socket 2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ocket part 24 for assembly with the mounting table 14, (24)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table (14) so that the spinning operation of the spinning bar (21) is performed,
The mounting base 14 is provided with an actuating body 15 which is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ing bar 21 and a safety switch 40 which is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actuating body 15 And the safety switch (40) is automatically turned on / off by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head bar (21) to control whether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or no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0946A KR101413758B1 (en) | 2012-09-12 | 2012-09-12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0946A KR101413758B1 (en) | 2012-09-12 | 2012-09-12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34519A KR20140034519A (en) | 2014-03-20 |
| KR101413758B1 true KR101413758B1 (en) | 2014-08-06 |
Family
ID=506449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00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3758B1 (en) | 2012-09-12 | 2012-09-12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137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73478B1 (en) | 2015-08-21 | 2017-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 KR102479409B1 (en) | 2021-01-21 | 2022-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 KR20220132321A (en) | 2021-03-23 | 2022-09-30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26136A (en) * | 1992-10-16 | 1994-05-10 | Mitsubishi Rayon Co Ltd | Water purifier |
| JP2006021186A (en) * | 2004-07-09 | 2006-01-26 | Ttm:Kk | Motor-driven pump type water purifier |
-
2012
- 2012-09-12 KR KR1020120100946A patent/KR1014137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26136A (en) * | 1992-10-16 | 1994-05-10 | Mitsubishi Rayon Co Ltd | Water purifier |
| JP2006021186A (en) * | 2004-07-09 | 2006-01-26 | Ttm:Kk | Motor-driven pump type wate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34519A (en)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5612294B (en) | Self-cleaning toilet components and systems | |
| USD555981S1 (en) | Camping, kitchen accessory for a cooking pot | |
| KR101413758B1 (en)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 |
| CN103362193B (en) | Actuator for toilet | |
| KR102628447B1 (en) | a water purifier having output member enable common using of cold and warmth water purifier | |
| US20080197063A1 (en) | Fluid Flow Interruption Mean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 |
| CN2929370Y (en) | Anti-contaminating hand switch tap | |
| KR101113254B1 (en) | Assembly for nozzle sterilizer and Nozzle sterilizer | |
| KR20140001851U (en) | water works directly connection enema with function | |
| CN208719441U (en) | a pull-out faucet | |
| JP2007297112A (en) | Plug member and liqui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plug member | |
| JP3708840B2 (en) | Water faucet with water purification function | |
| KR101338578B1 (en) | Oral irrigator | |
| KR200360765Y1 (en) | Water purifier for household of bag type | |
| CN106510366A (en) | Rotary safety container cover | |
| US6951281B1 (en) | Plunger holder | |
| JP2011094480A (en) | Automatic faucet | |
| WO2010071083A1 (en) | Simplified valve adapted for use in tank for supplying cold water or hot water | |
| USD615625S1 (en) | Sanitary appliance | |
| KR200409995Y1 (en) | Safety cock valve for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 ITBS20100040A1 (en) | DISPENSING DEVICE FOR A HOT FOAM | |
| USD539874S1 (en) | Lever faucet handle | |
| JP2002021134A (en) | Faucet with water purifier | |
| JP2002356891A (en) | Faucet with emergency shut-off valve and cartridge for faucet | |
| CN220124485U (en) | tea bar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6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62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