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025B1 -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5025B1 KR101325025B1 KR1020120124826A KR20120124826A KR101325025B1 KR 101325025 B1 KR101325025 B1 KR 101325025B1 KR 1020120124826 A KR1020120124826 A KR 1020120124826A KR 20120124826 A KR20120124826 A KR 20120124826A KR 101325025 B1 KR101325025 B1 KR 101325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box
- cloud
- power
- state
- priv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2—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key encryption ke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7—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involving distinctive intermediate devices or communication path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exchange, e.g. in peer-to-peer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 바람직하게는 IP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설 클라우드의 개념을 결합시킨 혼합형 클라우드를 구성하여 보안성, 저장용량의 확장성, 데이터 관리기능 등을 향상시키되 기존에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위해 개인 가정에 보급이 활발하고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부분을 담당하도록 구성한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데이터는 공공 클라우드로 처리하고 주요 데이터는 사설 클라우드로 처리하는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되 개인 가정에 보급이 활발하고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활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부분을 구성함으로써 일반 개인들도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공자나 개인 사용자(가입자) 모두 별달리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cloud service using a set-top box, preferably an IP set-top box.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hybrid cloud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private cloud with public cloud services to improve security, storage scalability, data management,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technology that is configured to take charge of the private cloud part by using a set-top box that is widely distributed and connected through an operator an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xed cloud service is constructed in which general data is processed in a public cloud and main data is in a private cloud, but a private cloud portion is formed by utilizing a set-top box that is widely distributed in a private home and connected to an operator and a network. As a result, the average individual can easily use the hybrid cloud service, and in particular, the service provider or the individual user (subscriber) does not have to increase cos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셋톱박스, 바람직하게는 IP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설 클라우드의 개념을 결합시킨 혼합형 클라우드를 구성하여 보안성, 저장용량의 확장성, 데이터 관리기능 등을 향상시키되 기존에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위해 개인 가정에 보급이 활발하고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부분을 담당하도록 구성한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cloud service using a set-top box, preferably an IP set-top box.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hybrid cloud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private cloud with public cloud services to improve security, storage scalability, data management,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technology that is configured to take charge of the private cloud part by using a set-top box that is widely distributed and connected through an operator and network.
개인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는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가 필요한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 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이다. 여러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하며, [도 1]과 같이 다양한 단말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가 형성 가능하다.A cloud service for an individual user is a computing service in which a computing resource existing in an intangible form is borrowed as needed by a user and paid for using it. Refers to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and providing computing resources existing in various physical locations into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cloud services can be formed based on various terminals as shown in FIG. 1.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성화 이전에 개인은 데이터 관리할 때에는 개인 자원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했다. 이 경우 운영체제 장애, 하드디스크 고장 등으로 자료의 손실 위험이 있었던 반면, 본인이 직접 저장공간을 관리함으로써 외부의 악의적 접근으로부터는 비교적 안전하였다. 그에 반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센터 해킹, 내부관리자에 의한 보안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 개인 정보 및 중요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다.Prior to the activation of cloud services, individuals used data management to manage their data. In this case, there was a risk of data loss due to operating system failure, hard disk failure, etc., but it was relatively safe from malicious access by managing the storage space directly. In contrast, cloud services can cause data center hacking and security incidents by internal administrators, which can lead to the leakage of personal and sensitive data.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공 클라우드(public cloud)와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가 제안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cloud service has been proposed in the public cloud (private cloud) and private cloud (private cloud).
먼저, 공공 클라우드는 대규모 시스템을 구축한 후에 다수의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하는 방식으로서, 예커대 현재 대한민국에서 서비스되는 ucloud, daum cloud, icloud, T cloud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에 수십 GB 정도의 공간을 무료로 제공하며 추가적인 서비스나 저장공간의 증가를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금액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First, the public cloud is a method of serving a large number of general public after building a large-scale system, such as ucloud, daum cloud, icloud, T cloud, etc. currently serviced in Korea. In general, you will initially receive tens of gigabytes of free space, and if you want more services or more storage, you will have to pay extra.
공공 클라우드는 보안 측면에서 불안감이 있기에 개인의 중요문서나 기업의 기밀 데이터를 처리할 목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부족하다. 즉,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대형 포털이나 이동통신사가 서비스하는 공공 클라우드는 대형 포털사나 이동통신사에 대한 해킹사고에 의해 개인정보와 중요 데이터가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또한 사용자 스스로 본인의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는지와 어떻게 관리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Public clouds are insecure in terms of security and are not enough to be used for the processing of sensitive personal documents or corporate confidential data. In other words, the public cloud, where most cloud services are serviced by large portals or mobile carriers,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personal information and important data will be leaked by hacking incidents against large portal companies or mobile carriers. Is not known where it is stored and how it is managed.
다음으로, 사설 클라우드는 공공 클라우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본인 스스로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방식이다. 사설 클라우드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상당한 투자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Next, the private cloud is propos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public cloud and is a way to build and use a cloud system by yourself. Private cloud not only requires a significant investment in system construction,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is very difficult.
즉 정리하자면, 공공 클라우드는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보안성에 문제가 있고, 사설 클라우드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관리 부담이 상당하다는 문제가 있다. 저장용량에 대해서는 공공 클라우드에서는 용량 추가에 따른 부담이 있는 반면, 사설 클라우드에서는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면 저장공간이 증가하므로 일회성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In other words, the public cloud has a problem of security of the user's data files, and the private cloud has a significant initial investment and maintenance burden for system construction. In the public cloud, there is a burden of adding capacity, whereas in a private cloud, adding a hard disk increases the storage space, so you only pay a one-time fee.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용성과 연결성의 장점을 취하면서 보안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물리적으로 보안을 관리할 수 있는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technical field,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hybrid cloud service that takes advantage of the availability and connectivity provided by the existing cloud service and physically manages security for data that requires special management for security is required. There is an urgent need.
또한,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함에 있어서도 기존의 사설 클라우드 방식은 클라우드 시스템을 자체 구축하기 위한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관리 부담이 상당하여 일반 개인 사용자로서는 활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building a mixed cloud service, the existing private cloud method has a high initial investment cost and maintenance burden to build a cloud system itself, and thu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be used by an individual user. Required.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특허출원 제10-2011-0017150호)
1. Clou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terminal using the cloud service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17150)
본 발명의 목적은 셋톱박스, 바람직하게는 IP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사설 클라우드의 개념을 결합시킨 혼합형 클라우드를 구성하여 보안성, 저장용량의 확장성, 데이터 관리기능 등을 향상시키되 기존에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위해 개인 가정에 보급이 활발하고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부분을 담당하도록 구성한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ud service using a set-top box, preferably an IP set-top box. 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hybrid cloud combining the concept of private cloud with public cloud services to improve security, storage scalability, data management, etc. It is to provid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technology that is configured to take charge of private cloud part by using set-top box that is widely distributed in homes and connected by operator and net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설 클라우드의 선택을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사용자 단말의 사설 클라우드에 대응하는 셋톱박스를 식별하는 단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그 식별된 셋톱박스의 파워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VPN수단(13b-4)이 사용자 단말과 셋톱박스 간에 VPN을 설정하는 단계; 그 설정된 VPN을 통해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읽기수단(13b-1)과 쓰기수단(13b-2)이 셋톱박스의 STB 저장부로 사설 클라우드에 따른 데이터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executing a cloud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 selection of a private cloud on a cloud application; Identifying, by the private cloud means 13b of the user terminal, a set top box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loud of the user terminal; Confirming, by the private cloud means 13b, the power-on state of the identified set top box; Establishing, by the VPN means 13b-4 of the private cloud means 13b, a VP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 top box; A reading means (13b-1) and a writing means (13b-2) of the private cloud means (13b) to the STB storage unit of the set-top box through the set VPN to read / write data according to the private cloud; including It is comp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공공 클라우드의 선택을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공공 클라우드 DB로 공공 클라우드에 따른 데이터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초기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파워온 상태로 확인된 셋톱박스에 대해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the selection of the public cloud on the cloud application; The public cloud means 13a of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loud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read / write according to the public cloud to the public cloud DB;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initial login while running the cloud application; The private cloud means 13b may perform a private cloud login for the set-top box which is confirmed to be in a power-on state.
이때, 본 발명에서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셋톱박스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오퍼레이터 시스템으로 위 식별된 셋톱박스의 파워온 상태 확인을 요청하고 외부 오퍼레이터 시스템으로부터 파워온 상태확인 결과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hecking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te cloud means (13b) requests the power-on state of the set-top box identified above as the external operator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service to the set-top box and the power from the external operator system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on status check result.
이때, 본 발명에서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위 식별된 셋톱박스의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전원상태 식별 결과,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ALERT 명령을 통해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전원상태 식별 결과,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WOL 명령을 통해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서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위 식별된 셋톱박스의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전원상태 식별 결과,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ALERT 명령을 통해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전원상태 식별 결과,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사설 클라우드에 대한 실패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checking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power state of the identified set-top box; Setting the set-top box to the power-on state through an ALERT command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wer state,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power-off state, setting the set-top box to the power-on state through a WOL command may be configured. In another embodiment,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check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dentifying a power state of the set-top box identified above; Setting the set-top box to the power-on state through an ALERT command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power-off state, setting a failure for the private cloud may be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의 구현 방식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implement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데이터는 공공 클라우드로 처리하고 주요 데이터는 사설 클라우드로 처리하는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되 개인 가정에 보급이 활발하고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활용하여 사설 클라우드를 담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반 개인들도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일반 개인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나 개인 사용자(가입자) 모두 별달리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ybrid cloud service is constructed in which general data is processed in a public cloud and main data is in a private cloud, but a private cloud is used to take charge of a private cloud by utilizing a set-top box that is widely distributed in a private home and is connected to an operator network. By compo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ordinary individuals can conveniently use the mixed cloud service. In particular, in providing the cloud service to the general individual, both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individual user (subscriber) have the advantage that the cost does not increase.
[도 1]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에 의한 특장점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cloud service.
2 is a diagram showing an entire system in which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a user terminal suitable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advantages of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STB)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셋톱박스(30)를 기반으로 사설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특히 이렇게 구축된 사설 클라우드를 기존의 공공 클라우드와 결합하여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in which a set-top box (STB) -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urpose of building a private cloud based on the set-top box 30, and in particular, by combining the built-in private cloud with the existing public cloud to form a hybrid cloud (hybrid cloud) more useful to the user It can be utilized.
본 명세서에서 '셋톱박스'는 케이블 셋톱박스, 위성 셋톱박스, IP 셋톱박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는 좀더 넓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은 셋톱박스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결합으로 모델링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의 셋톱박스에 대응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외부의 오퍼레이터 시스템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특정의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널리 셋톱박스라고 부른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et top box' is not limited to a cable set top box, a satellite set top box, or an IP set top box,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broader concept. For example, a digital television can be modeled by a combination of a set top box and a display panel and thus corresponds to the set top box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vi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operator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provide a specific multimedia related service is widely referred to as a set-top box.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통신망(20), 셋톱박스(30), VPN(40), 클라우드 서버(50), 멀티미디어 서비스망(60)을 포함한다. 셋톱박스(30)는 사설 클라우드를 위한 STB 저장부(31)를 구비하고, 클라우드 서버(50)는 공공 클라우드를 위한 공공 클라우드 DB(51)를 구비한다.2, the entire system in which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s a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컴퓨터, 개인용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의 유무선 단말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0)은 공공 클라우드를 활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통신망(20)에 연결되어 있다. The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설 클라우드를 활용하기 위해서 셋톱박스(30)와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과 셋톱박스(30) 간의 물리적 접속은 이동통신망, 유선랜, 무선랜, 디지털 케이블 데이터 통신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0)과 셋톱박스(30) 양단의 소프트웨어적 처리를 통해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 40)을 구축하여 보안성을 담보한다.In addition, the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기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동통신망(3G, 4G, LTE)이나 인터넷 망, 유무선 랜을 포함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수단이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20)은 사용자 단말(10), 셋톱박스(30), 클라우드 서버(5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에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large-capacity, long-range voice / data service backbone network, a variety of network means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 4G, LTE), the Internet, wired or wireless LAN Can b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serves to mutually transfer data between the
셋톱박스(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장치에 대응하지만 IP 셋톱박스나 스마트 박스의 형태로 구성된다. 셋톱박스(30)는 외부의 오퍼레이터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예: 디지털 방송서비스, VOD 서비스,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망(60)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통신망(20)에 접속한다. The set top box 30 corresponds to various devices as described above, bu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P set top box or a smart box. The set-top box 30 is connected to the multimedia service network 60 so as to receive multimedia related services (e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VOD service, video search service) from an external operator system (not shown), and through this, a communication network. (20).
이때, 셋톱박스(30)가 사설 클라우드를 구현하기 위해 활용하는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위해 활용하는 네트워크와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이들을 묶어서 본 명세서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망(60)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는 동축케이블, 위성, 지상파 등으로 이용하면서 사설 클라우드는 무선랜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etwork utilized by the set-top box 30 to implement a private cloud does not have to be exactly the same as the network utilized for multimedia-related services, and the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ultimedia service network 60. For example, while multimedia-related services are used for coaxial cable, satellite, and terrestrial waves, private clouds can be implemented through WLAN.
또한, 셋톱박스(30)는 대용량 저장장치로서 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진 STB 저장부(31)를 구비한다. STB 저장부(31)는 하드디스크를 내장한 구성 뿐만 아니라 컨넥터를 통해 외부의 하드디스크 장치와 연결한 구성도 포함한다. 셋톱박스(30)은 하드디스크의 저장공간을 활용하여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일종의 사설 클라우드 서버로서 기능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중요 데이터 파일은 사설 클라우드에 대응하는 STB 저장부(31)에 저장하는데, 저장장치를 대용량으로 교체하거나 확장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top box 30 includes a
한편, 본 명세서에서 DB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한다. DB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DB는 링크드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B means a functional structural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for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atabase. The DB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tables,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n addition, the DB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linked-list, tree, relational database, and includes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단말(10)의 내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mponent of a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송수신부(11), 제어부(12),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 단말 저장부(14), 입출력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과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을 구비하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읽기수단(13b-1), 쓰기수단(13b-2), 로깅수단(13b-3), VPN수단(13b-4)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이하에서는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of the hybrid cloud module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ntire system in which the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50)에 액세스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출력부(15)로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50)로의 초기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다.The public cloud means 13a controls the transmitter /
클라우드 서비스의 초기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의 입출력부(15)에는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메뉴가 표시된다.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은 메인 메뉴에서 사용자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하면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클라우드 서버(50) 간에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다.When the initial login of the cloud service is completed, the main menu of the cloud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input /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은 위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공 클라우드 DB(51) 상에서 특정 저장경로에 대한 데이터 읽기 조작, 그리고 단말 저장부(14)의 데이터를 공공 클라우드 DB(51)의 특정 경로에 쓰기 조작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다.The public cloud means 13a reads data on a specific storage path on the public cloud DB 51 and transmits data from the terminal storage unit 14 to the public cloud DB 51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connected data session. The transmitter /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메인 메뉴에서 사용자가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응되는 항목(예: 개인디스크)을 선택하면 통신망(20)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망(60)을 통해 셋톱박스(30)로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다.The private cloud means 13b is a private cloud service to the set-top box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he multimedia service network 60 when the user selects an item (eg, a personal disk)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loud service in the main menu. The
한편,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매칭되는 셋톱박스(30)가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셋톱박스(30)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리모트 파워온 조작, 예컨대 WOL(Wake ON LAN)을 통해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30)는 외부 오퍼레이터가 관리하므로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외부 오퍼레이터의 시스템으로 셋톱박스(30)의 전원 확인을 요청하고, 외부 오퍼레이터의 시스템이 셋톱박스(30)의 전원상태를 확인한 후 필요하다면 WOL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설 클라우드를 위한 셋톱박스(30)에 대한 제어동작은 외부 오퍼레이터를 매개하여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수행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cloud means 13b is set so that the set-top box 30 matching the
사설 클라우드는 그 목적상 개인정보나 비밀 데이터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추가적인 인증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로깅수단(13b-3)은 셋톱박스(30) 접속을 위한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한다. 추가적인 인증으로는 ID/PW가 일반적인데, 사용자가 외부 오퍼레이터로부터 셋톱박스(30)를 임대하면서 설정한 가입자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인증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공인인증서, OTP(One Time Password), 단말인증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Private clouds are likely to contain personal or confidential data for that purpose, so it is desirable to have additional authentication procedures. Accordingly, the logging means 13b-3 of the private cloud means 13b perform additional authentication for accessing the set top box 30. As an additional authentication, ID / PW is common, and it is preferable to set up additional authentication based on subscriber information set while the user rents the set-top box 30 from an external operator. Alternatively, a method such as a public certificate, OTP (One Time Password), or terminal authentication may be used.
또한,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데이터 보안을 위해 VPN(40)으로 사용자 단말(10)과 셋톱박스(30) 간의 보안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VPN수단(13b-4)는 VPN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VPN 터널링(tunneling)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보안성이 보장되는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인 VPN(40)을 구축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이나 셋톱박스(30)가 VPN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하여 VPN 터널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ivate cloud means 13b forms a secure channel between the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사용자의 메뉴 조작을 통해 데이터 읽기가 요청되면 읽기수단(13b-1)을 웨이크업하고 데이터 쓰기가 요청되면 쓰기수단(13b-2)을 웨이크업한다. 읽기수단(13b-1)은 STB 저장부(31)를 액세스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STB 저장부(31)의 데이터에 대한 읽기를 수행한다. 쓰기수단(13b-2)은 STB 저장부(31)를 액세스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단말 저장부(14)의 데이터를 STB 저장부(31)에 쓰기를 수행한다.The private cloud means 13b wakes up the reading means 13b-1 if data reading is requested through a user's menu operation, and wakes up the writing means 13b-2 if data writing is requested. The reading means 13b-1 access the
이처럼 셋톱박스(30)를 기반으로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버(50)를 통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에 함께 제공됨으로써 혼합형 클라우드 서비스가 구현되며, 이를 통해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면서 그 아쉬운 점(보안성, 저장용량의 부족)만을 사설 클라우드를 통해 해결한다.As such, the private cloud service is provided to the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측면에서 보안성은 향상되고 셋톱박스(30)에 내장되거나 부착되는 하드디스크를 통해 저장용량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수행되던 NAS(Network Access Server) 대비 사용하기 편리하고 시스템 구축과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낮아진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can be improved in terms of the user, and the storage capacity can be freely expanded through the hard disk built in or attached to the set top box 30. This is easier to use compared to the existing network access server (NAS) and lowers the cost of building and maintaining the system.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자 측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보안의 책임을 사용자에게 일부 분산시키며 전체적인 저장소의 분산으로 데이터 센터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특장점을 정리하면 [도 5] 및 [도 6]과 같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the cloud service operator, the responsibility of data security may be partially distributed to users, and the load of the data center may be reduced by distributing the overall storage. Summarizing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5] and [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를 통해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초기 로그인을 수행한다(S1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단계(S11) 이후,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은 사용자의 메뉴조작으로부터 사용자의 메뉴선택을 식별한다(S12). 예를 들어,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은 메뉴를 통해 여러 저장공간(예: DAUM CLOUD, MY CLOUD)을 메뉴항목으로 제시하고 이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저장공간을 선택하면 이를 식별한다.After step S11, the hybrid cloud module 13 identifies the user's menu selection from the user's menu operation (S12). For example, a cloud application presents several storage spaces (eg DAUM CLOUD, MY CLOUD) as menu items through a menu, and identifies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storage space.
단계(S12) 이후,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은 사용자가 사설 클라우드를 선택하였는지 공공 클라우드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한다(S13). 위의 예에서 사용자가 DAUM CLOUD 메뉴를 선택하면 공공 클라우드를 선택한 것이고, 반대로 MY CLOUD 메뉴를 선택하면 사설 클라우드를 선택한 것이다.After step S12, the hybrid cloud module 1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a private cloud or a public cloud (S13).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DAUM CLOUD menu, the public cloud is selected. On the contrary, when the MY CLOUD menu is selected, the private cloud is selected.
단계(S13)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공공 클라우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이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50)를 접속하여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S14).When the user selects the public clou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 the public cloud means 13a accesses the
단계(S13)의 판단 결과 사설 클라우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의 사설 클라우드에 대응하는 셋톱박스(30)를 식별한다(S15). 즉, 멀티미디어 서비스망(60)에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가입자에게 지급된 다양한 종류의 다수의 셋톱박스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이들 중에서 현재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13)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에 대응하는 셋톱박스(30)를 식별한다. 이는 셋톱박스(30)를 구매하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가입할 때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그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단말(10)에서 활용함으로써 셋톱박스(30)를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private cloud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 the set-top box 30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loud of the
단계(S15) 이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그 식별된 셋톱박스(30)가 현재 파워온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고(S16), 만일 파워오프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다면 리모트 파워온 조작, 예컨대 WOL 또는 ALERT 명령을 통해 파워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17). 구현 예에 따라서는 셋톱박스(30)가 스탠바이 상태일 때에는 ALERT 명령을 통해 파워온 모드로 설정하여 사설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셋톱박스(30)가 파워오프 상태일 때에는 사설 클라우드가 불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After step S15, the private cloud means 13b identifies whether the identified set-top box 30 is currently in a power-on state (S16), and if it is in a power-off state or standby state, a remote power-on operation, for example Control to be in the power-on state through the WOL or ALERT command (S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t-top box 30 is in a standby state, the private cloud is provided by setting the power-on mode through an ALERT command, and when the set-top box 30 is in the power-off state, the private cloud is impossible to implement. You can also strengthen the castle.
단계(S17) 이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로깅수단(13b-3)을 통해 당해 셋톱박스(30)에 대해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 동작을 수행한다(S18).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이 처음 기동할 때 초기 로그인을 수행하였으나(S11), 사설 클라우드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의 중요도를 감안하여 사설 클라우드를 위한 별도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step S17, the private cloud means 13b performs a private cloud login operation on the set top box 30 through the logging means 13b-3 (S18). Although the initial login is performed when the cloud application is first started (S11),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d through the private clou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separate login for the private cloud.
다만, 본 발명에서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 단계(S18)는 선택적 사항이며, 또한 그 실행순서는 [도 4]의 순서도에 비해 좀더 앞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 식별단계(S15) 이전에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 단계(S18)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vate cloud login step S18 is optional, and the execution order may be performed earlier than in the flowchart of FIG. 4.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o perform the private cloud login step (S18) before the set-top box identification step (S15).
그리고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 동작은 로깅수단(13b-3)이 셋톱박스(30)에 대해 수행할 수도 있고 외부 오퍼레이터 시스템(미도시)에 대해 수행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50)에 대해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 구현 예는 클라우드 서버(50)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담당할 뿐만 아니라 사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담당하는 것이다.The private cloud logi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logging unit 13b-3 on the set top box 30, on an external operator system (not shown), or on the
단계(S18) 이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VPN수단(13b-4)을 통해 VPN 터널링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과 셋톱박스(30) 간에 보안이 강화된 가상사설망인 VPN(40)을 설정한다(S19).After step S18, the private cloud means 13b performs VPN tunneling through the VPN means 13b-4 to make the VPN 40 a virtual private network with enhanced security between the
단계(S19) 이후,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은 읽기수단(13b-1)과 쓰기수단(13b-2)을 통해 셋톱박스(30)의 STB 저장부(31)로 사설 클라우드에 따른 데이터 읽기/쓰기를 수행한다(S20).After step S19, the private cloud means 13b reads data from the
이상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은 공공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를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가정에 설치된 셋톱박스(30)를 활용하여 사설 클라우드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셋톱박스(30)를 통해 사설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사항이다. 다만, 이렇게 구축된 사설 클라우드를 기존의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예: ucloud, daum cloud, icloud, T cloud 등)와 결합하여 혼합형 클라우드를 구축한다면 데이터 관리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사용자 단말
11: 송수신부
12: 제어부
13: 혼합형 클라우드 모듈
13a: 공공 클라우드 수단
13b: 사설 클라우드 수단
13b-1: 읽기수단
13b-2: 쓰기수단
13b-3: 로깅수단
13b-4: VPN수단
14: 단말 저장부
15: 입출력부
20: 가상사설망(VPN)
30: 셋톱박스(STB)
31: STB 저장부
40: 통신망
50: 클라우드 서버
51: 공공 클라우드 DB
60: 멀티미디어 서비스망10: User terminal
11: Transmitting /
12:
13: Hybrid cloud module
13a: Public cloud means
13b: Private cloud means
13b-1: Reading Means
13b-2: Writing Means
13b-3: Logging Means
13b-4: VPN means
14: terminal storage unit
15: Input /
20: Virtual private network (VPN)
30: set top box (STB)
31: STB storage
40: network
50: cloud server
51: public cloud DB
60: multimedia service network
Claims (7)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설 클라우드의 선택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설 클라우드에 대응하는 셋톱박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상기 식별된 셋톱박스의 파워온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VPN수단(13b-4)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 간에 VP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VPN을 통해 상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의 읽기수단(13b-1)과 쓰기수단(13b-2)이 상기 셋톱박스의 STB 저장부로 사설 클라우드에 따른 데이터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Executing, by the user terminal, a cloud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 selection of a private cloud on the cloud application;
Identifying, by the private cloud means (13b) of the user terminal, a set top box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loud of the user terminal;
Confirming, by the private cloud means (13b), the power-on state of the identified set top box;
A VPN means (13b-4) of the private cloud means (13b) establishing a VP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t top box;
Reading data (13b-1) and writing means (13b-2) of the private cloud means (13b) to the STB storage unit of the set-top box through the set VPN to read / write data according to the private cloud;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공공 클라우드의 선택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공공 클라우드 수단(13a)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하여 공공 클라우드 DB로 공공 클라우드에 따른 데이터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 selection of a public cloud on the cloud application;
Public cloud means (13a)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cloud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read / write according to the public cloud to the public cloud DB;
Set 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초기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상기 파워온 상태로 확인된 셋톱박스에 대해 사설 클라우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Performing an initial login by the user terminal while executing the cloud application;
The private cloud means (13b) performing a private cloud login for the set-top box identified as the power-on state;
Set 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상기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사설 클라우드 수단(13b)이 상기 셋톱박스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오퍼레이터 시스템으로 상기 식별된 셋톱박스의 파워온 상태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오퍼레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파워온 상태확인 결과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checking step may include requesting the private cloud means 13b to check the power-on state of the identified set-top box to an external operator system that provides a multimedia service to the set-top box and the power from the external operator system.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n-state check result is provided.
상기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식별된 셋톱박스의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 식별 결과, 상기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ALERT 명령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 식별 결과, 상기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WOL 명령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Checking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Identifying a power state of the identified set top box;
Setting the set-top box to a power-on state through an ALERT command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Setting the set-top box to a power-on state through a WOL command when the set-top box is in a power-off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셋톱박스 파워온 상태 확인 단계는,
상기 식별된 셋톱박스의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 식별 결과, 상기 셋톱박스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ALERT 명령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를 파워온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 식별 결과, 상기 셋톱박스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사설 클라우드에 대한 실패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Checking the set-top box power-on state,
Identifying a power state of the identified set top box;
Setting the set-top box to a power-on state through an ALERT command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Setting a failure for the private cloud when the set-top box is in a power-off state as a result of the power state identification;
Set-top box-based cloud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4826A KR101325025B1 (en) | 2012-11-06 | 2012-11-06 |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 PCT/KR2013/003374 WO2014073760A1 (en) | 2012-11-06 | 2013-04-22 | Set-top box based cloud servic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24826A KR101325025B1 (en) | 2012-11-06 | 2012-11-06 |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25025B1 true KR101325025B1 (en) | 2013-11-04 |
Family
ID=4985666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24826A Active KR101325025B1 (en) | 2012-11-06 | 2012-11-06 |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25025B1 (en) |
| WO (1) | WO2014073760A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03933B1 (en) * | 2015-09-04 | 2017-02-08 | 주식회사 바다정보시스템 |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cloud service |
| KR20200013310A (en) | 2018-07-30 | 2020-02-07 |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 Apparatus for play control of contents doublr stream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279468A (en) * | 2015-07-08 | 2016-01-27 | 深圳市美贝壳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set top box by mobile terminal, based on private cloud technology |
| CN112714341B (en) * | 2019-10-25 | 2023-11-2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cloud set top box system, entity set top box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192798A1 (en) * | 2005-12-30 | 2007-08-16 | Barrett Morgan | Digital content delivery vi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incorporating secured set-top devices |
| KR20120097749A (en) * | 2011-02-25 | 2012-09-05 | 주식회사 팬택 | Method of providing a cloud service and terminal using the cloud service |
| KR20120113106A (en) * | 2011-04-04 | 2012-10-12 | (주) 휴니트네트웍스 | Terminal unit for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ng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63164A (en) * | 2005-12-14 | 2007-06-1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ontent Sharing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
| KR101626117B1 (en) * | 2009-06-22 | 2016-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ient, brokerage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storage |
| US9063789B2 (en) * | 2011-02-08 | 2015-06-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Hybrid cloud integrator plug-in components |
-
2012
- 2012-11-06 KR KR1020120124826A patent/KR101325025B1/en active Active
-
2013
- 2013-04-22 WO PCT/KR2013/003374 patent/WO201407376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192798A1 (en) * | 2005-12-30 | 2007-08-16 | Barrett Morgan | Digital content delivery vi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incorporating secured set-top devices |
| KR20120097749A (en) * | 2011-02-25 | 2012-09-05 | 주식회사 팬택 | Method of providing a cloud service and terminal using the cloud service |
| KR20120113106A (en) * | 2011-04-04 | 2012-10-12 | (주) 휴니트네트웍스 | Terminal unit for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ng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03933B1 (en) * | 2015-09-04 | 2017-02-08 | 주식회사 바다정보시스템 |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cloud service |
| KR20200013310A (en) | 2018-07-30 | 2020-02-07 |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 Apparatus for play control of contents doublr stream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073760A1 (en) | 2014-05-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047443B2 (en) | Data fed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ity storage service in cloud computing | |
| US10084790B2 (en) | Peer to peer enterprise file sharing | |
| US20130347025A1 (en) | Providing remote access via a mobile device to content subject to a subscription | |
| CN107784221B (en) | Authority control method, service providing method, device,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 CN101083537A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alizing device management | |
| US9584508B2 (en) | Peer to peer enterprise file sharing | |
| CN105550595A (en) | Private data access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communication equipment | |
| WO2016202200A1 (en) |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mart television system | |
| KR101325025B1 (en) | Method of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set-top box,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
| JP607449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information access control and digital home multimedia system | |
| CN105893580A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electronic diary by using WeChat platform | |
| CN104703183A (en) | Special line APN (Access Point Name) security-enhanced access method and device | |
| KR101278926B1 (en) | Social verification login system being possible to verify user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
| US20180198675A1 (en) | Techniques for accessing logical networks via a virtualized gateway | |
| CN102932443A (en) | HDFS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cluster based distributed cloud storage system | |
| CN108833500B (en) | Service calling method, service providing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erver | |
| CN104158857B (en) | A kind of apparatus and method that the service of networking operating system is provided | |
| CN105871851B (en) | Based on SaaS identity identifying method | |
| KR101116230B1 (en) |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the same | |
| WO2019052153A1 (en) | Data access method and system | |
| WO2024212724A1 (en) |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platform,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 CN106331775B (en) | Equipment connection method, device and intelligent television system | |
| CN103384232A (en) |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 |
| CN205829695U (en) | A kind of new purview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network storage equipment | |
| US20160112874A1 (en) | Secure element operating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