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1419288B1 -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288B1
KR101419288B1 KR1020120071983A KR20120071983A KR101419288B1 KR 101419288 B1 KR101419288 B1 KR 101419288B1 KR 1020120071983 A KR1020120071983 A KR 1020120071983A KR 20120071983 A KR20120071983 A KR 20120071983A KR 101419288 B1 KR101419288 B1 KR 10141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
image
images
ornamental elements
ele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903A (ko
Inventor
그나나세크르 슈르네니
일리아 쏘포노브
말타 에고라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849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58954A4/en
Priority to PCT/KR2012/009733 priority patent/WO2013073892A1/en
Priority to US13/680,737 priority patent/US9117266B2/en
Publication of KR2013005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2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들의 컬렉션의 프레젠테이션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은,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며,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고,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의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영상을 변경하고, 영상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콜라주를 변경하며,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고,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VISUALIZING A COLLECTION OF IMAGES IN THE FORM OF A COLLAGE}
본 발명은 영상들의 컬렉션을 프레젠테이션하는 방식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화된 영상들에 의존하는 컬러를 포함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타입의 정적 영상으로의 변환에 대한 다양한 방식들 및 시스템들에 대하여 기술하는 다수의 문헌들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들은 조건부로 두 개의 그룹들로 분류될 수 있다: 콜라주의 수동 생성을 위한 툴들을 포함하는 자동 또는 자동화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콜라주의 자동 생성에 대한 대부분의 특허들 및 특허공보들은 영상들의 배열, 그룹핑 및 선택의 프로세스들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7,576,755 [1] 에서, 영상의 중요한 영역의 최대 파트의 콜라주에서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따라 캔버스 상에서의 영상들의 배열 및 중요한 영역들의 할당 방식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베이지안(Bayesian) 분류기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국 특허 제 7,848,596 [2]는 영상들의 세트의 배열을 위한 템플릿들의 사용에 기초한다. 유사한 시스템들의 전체적인 콜라주는, 일반적으로 심미적으로 호감이 가는 콜라주의 생성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미국 특허 제 7,904,455 [3] 에서는 영상들 중에서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모자이크 형태로의 콜라주를 이용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영상 그룹들 간의 시각적 구분을 위하여 각각의 그룹의 대표적 영상들이 콜라주에서 경계들에 의하여 구분된다. 굵기, 컬러 및 경계 타입은 그룹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그룹들 간에 더욱 명확히 구분되면 될수록 영상 그룹들 간의 경계값들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
또한 콜라주의 형태로의 슬라이드 쇼는 영상들의 컬렉션의 프레젠테이션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애플 사의 iPhoto (미국 특허 제 8,013,874) [4] 참조)는 콜라주의 형태로의 슬라이드 쇼의 빌트-인 디스플레이 모드: 영상들이 캔버스 상에 차례차례 "투하(fall)"되는 모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몇몇의 고정된 세트, 예를 들어, 화이트 프레임워크가 이용 가능하다.
콜라주 형태로의 더욱 인상적인 슬라이드 쇼들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이를 테면 CyberLink PowerDirector (http://en.wikipedia.org/wiki/PowerDirector 참조) [5]와 같은 오토링(autoring) 특정 프로그램들을 사용해야만 한다. 자동적으로 생성된 콜라주들은 이를 테면 텍스트, 배경, 프레임 워크들과 같은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거의 동반하지 않는다. 이는 몇몇의 경우들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콜라주들의 음성적 식별 결과인 영상들과 컬러의 측면에서 불충분하게 결합된다는 것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보통 영상들은 콜라주의 형태로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배치되고 그러면 텍스트 또는 다른 장식용 엘리먼트들과 같은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수동으로 도입되며, 엘리먼트들의 파라미터들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폰트, 크기, 투명 강도, 포화도, 컬러). 콜라주의 수동 장식은 상당한 시간을 소요한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파라미터들의 변경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스킬들을 필요로 하는데, 예를 들어, 매칭 컬러들을 심미적으로 선택하는 능력들 및 다양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결합 같은 스킬들을 필요로 한다.
콜라주의 수동 생성을 위한 알려진 방식들 및 시스템들 중 하나는 공지되고 그리고 본 발명과 유사한 것으로서, 이를 테면 프레임워크들, 마스크들, 셰이드들, 그림들, 배경들 등과 같은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및 영상 배치를 위한 템플릿 세트를 제공하는 Picture Collage Maker (<http://www.picturecollagesoftware.com>) [6] 프로그램에서 구현되는 기술적 결정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개인용 콜라주들의 생성과 연관된 유경험(experienced) 사용자들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포커싱되어 있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의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 영상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콜라주를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로서, 콜라주의 크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변경은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및 그림들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부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부드럽게 변하거나 또는 급격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 및 영상의 로컬 영역들이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콜라주 및 영상,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는,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분석부;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의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영상을 변경하는 영상 변경부; 영상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콜라주를 변경하는 콜라주 변경부;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로서, 콜라주의 크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경부는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및 그림들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영상으로의 부가에 의하여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에서,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부드럽게 변하거나 또는 급격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에서,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 및 영상의 로컬 영역들이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콜라주 및 영상,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부에서,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제시된 영상들의 컬러들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갖는 콜라주 형태의 슬라이드 쇼의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을 포함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의 동적 시각화 프로세스의 방식(scheme)을 도시한다.
도 3은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의 변경들의 평가를 위한 방식을 도시한다.
도 4는 컬러 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변경을 포함하는 프레임들의 시퀀스의 구성 프로세스의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6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들의 세트의 콜라주로의 변환에 대한 진보된 방법을 개발한다는 점에 있고,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생성된 콜라주들의 시각적 장식의 변형예들에 대한 넓은 스펙트럼을 제공해야만 하고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 맞춰져 있어야만 한다.
도 1에서, 슬라이드 시퀀스의 하나의 프레임은 시각화된 영상들의 컬러들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도시된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은 콜라주에서의 영상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프레임워크 (101)과 같이 콜라주 자체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101) 및 배경의 출현(102)은 영상들의 컬렉션의 동적 시각화 과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부가에 의하여 콜라주 또는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은,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그림들, 예를 들어 그림 핀(pin)들, 냉장고 상의 자석들 등과 같은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로서, 기입(writing) 버튼들(103, 104 및 105) 및 프레임워크들(106, 107 및 108)이 도시된다. 일 타입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에 대한 상이한 참조 번호들은 엘리먼트들이 각각 서로 상이한 컬러들을 가짐을 나타낸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의 선택은 사용자의 선호도 및 특정 컬러 방식(scheme)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들의 조합에 대한 상보적인 방식이 어두운 영상(109)에 대하여 사용된다면, 상응하는 프레임워크(106)은 밝아야 하고, 그리고 이와 반대로 밝은 영상(110)에 대한 프레임워크(108)는 어두워야 한다.
도 2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 변경을 포함하는 콜라주 형태로의 영상들의 컬렉션의 동적 시각화에 대한 프로세스 방식이 도시된다. 프로세스는 단계 201로 시작하고, 단계 201에서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확립될 수 있다. 동적 시각화에 대한 다음의 파라미터들이 설정될 수 있다: 콜라주의 크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이를 테면 촬영 날짜 및 시간, 촬영 장소, 파일명 등과 같은 영상의 메타데이터 세트.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사용자는 콜라주의 형태로 동적 시각화를 위한 영상들을 선택할 수 있다. 시각화를 위한 모듈은 영상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203)하고 그리고 콜라주에서 필요한 변경들에 대한 추정을 수행(204)할 수 있다. 단계 205에서는, 단계 201에서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콜라주에서의 주어진 영상의 표시를 위한 프레임들의 시퀀스가 단계 204에서의 분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변경된 콜라주 상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사이트(site)에 대한 결정 단계에서 영상의 크기는 소정의 범위로 변경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선택된 모든 영상들은 유사하게 프로세싱될 수 있다.
콜라주로의 새로운 영상의 부가는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들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는 도 3에서 도시된다. 단계 301에서 콜라주의 영역들 및 배치된 영상의 영역들이 분석을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분석을 위한 영역으로서는 전체의 콜라주 및 전체의 영상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변형예들에서는 완전한 영상 또는 콜라주를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콜라주에서 단계 201에서 선택된 영상들을 배치하는 방식은 콜라주에서 영상의 최종 위치 및 예를 들어 회전, 디스플레이, 동적 시각화가 진행되는 동안에 크기의 변경과 같은 영상의 출현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콜라주에서 주어진 영상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용 엘리먼트로서 사용되는 기입 버튼의 그림은 기입 버튼이 배치되는 영상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어진 그림의 컬러는 그것이 배치되는 로컬 영역에서의 영상의 컬러들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예에서 분석을 위한 영역들은 장식용 엘리먼트의 위치와 관련하여 이웃하는 영역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는 콜라주 콘텐츠의 잔여부로부터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워크의 컬러는 프레임워크가 배치되는 콜라주 영역뿐만 아니라 프레임워크 주변의 콜라주의 컬러 및 영상의 컬러들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고려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석된 영역들의 검색을 위하여 소정의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컬러 특성들이 단계 302에서 계산될 수 있다. 컬러들의 히스토그램은 가장 일반적인 특징(특성)일 수 있다. 장식용 엘리먼트의 주축 중에서 컬러들의 분포 및/또는 우세한 컬러는 유용한 특징들로서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단계 303에서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는 계산된 특징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변형예들에서, 장식용 엘리먼트의 다수의 컬러들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계산된 특징들에 기초하여 장식용 엘리먼트의 구체적인 컬러는, 단계 201에서 결정된 컬러 선호도의 파라미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컬러 휠(wheel)을 도시한다. 12가지 컬러들이 휠로서 배치된다: 3원색(레드(403), 엘로우(401), 다크 블루(402)), 3부(minor)색(바이올렛(404), 그린(405), 오렌지(406)), 6개의 제3의 컬러들. 컬러들에 대한 이하의 기본적인 결합 방식들: 모노크로매틱(monochromatic) 방식, 컴플리멘터리(complementary) 방식, 트라이애드(triad) 방식이 알려져 있다. 컴플리멘터리 방식에서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는 분석된 영역에서의 컬러 휠 상에서의 컬러에 맞은편의 제 1의 컬러로서 선택될 수 있다. 몇몇의 영역들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컬러들의 트라이애드 결합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영역들이 고려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두 개의 유력(prepotent) 컬러들이 선택될 수 있고, 그리고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는 특정된 영역들의 유력 컬러들 중에서 컬러 휠 상에서의 등거리의 컬러로 결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이러한 포인트들이 휠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콜라주 상에서 컬러들의 모노크로매틱 결합이 선택된 경우에, 컬러 휠의 더 작은 섹터가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를 결정할 수 있고, 컴플리멘터리 결합이 선택된 경우에는, 장식용 엘리먼트의 컬러가 더 큰 섹터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조정을 포함하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단계 501에서 콜라주에 부가되는 영상은 콜라주에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고정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단계 201에서 설정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은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배열하는 단계에서는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프레임에서 프레임으로) 부드럽게 또는 (이후 프레임 내에서)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변경에서, 콜라주에 부가된 영상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은 프레임(502)으로부터 프레임(503)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들의 특성은 단계 201에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변경된 영상의 통합의 결과, 및 콜라주의 결과는 단계 504에서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6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600)는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610),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620),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분석부(630) 및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과 영상의 로컬 영역들에서의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영상을 변경하는 영상 변경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600) 영상에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콜라주를 변경하는 콜라주 변경부(650),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660) 및 콜라주에서의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로서, 콜라주의 크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경부(640)는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및 그림들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영상으로의 부가에 의하여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670)에서,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부드럽게 변하거나 또는 급격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630)에서, 콜라주의 로컬 영역들 및 영상의 로컬 영역들이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콜라주 및 영상,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부(660)에서,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600)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6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방식은 이를 테면 멀티미디어 능력을 구비한 TV들, 모바일 폰들, 디지털 카메라들, 포토 프레임워크들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그리고 슬라이드-쇼의 형태로 영상들을 나타내고 영상들 사이에서의 탐색을 위한 데스크 탑 컴퓨터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상에 포함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상에 포함된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영상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영상에서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콜라주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상기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콜라주에서의 상기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로서,
    상기 콜라주의 크기, 상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상기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경은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및 그림들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부가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상기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부드럽게 변하거나 또는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상기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들 및 상기 영상이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상기 콜라주 및 상기 영상,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상기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
  7. 영상들의 컬렉션으로부터 영상을 선택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상에 포함된 컬러들의 분포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과 상기 선택된 영상에 포함된 컬러들의 분포에 따라 출현하는 장식용 엘리먼트들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영상을 변경하는 영상 변경부;
    상기 선택된 영상에서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콜라주를 변경하는 콜라주 변경부;
    상기 변경된 콜라주에서의 상기 변경된 영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콜라주에서의 상기 변경된 영상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시각화 파라미터로서,
    상기 콜라주의 크기, 상기 콜라주 배경, 영상들의 배치 방식,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세트,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출현의 변경 방식, 컬러 선호도들, 상기 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경부는 프레임워크들, 경계들 및 그림들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상기 영상으로의 부가에 의하여 영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시퀀스 생성부에서, 상기 콜라주의 장식용 엘리먼트들 및 상기 콜라주에서의 영상들의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컬러들이 부드럽게 변하거나 또는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 상기 콜라주로 표현될 영역들 및 상기 영상이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상기 콜라주 및 상기 영상, 상기 장식용 엘리먼트들의 크기들의 패리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상기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주의 형태로 영상들의 컬렉션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71983A 2011-11-17 2012-07-02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41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849722.9A EP2758954A4 (en) 2011-11-17 2012-11-16 METHOD AND DEVICE FOR THE DYNAMIC VISUALIZATION OF A COLLECTION OF IMAGES IN THE FORM OF A COLLAGE
PCT/KR2012/009733 WO2013073892A1 (en) 2011-11-17 2012-11-16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visualizing a collection of images in the form of a collage
US13/680,737 US9117266B2 (en) 2011-11-17 2012-11-19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visualizing a collection of images in the form of a coll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1146620 2011-11-17
RU2011146620/08A RU2523925C2 (ru) 2011-11-17 2011-11-17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коллекции изображений в виде коллаж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903A KR20130054903A (ko) 2013-05-27
KR101419288B1 true KR101419288B1 (ko) 2014-07-14

Family

ID=4866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983A Active KR101419288B1 (ko) 2011-11-17 2012-07-02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7266B2 (ko)
EP (1) EP2758954A4 (ko)
KR (1) KR101419288B1 (ko)
RU (1) RU2523925C2 (ko)
WO (1) WO2013073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2337B (zh) * 2015-07-31 2019-03-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片处理方法及装置
US11880918B2 (en) * 2016-07-28 2024-01-23 Kodak Alaris, Inc. Method for dynamic creation of collages from mobile video
CN109767384B (zh) * 2018-11-29 2023-01-06 四川大学 一种制作无缝拼贴图案模拟荔枝纹皮革表面的方法
CN110263301B (zh) * 2019-06-27 2023-12-0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确定文字的颜色的方法和装置
CN114119438B (zh) * 2021-11-11 2025-02-07 清华大学 图像拼贴模型的训练方法和设备及图像拼贴方法和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186A (ko) * 1992-04-22 1993-11-23 우영섭 다중영상신호합성장치
KR940012179A (ko) * 1992-11-24 1994-06-23 오오가 노리오 화상처리장치
US7576755B2 (en) * 2007-02-13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Picture collage systems and methods
US7848596B2 (en) * 2006-05-24 2010-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mplated collage generation with occlusion cost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7754U1 (ru) * 1997-12-05 1998-09-16 Литвинов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 получ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графического или фотоизображения
US20060181736A1 (en) * 1999-11-24 2006-08-17 Quek Su M Image collage builder
US20020040375A1 (en) * 2000-04-27 2002-04-04 Simon Richard A. Method of organizing digital images on a page
JP2002300363A (ja) * 2001-03-29 2002-10-11 Fuji Photo Film Co Ltd 背景画像設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GB2378340A (en) 2001-07-31 2003-02-05 Hewlett Packard Co Generation of an image bounded by a frame or of overlapping images
US7289132B1 (en) 2003-12-19 2007-10-3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cquisition, organization, manipulation, and publication
US7478323B2 (en) * 2004-10-25 2009-01-13 Apple Inc. Automated creation of media asset illustration collage
DE60325982D1 (de) * 2002-09-30 2009-03-12 Igt Reno Nev 3-d text in einem spielautomaten
KR100703331B1 (ko) * 2005-06-0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에 대해 비주얼 효과를 부여하는 문자 입력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7593023B2 (en) * 2005-07-27 2009-09-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reation of randomized custom image effects
US7904455B2 (en) 2005-11-03 2011-03-08 Fuji Xerox Co., Ltd. Cascading cluster collages: visualization of image search results on small displays
US20080155422A1 (en) 2006-12-20 2008-06-26 Joseph Anthony Manico Automated production of multiple output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186A (ko) * 1992-04-22 1993-11-23 우영섭 다중영상신호합성장치
KR940012179A (ko) * 1992-11-24 1994-06-23 오오가 노리오 화상처리장치
US7848596B2 (en) * 2006-05-24 2010-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mplated collage generation with occlusion costing
US7576755B2 (en) * 2007-02-13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Picture collag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23925C2 (ru) 2014-07-27
RU2011146620A (ru) 2013-05-27
WO2013073892A1 (en) 2013-05-23
EP2758954A1 (en) 2014-07-30
US20130129139A1 (en) 2013-05-23
EP2758954A4 (en) 2015-09-09
US9117266B2 (en) 2015-08-25
KR20130054903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288B1 (ko) 영상들의 컬렉션의 콜라주 형태로의 동적 시각화 방법 및 장치
EP299631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692830B2 (en) Automatic avatar creation
CN101783886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049477B1 (en) Computer-assisted text and visual styling for images
KR102133529B1 (ko) 영상 필터 정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장치
CN109688463A (zh) 一种剪辑视频生成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1959018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程序
US86928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retouching images based upon user applied designated areas and annotations
CN102761766A (zh) 色彩特征撷取方法
CN105761283A (zh) 一种图片主色提取方法及装置
JP2011215963A (ja) 電子機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34206A (zh) 电子设备及图像显示方法
CN103324654B (zh) 显示与检索对象类似的图像的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Manovich Designing and living Instagram photography: Themes, feeds, sequences, branding, faces, bodies
WO201317185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RU200814016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идеокадров,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модели сцены, модель сцены,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структуры меню и вычислительная программа
US9235575B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slideshow generator
CN103543916A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USRE50538E1 (en) Automatic avatar creation
US2010015694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images
Park et al. Preferred skin color reproduction on the display
JP63933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00093295A (ko) 가상현실 기반의 전시회 컨텐츠 제공 방법
Wang et al. In-image accessibility in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5-X000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