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81B1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Google Patents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081B1 KR101231081B1 KR1020110081327A KR20110081327A KR101231081B1 KR 101231081 B1 KR101231081 B1 KR 101231081B1 KR 1020110081327 A KR1020110081327 A KR 1020110081327A KR 20110081327 A KR20110081327 A KR 20110081327A KR 101231081 B1 KR101231081 B1 KR 101231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desk
- plate
- locking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10—Devices for holding pupils upright, i.e. body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6—Holders or supports for guiding copy-books, slate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 다리(114)가 있고, 책상 상판(110)의 하부나 다리의 측면부재에 가슴받이(300)와 팔걸이부(300a)(300b)를 형성한 가슴받이부(500)가 부착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며, 책상 상판(110)의 하부 양측에 제1고정파이프(135)가 형성되어 좌우측으로 분리된 "ㄱ"자 형상의 지지대(130) 일측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부에 제2고정파이프(140,150)가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지지대(130) 타측을 제2고정파이프(140,15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의 가슴받이부(500)의 부착수단은 지지대(130)와 제1고정파이프(135)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130)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이 마련되고, 이 지지대걸림홈(130c) 내측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지지대걸림홈(130c) 일측에 용접고정(130a)되고 일측이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0b)이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파이프(135)에는 걸림판(130b)에 대응되는 걸림홈(135a)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판(130b)이 걸림홈(135a)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g 114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top plate 110, the lower part of the desk top plate 110 or the side members of the leg formed with the armrest 300 and armrests (300a) (300b) Breastplate 500 is formed by the attachment means, the first fixing pipe 13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desk top plate 110 to insert one side of the "130" shaped support 130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t is to be fixed, the second fixing pipe (140,15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eastplate 500 to fit the other side of the "b" shaped support 130 by fitting to the second fixing pipe (140,15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At this time, the attachment means of the breast plate 5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top plate 110 is formed by separating the support 130 and the first fixed pipe 135, the support 130 in the support catching groove (130c) Is provided,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inside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 a "b" shape inclined toward one side from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welding fixing (130a) on one side and one side is A free end locking plate 130b is formed, and the first fixing pipe 135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135a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late 130b, and the locking plate 130b is a locking groove ( 135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not escape as comb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 가슴을 기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가슴받이를 책상 앞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받쳐 줄 수 있고, 팔꿈치를 올여 놓으면서 업무를 할 수 있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된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structure for the desk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the front of the desk having a function to lean on the chest while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in front of the desk,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hrough the user's che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fastening structure for a desk, which is able to lean and lean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with an elbow raised.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자는 사람이 앉아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일상에서 매우 필요한 가구로써, 특히,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오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As is well known, a chair is a furniture that is very necessary in daily life where a person sits and performs a necessary task. In particular, a student or an office worker who works in an office frequently sits on a chair for a long time of the day.
따라서, 공부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 생활에서 사무를 보는 직장인들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사람들에게는 편안하고 안락하면서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체공학적 의자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need for an ergonomic chair designed to maintain a comfortable, comfortable and correct posture will be desperate for those who are sitting in chairs for a long time, such as studying students or office workers working in the office.
그런데, 통상 의자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무엇인가에 집중할 때에는 상체가 약간 앞쪽으로 쏠린 상태로 앉게 되는 경우가 많다.However, in using a chair in general, users often sit on the chair or sit with their upper body slightly forward when focusing on something.
이렇게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모든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 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If the upper body is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forward for a long time, all the loads are concentrated on the waist, making it easy to feel tired, and the posture is incorrect, causing scoliosis and the like.
알다시피 종래 대부분의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을 받치는 다리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를 통해 사용자의 등과 허리 부위를 뒤쪽에서 지지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는 지지가 불가능하였다.As you know, most conventional chairs are composed of a seat plate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 leg supporting the seat plate, and a backrest supporting the user's waist. It could only be supported at, but could not be supported when the user was pointing forwar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사용자들이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 중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가 많고, 이러한 자세가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경우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앞으로 쏠린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many of the postures of the actual users sitting on the chairs have their upper body tilted forward, and if such a posture lasts for a long time, the body is adversely affecte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이에 종래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가 연구 개발되어 제시된 바 있다. 즉, 종래에도 의자용 가슴받이를 형성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regard, a chai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breastrest has been researched and presented. That is, the technique which formed the chair breastrest conventionally has been developed, and the various forms of technique are disclosed.
그 중에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Among them, a chair having a breastrest as shown in FIG. 1 has been disclos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10)를 갖춘 의자는, 의자다리(11)의 상부에 좌판(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앞부분에 가슴받이지지대(13)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팔꿈치지지부(14)가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15)가 산등성이 형상으로 형성된 가슴받이(10)를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좌판(12)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될 때, 사용자의 앞 가슴부분을 받쳐주어 편안하게 허리를 곧게 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chair having a
이때, 상기 좌판(12)이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의 측부에 가슴받이지지대(13)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구성은 의자에 한하여 사람의 가슴을 대고, 편하게 업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의자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시에는 사용이 불편하고, 의자 수용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오랜시간 가슴받이(10)에 기댄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가슴받이(10)에 기대는 자세(그에 따른 가슴받이에 작용하는 하중이 달라짐)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가슴받이(10)는 설정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한정된 의자의 좌판에 움질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ork comfortably with a human chest on the chair, but since it is integrated with the chair, it is inconvenient to use when moving, and occupies a lot of space for receiving a chair. Even if the posture (the load acting on the breastplate is changed) is different,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용 가슴받이를 개선하여, 가슴받이를 책상앞에 설치함으로서, 의자가 가지고 있는 공간의 차지를 해소하고,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책상용 가슴받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hairs for the chair, by installing the chest in front of the desk, eliminat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ir, can freely use the free space that can be moved by the desk To provide.
본 발명은 통상의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 다리(114)가 있고, 책상 상판(110)의 하부나 다리의 측면부재에 가슴받이(300)와 팔걸이부(300a)(300b)를 형성한 가슴받이부(500)가 책상전면 하부에 부착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본 발명은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 가슴받이부(500)의 부착하기 위해서 지지대(130)와 제1고정파이프(135)로 분리 형성하되, 제1고정파이프(135)는 책상 상판(110)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130)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이 마련되고, 이 지지대걸림홈(130c) 내측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지지대걸림홈(130c) 일측에 용접고정(130a)되고 일측이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0b)이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파이프(135)에는 걸림판(130b)에 대응되는 걸림홈(135a)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판(130b)이 걸림홈(135a)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eparating the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의 중앙부에 제2고정파이프(140)가 볼트(140b)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파이프(140)의 양측으로 지지대(130)가 끼워져 볼트(145a)(145b)에 의하여 고정됨에 따라 가슴받이부(500)와 지지대(1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에 제2고정파이프(140)가 볼트(140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파이프(140)의 양측에는 걸림홈(1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30)의 일측단에는 지지대걸림홈(131c)이 마련되어 있고, 이 지지대걸림홈(131c) 내측에는 지지대걸림홈(131c)에서 양쪽으로 경사지게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지지대걸림홈(131c) 일측에 용접고정(131a)되고 일측이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1b)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판(131b)이 걸림홈(140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는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 내부 저면에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130)는 하판(100)의 양측 하판내부끼움공(100a)(100b)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제2고정파이프(150)와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에는 지지대(1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대(130)가 끼워질 경우에 회동의 위치를 조정하는 끼움공(151)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130)의 단부에는 끼움공(151)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는 탄성돌출볼(1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의 일측 가장자리 선단에는 지지대(130)가 끼워질 경우에 일방향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1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멈춤돌기(153)에 대향하게 지지대(130)에 돌기(135a)가 형성 구비되어, 상기 멈춤돌기(153)와 돌기(135a)의 접촉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30)에는 수용홈(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돌출볼(138)이 수용홈(136) 내에서 스프링(137)에 의해 압축 및 탄성복원 작용을 할 수 있게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돌출볼(138)의 하부에는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지지구(13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용 가슴받이를 개선하여, 가슴받이를 책상앞에 설치함으로서, 의자가 가지고 있는 공간의 차지를 해소하고, 사람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by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for the chair, by installing the chest in front of the desk, to eliminate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ir, free to use the free space that can be moved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사용자의 가슴이 가슴받이에 의해 과중한 업무시에 자연스러운 자세로 지지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안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user's chest is supported in the natural posture at the time of heavy work by the breastrest, not only the waist does not overdo it, but also maintains a comfortable posture for a long time, and the posture is correc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저면도, 측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의 지지대와 제1고정파이프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준 저면도.
도 8, 9,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준 저면도 및 지지대의 결합부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11, 12, 13은 본 발명의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동조절이 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실물 견본 사진으로서, 정면 사진, 측면 사진, 가슴받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회동된 상태를 보여 준 실물 견본 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with a brea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3, and 4 are perspective, bottom and sid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sk top plate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fixed pip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esk top plate with a che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view and a coupling portion of a support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desk top plate having a breastrest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12, and 13 is a real swatch photograph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in the state of the body is assembled to the support body, the front picture, side view, rotated when not using the body A real sample photo show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written in the drawings Terms give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도 11, 12, 13은 본 발명의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동조절이 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실물 견본 사진으로서, 정면 사진, 측면 사진, 가슴받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회동된 상태를 보여 준 실물 견본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11, 12, and 13 is a real swatch photograph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in the state of the body is assembled to the support body, the front picture, side view, rotated when not using the body It shows a real sample picture showing.
본 발명은 통상의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 다리(114)가 있고, 높이조절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있어서, 책상 상판(110)의 하부나 측면부재에 가슴받이(300)와 팔걸이부(300a)(300b)를 형성한 가슴받이부(500)(이하, 같다)를 부착 형성한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도 2,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저면도, 측면도이고, 도 5,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의 지지대와 제1고정파이프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2,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sk top plate with a wristboar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method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fixed pipe according to the breast.
상기 가슴받이부(500)에는 책상 상판(110)의 하부에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제1고정파이프(135)가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파이프(135)에 끼워 고정되는 좌우 측으로 분리된 "ㄱ"자 형상의 지지대(130)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30)와 제1고정파이프(135)의 결합은 지지대(130)의 지지대걸림홈(130c) 일측에 용접고정(130a)됨과 아울러 일측은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0b)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30)의 지지대걸림홈(130c)에서 돌출되어 제1고정파이프(135)의 걸림홈(135a)에 끼워진 후에는 빠져나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여기서, 지지대(130)와 가슴받이부(500)의 결합은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의 중앙부에 고정파이프(140)가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파이프(140)의 양측으로 지지대(130)가 끼워져 볼트(145a)(145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Here, the coupling of the
따라서, 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30)에 형성된 걸림판(130b)을 누를 경우에는 걸림판(130b)가 제1고정파이프(135)의 걸림홈(135)으로 부터 이탈되어 가슴받이부(500)가 책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Therefore, when it is to be separated, when pressing the
그리고, 상기 가슴받이부(500)와 지지대(130)의 결합 방법 중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준 저면도이다.7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esk top plate with a breastre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실시예 중 제1고정파이프(135)와 지지대(130)의 결합방법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Since the coupling method of the
다만, 가슴받이부(500)의 제2고정파이프(140)와 지지대(130)의 결합으로서, 상기 제2고정파이프(140)는 볼트(140b)에 의하여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에 결합되어 있고, 제2고정파이프(140)의 양측에는 걸림홈(1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지지대(130)의 일측단에 형성된 지지대(130)의 지지대걸림홈(131c) 일측에 용접고정(131a)됨과 아울러 일측은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1b)이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30)의 지지대걸림홈(131c)에서 돌출되어 제2고정파이프(140)의 걸림홈(140a)에 끼워진 후에는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However, as a combination of the
따라서, 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30)에 형성된 걸림판(131b)을 누르지 않아도 돌기가 양 옆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수월하게 걸림판(131b)이 제2고정파이프(140)의 걸림홈(140a)으로부터 이탈되어 가슴받이부(500)가 책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it, even if the projection is inclined to both sides even without pressing the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가슴받이부(500)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자체로만 회동되어 상부가 아래로 위치되어 하판을 상부로 하여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발명을 설명한다.Nex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즉, 도 8, 9,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책상 상판의 결합상태를 보여준 저면도 및 지지대의 결합부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제2고정파이프(140)와 제3실시예의 제2고정파이프(150)는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구조 및 배치 구성상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슴받이부(500) 쪽에 결합 구성되어 지지대(130)와 결합되는 구조 및 기능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명칭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도면부호를 달리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Figures 8, 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view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esk top plate with a brea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although the second
상기 제1, 2실시예 중 제1고정파이프(135)와 지지대(130)의 결합방법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Since the coupling method of the
다만, 가슴받이부(500)의 양측 제2고정파이프(150)와 지지대(130)의 결합으로서, 상기 고정파이프(150)는 하판(100)의 내부 저면에서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지지대(130)는 하판(100)의 양측 하판내부끼움공(100a)(100b)으로 내부로 들어와 하판내부보강리브(101)의 양측에서 제2고정파이프(15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owever, as the coupling of the
한편,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에는 지지대(1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제2고정파이프(150)의 일측 끝단 가장자리 선단에는 지지대(130)가 끼워질 경우에 회동의 위치를 조정하는 끼움공(151)과 일방향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130)의 단부에는 탄성돌출볼(138)의 수용홈(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돌출볼(138)이 수용홈(136) 내에서 스프링(137)에 의해 압축 및 탄성복원 작용을 할 수 있게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돌출볼(138)의 하부에는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지지구(1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파이프(150)의 멈춤돌기(153)에 대향하는 돌기(135a)가 지지대(130)의 외측에 형성되어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ixed
따라서, 제2고정파이프(150)에 지지대(130)가 끼워지게 되면, 돌출볼(138)이 눌리면서 전진되어 끼움공(151)으로 돌출되어 가슴받이부(500)가 고정되게 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다음, 가슴받이부(50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강제로 힘을 주게 되면, 둥근 형상인 탄성돌출볼(138)이 제2고정파이프(150)의 회동힘에 의하여 하부에 있는 스프링(137)이 눌러지게 되어 가슴받이(300)를 하부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의 멈춤돌기(153)에 대향하는 지지대(130)의 돌기(135a)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force is forced to rotate the
그리고, 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30)에 형성된 탄성돌출볼(138)을 누르지 않아도 돌기가 둥글게 경사져 있으므로 수월하게 고정파이프(150)의 끼움공(151)으로 부터 이탈되어 가슴받이부(500)가 지지대(138)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And, if you want to separate it, because the projection is rounded inclined without pressing the
또한, 가슴받이부의 책상은 기존의 책상에 가슴받이의 제1고정파이프(135)나 지지대(130)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책상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esk of the chest par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desk by installing the first fix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가슴받이부의 하판
110 : 책상 상판
130 : 지지대
135 : 제1고정파이프
140, 150 : 제2고정파이프
300 : 가슴받이
500 : 가슴받이부100: bottom of the breastplate
110: desk top
130: support
135: first fixed pipe
140, 150: second fixed pipe
300: Breastplate
500: breastplate
Claims (7)
책상 상판(110)의 하부 양측에 제1고정파이프(135)가 형성되어 좌우측으로 분리된 "ㄱ"자 형상의 지지대(130) 일측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부에 제2고정파이프(140,150)가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지지대(130) 타측을 제2고정파이프(140,15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In the desk fastening structure for the desk having a leg on the lower part of the desk top plate 110, the breastrest part 500 formed with the breastrest 300 and the armrest part 300a, 300b formed on the front of the desk,
The first fixing pipe 135 is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desk upper plate 110 so that one side of the support 130 of the "a" shape separated by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fitted and fixed, and the breastplate 500 The second fixed pipe (140,15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sk support structure for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b" shaped support 130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fixed pipe (140,150) to be coupled
상기 지지대(130)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이 마련되고, 이 지지대걸림홈(130c) 내측에는 지지대걸림홈(130c)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지지대걸림홈(130c) 일측에 용접고정(130a)되고 일측이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0b)이 형성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파이프(135)에는 걸림판(130b)에 대응되는 걸림홈(135a)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판(130b)이 걸림홈(135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locking groove 130c,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inside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inclined toward one side from the support locking groove (130c)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shape of the "b" 130c) A welding fixing 130a is formed at one side and a locking plate 130b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ee end, and the locking groove 135a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late 130b is provided at the first fixing pipe 135. And the locking plate 130b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135a and coupled to the chest support structure for the desk.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의 중앙부에 제2고정파이프(140)가 볼트(140b)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파이프(140)의 양측으로 지지대(130)가 끼워져 볼트(145a)(145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xing pipe 140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100 of the breast plate 500 by bolts 140b, and the support 130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ipe 140 to be bolted. Desk fastening structure for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145a) (145b)
상기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에 제2고정파이프(140)가 볼트(140b)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파이프(140)의 양측에는 걸림홈(1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30)의 일측단에는 지지대걸림홈(131c)이 마련되어 있고, 이 지지대걸림홈(131c) 내측에는 지지대걸림홈(131c)에서 양쪽으로 경사지게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지지대걸림홈(131c) 일측에 용접고정(131a)되고 일측이 자유단으로 된 걸림판(131b)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판(131b)이 걸림홈(140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fixing pipe 140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100 of the breastplate part 500 by bolts 140b, and locking grooves 140a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ipe 140. And, one side end of the support 1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engaging groove (131c), the support engaging hook (131c) inside the support catching groove 131c so as to have a structure projecting in a protrusion shape inclined to both sides in the support catching groove (131c). One side of the groove 131c is provided with a welding plate 131a and one sid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131b having a free end, and the locking plate 131b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40a to be coupled to the desk supporter. Fastening structure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는 가슴받이부(500)의 하판(100) 내부 저면에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130)는 하판(100)의 양측 하판내부끼움공(100a)(100b)을 통해 내부로 들어와 제2고정파이프(150)와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에는 지지대(1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대(130)가 끼워질 경우에 회동의 위치를 조정하는 끼움공(151)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130)의 단부에는 끼움공(151)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는 탄성돌출볼(1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xing pipe 150 is fixed by a bolt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00 of the breastplate part 500, and the support 130 is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late 100 in the lower plate fitting holes (100a) (100b) When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pipe 15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pipe 150, the end of the support 130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fitted and the support 130 is fitted The fitting hole 151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is formed, the desk suppor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130 is an elastic protrusion ball 138 is fitted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hole 151 Fastening structure
상기 제2고정파이프(150)의 일측 가장자리 선단에는 지지대(130)가 끼워질 경우에 일방향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1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멈춤돌기(153)에 대향하게 지지대(130)에 돌기(135a)가 형성 구비되어, 상기 멈춤돌기(153)와 돌기(135a)의 접촉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5,
At one end of the second fixing pipe 150, a stop protrusion 153 is formed to limit rotation in one direction when the support 130 is fitted, and the support 130 is opposed to the stop protrusion 153. ) Projections 135a are formed on the desk, and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desk support for desk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n one direction is limited by the contact of the stop projections 153 and the projections 135a.
상기 지지대(130)에는 수용홈(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돌출볼(138)이 수용홈(136) 내에서 스프링(137)에 의해 압축 및 탄성복원 작용을 할 수 있게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돌출볼(138)의 하부에는 스프링(137)을 고정하는 지지구(13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n accommodating groove 136 is formed in the support 130, and the elastic protrusion ball 138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136 so as to be compressed and elastically restored by the spring 137.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ball 138, support for fastening the chest for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139 is formed to fix the spring 137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1327A KR101231081B1 (en) | 2011-08-16 | 2011-08-16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1327A KR101231081B1 (en) | 2011-08-16 | 2011-08-16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1081B1 true KR101231081B1 (en) | 2013-02-07 |
Family
ID=4789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13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1081B1 (en) | 2011-08-16 | 2011-08-16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10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3190B1 (en) | 2015-02-12 | 2016-05-23 | 덕양산업 (주) | Insert combination type cowl cross ba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3338A (en) | 2007-01-31 | 2008-08-14 | Itoki Corp | Body support for tables |
-
2011
- 2011-08-16 KR KR1020110081327A patent/KR1012310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83338A (en) | 2007-01-31 | 2008-08-14 | Itoki Corp | Body support for tabl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3190B1 (en) | 2015-02-12 | 2016-05-23 | 덕양산업 (주) | Insert combination type cowl cross b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6733B1 (en) | Chair lumbar support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adjustment | |
KR101928964B1 (en)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
GB1603356A (en) | Chairs | |
KR101231081B1 (en) | Conecter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desk | |
KR101077053B1 (en) |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air Chest | |
KR200469537Y1 (en) | Back of chair having lumbar support | |
EP3691497B1 (en) | Posture adaptive work chair | |
KR100459987B1 (en) | The back of chair with auxiliary support waist | |
KR102513256B1 (en) | A Tilting Assembly for a Chair Including a Forward Tilting Function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 |
JP2008229315A (en) | Leg part structure of load distributed swivel chair | |
KR101925839B1 (en) | Frame chair | |
KR102327381B1 (en) | A armrest for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 |
JP2020058764A (en) | Chair | |
KR102098953B1 (en) | Chair with twistable backrest | |
KR200298215Y1 (en) | Device for supporting upper body for desk | |
KR20120124849A (en) | Supplementary Study and Office Device Supporting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 |
KR102757337B1 (en) | A standing desk with a hip holder | |
KR101153926B1 (en) | Contracting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 |
KR20170029145A (en) | 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desk | |
TW201542137A (en) | Improved chair backrest | |
KR101495325B1 (en) | A structure to control angle of the back of chair | |
KR200371544Y1 (en) |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 |
JP2022073211A (en) | Foldable chair | |
JP6777281B2 (en) | Chair | |
KR200302692Y1 (en) | Back of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