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979498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98B1
KR100979498B1 KR20080078946A KR20080078946A KR100979498B1 KR 100979498 B1 KR100979498 B1 KR 100979498B1 KR 20080078946 A KR20080078946 A KR 20080078946A KR 20080078946 A KR20080078946 A KR 20080078946A KR 100979498 B1 KR100979498 B1 KR 10097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s
voice
data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7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245A (ko
Inventor
김경수
홍순곤
김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니드
Priority to KR2008007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98B1/ko
Priority to PCT/KR2009/004433 priority patent/WO2010018951A2/ko
Publication of KR2010002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1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하여 음성 또는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서비스 속도가 빠르고 시스템 부하가 줄어들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AR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전송 방식, 문자, 파일, ARS 서비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Voice and Non-voice ARS Service Method Using Voice Transfer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RS 서버, ARS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파일 및 문자 데이터를 음성 전송 방식으로 혼합 전송함으로써 음성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일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AR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 응답 시스템) 서비스란,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응답 내용을 기록해 두었다가 외부의 전화 질의에 대해 컴퓨터가 그 질의를 해독하고, 해당되는 응답 용어를 골라 음성으로 자동 응답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ARS 서비스는 음성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서비스 메뉴를 들은 사용자가 해당 서브 메뉴를 찾아 버튼을 눌러 가는 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는 ARS 서버, ARS 단말기, 사용 자 단말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ARS 서비스를 위해서는 먼저 ARS 서비스 센터가 사전에 청취할 내용을 미리 녹음하여 저장 시켜 놓아야 하고, 사용자가 ARS 서비스 센터의 대표 번호로 전화를 걸어 사용자 단말기와 ARS 서버가 연결되면 먼저 서비스 메뉴에 해당하는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된다.
종래의 ARS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ARS 서버 측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메뉴 단위로 정보 전달 및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음성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를 듣고,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면 원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번호를 누르고,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은 ARS 서버는 그에 해당하는 서브 메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서브 메뉴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음성 청취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ARS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만약 원하는 정보가 아닐 경우에는 전체 서비스의 처음 또는 이전 단계의 처음부터 다시 음성 청취를 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ARS 서비스 센터의 음성 안내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단계의 서비스 메뉴를 듣고 각 단계마다 버튼을 눌러 응답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ARS 서비스 정보가 음성으로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성의 내용을 주의 깊게 청취해야 하고, 필요한 정보는 기억을 했다가 그 내용을 메모장에 따로 적어서 보관을 하고, 기억을 하지 못했을 경우는 처음부터 다시 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보를 음성으로만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확인 가 능한 번호 입력을 통하여 출력하므로, 음성 정보를 들을 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청취를 하고 번호를 누를 때는 단말기를 귀에서 떼어 LCD 화면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ARS 서비스를 받는 도중에 번거롭게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RS 서비스를 받는 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신호 세기가 약해질 경우 전화가 끊어질 수 있고, ARS 서비스가 음성만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 내용을 제대로 듣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RS 서비스를 음성, 문자,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눈에 ARS 서비스 메뉴를 파악하고 시각적으로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성보다 데이터 량이 적은 문자 데이터로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ARS 서비스 음성을 손으로 받아 적는 등 ARS 정보의 내용을 기억하기 위한 수고를 덜어주고, 더 저렴하면서도 신속한 AR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데이터 규격을 그대로 사용하여, 기존의 장비를 거의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구현이 가능하고, ARS 서비스를 문자로 전송하더라도 전화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하여 음성 또는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는 오류 정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보이스 인코더를 비활성화하고 수행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응답은 상기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인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ARS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에 전송하여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ARS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응답을 상기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ARS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응답을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서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 음성 데이터는 문자 또는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동종의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인덱스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는 CDMA 음성 통신 규격에 따른 음성 데이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단말기가 18 내지 22ms마다 상기 ARS 서버에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어플리케이션은 버추얼 머신 형태인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는 전화 번호 자동 백업, 전화 번호 자동 저장, 통화 중 사진 전송, 교통 정보 제공 및 주식 정보 제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음성 또는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이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출력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이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출력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서버는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ARS 단말기와 연결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S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한 결과, 분리된 데이터가 음성이면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비활성화하는 ARS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에 사용되는 ARS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ARS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ARS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음성으로만 제공되던 ARS 서비스를 문자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음성보다 데이터 량이 적은 문자 데이터로 동일한 정보를 전송하므로 서비스 속도가 빠르고 시스템 부하가 줄어들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AR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ARS 서비스에서 제공된 문자 데이터가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내용을 메모장에 따로 손으로 받아 적을 필요가 없고, 번호를 입력하여 응답할 때에도 단말기를 귀에 붙였다 떼었다 하며 번거롭게 움직일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음성 데이터 규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ARS 서비스를 문자로 전송하더라도 전화 연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SMS(Short Messagge Service)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 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ARS 서비스는 ARS 서버(110), ARS 단말기(120, 122), 사용자 단말기(130)를 구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상의 시스템에서 제공된다.
ARS 서버(110)에는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문자, 파일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며, 그것을 음성 데이터 형태의 ARS 혼합 데이터로 처리한다. ARS 단말기(120, 122)는 ARS 서버(110)와 근거리 통신 수단(140)으로 연결되어 ARS 서버(110)와 사용자 단말기(130) 간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ARS 단말기(120, 122)로부터 받은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하여 음성, 문자, 파일 등으로 분리, 변환하는 디코딩(decoding)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문자, 파일 등을 음성 데이터 형태인 ARS 혼합 데이터로 생성하는 인코딩(encoding) 모듈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서버(110)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ARS 서버(110)는 서비스가 개시되기 전에 미리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소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헤더(header)를 각 데이터에 추가한다. 예컨대 음성 데이터에는 음성 헤더를(212), 문자 데이터에는 문자 헤더를(214), 파일 데이터에는 파일 헤더를(216) 각각 추가한다.
헤더로 특정한 값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값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음성에는 0x55, 0x55처럼 같은 숫자의 반복이, 문자에는 0x56, 0x56이, 파일에는 0x57, 0x57이 사용될 수 있다. 인코더가 잘 사용하지 않는 숫자를 연속해서 사용하면, 확률적으로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의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헤더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을 시작한 시점부터는 서비스의 호환성 때문에 헤더를 쉽게 변경 할 수 없으므로, 어떤 값을 헤더로 선택하여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것은 서비스 시작 전에 신중하고 명확하게 결정해야 한다.
헤더가 추가된 각 데이터는 이동 통신에서 사용되는 음성 데이터 규격으로 인코딩된다(220). 예컨대 CDMA 시스템의 음성 전송 방식은 20ms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량을 1프레임(frame)으로 하여 그것을 단위로 음성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데, 1프레임의 크기는 최대 172비트가 되고, 그 중 통상 4비트의 시스템 비트(system bit)를 제외하면 최대 168비트가 사용 가능한 영역이 된다. 이것은 한글 10자, 영문 21자 정도가 적재될 수 있는 크기이다. 헤더가 추가된 음성, 문자 또는 파일 데이터를 종래의 데이터 통신 방식이 아닌 음성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20ms마다 이루어지는 음성 전송의 단위 전송 크기인 172비트 중 실제 음성 데이터가 적재되는 168비트(21바이트)를 처리 단위로 삼는다. 다시 말해 ARS 서비스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규격에 맞출 수 있도록, 그 헤더를 포함하여 168비트(21바이트) 또는 그보다 작은 단위로 인코딩(220)되어야 한다.
헤더가 추가된 각 데이터가 인코딩되면(220) ARS 혼합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이는 ARS 단말기(120, 122)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된다. ARS 혼합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형식을 가지므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는 이를 음성 데이터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음성 데이터 형태로 인코딩(220)된 비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수신되고, 디코딩(230) 과정에 의해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가 판독되어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ARS 단말기(120)로부터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코딩(230) 과정에 의해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가 판독되어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각 형태의 데이터는 헤더가 제거(242, 244, 246)되며, ARS 어플리케이션 처리(250)되어 ARS 서버(110)가 미리 생성해 둔 ARS 혼합 데이터 중 적절한 응답을 ARS 단말기(120)로 출력하게 된다. 이 과정은 실시 예에 따라 ARS 서버(110)가 아닌 ARS 단말기(120, 122)에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 대상은 ARS 단말기(120, 122)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130)가 될 것이다.
ARS 혼합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는 오류 정정 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데이터 전송 구간은 인터넷처럼 자체적으로 오류 제어가 없으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몇 개의 정보가 누락 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하거나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서비스 타입에 따라 오류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단말기(120, 122)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RS 서버(110)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ARS 서버(110)에서 근거리 통신 수단(140)에 의하여 전송된 ARS 혼합 데이터는 우선 ARS 단말기(120, 122)의 내부 데이터베이스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수단(140)은 USB, 블루투스(Bluetooth), RS-232C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저장된 ARS 혼합 데이터는 헤더가 추가(212, 214, 216)되고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압축으로 인코딩(220)된 데이터이므로, 보이스 인코딩(voice encoding) 과정을 다시 거칠 필요가 없다. ARS 단말기(120, 122)는 기본 설정(default)으로 내부의 보이스 인코더(voice encoder)가 활성화(enable) 상태에 있으므로 이를 비활성화(disable)(310)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송신한다.
ARS 혼합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ARS 단말기(120, 122)의 내부 보이스 인코더에서 나오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는 일반 통화 모드가 되어 ARS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마이크로폰으로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ARS 혼합 데이터 전송 도중 ARS 서비스 제공자가 강제로 전송을 취소하고 일반 통화모드로 동작 시킬 수도 있다. ARS 단말기(120, 122)는 ARS 서버(110)로부터 서비스 시작 전에 미리 전달받은 데이터, ARS 서버에 대한 요청을 통하여 전달받은 데이터, 내부 보이스 인코더에 입력된 데이터 순서로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ARS 서버(11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30)가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 형태로 음 성 및 비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ARS 단말기(120, 122)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ARS 서버(11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인코딩(220) 및 디코딩(230) 모듈이 모두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30)에 디코딩(230) 모듈만이 내장되어 있다면, 사용자 응답은, 예를 들어, 기존 ARS 서비스의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방식을 통하여 각 버튼에 해당하는 합성 음이 음성 신호로ARS 단말기(120, 122)에 입력되므로, ARS 서버(110)에는 DTMF 수신 처리를 위한 모듈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30)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ARS 단말기(120, 122)로부터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가 수신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형태별로 디코딩(230)되어 음성, 문자, 파일 등으로 분리되어 각각 헤더가 제거된다(242, 244, 246). 음성은 기본 설정과 같이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활성화(412)하여 압축된 음원을 PCM(Pulse Code Modulation) 형태로 복원해 스피커(422)로 출력하고, 문자 및 파일은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비활성화(414)하여, 문자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424)로, 파일은 파일 시스템(426)으로 출력한다. 이 때 문자 또는 파일은 데이터 량이 클 경우 인덱스(index) 기법을 사용한다. 인덱스란 큰 데이터를 작은 프레임으로 나누어 송신할 때 이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연결된 문자 또는 파일 프레임들을 하나로 합쳐서 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여러 프레임에 걸친 대용량 메시지 또는 파일은 하나로 합쳐져서 문자는 디스플레 이부(424)로, 파일은 파일 시스템(426)으로 출력된다. 수신한 데이터는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는 언제 어디서든지 이를 재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피커(422), 디스플레이부(424), 파일 시스템(426) 등에 출력된 초기 서비스 메뉴, 서브 메뉴 등의 정보를 청각, 시각 등으로 확인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또는 서비스 종료 요청 등을 사용자 응답으로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수단으로는 마이크(432), 키패드(434), 파일 시스템(436)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형태에 따른 헤더 추가(212, 214, 216) 및 인코딩(220) 과정을 거쳐, 사용자 응답은 음성 데이터 형태의 ARS 혼합 데이터로 ARS 단말기(120)에 이동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송신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인코딩(220)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 응답은, 예를 들어, 기존 ARS 서비스의 DTMF 방식을 통하여 각 버튼의 합성 음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로 ARS 단말기(120, 122)에 송신될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ARS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로서, ARS 서버(110)가 ARS 어플리케이션(ARS application) 처리(250)를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ARS 서버(1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문자, 파일 데이터를 미리 인코딩(220)하여 음성 데이터 형태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AR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ARS 대표 번호로 전화를 건다. 착신에 성공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ARS 단말기와 호 연결이 되어(520), 음성 통신 방식으로 상호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호 연결을 감지한 ARS 단말기(120, 122)는 ARS 서버(110)에 초기 서비스 메뉴를 요청(522)하고, ARS 서버(110)는 이미 ARS 혼합 데이터 형태로 생성되어 있는 초기 서비스 메뉴를 ARS 단말기(120, 122)에 전송(524)하고, 이는 다시 사용자 단말기(130)에 전송된다(526).
사용자 단말기(130)는 수신한 ARS 혼합 데이터를 디코딩(230)하여 음성, 문자, 파일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초기 서비스 메뉴를 출력(422, 424, 426)한다. 사용자가 이 초기 서비스 메뉴에 대한 사용자 응답(430)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는 ARS 단말기(120, 122)에 전송(530)되고 다시 ARS 서버(110)에 전송(532)된다.
ARS 서버(110)는 이를 디코딩(230)하여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250)하여,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응답으로 서브 메뉴 등의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120, 122)에 전송(534)하고, 이는 다시 사용자 단말기(130)에 전송(536)된다. 이 때 ARS 단말기(120, 122)는 ARS 서버(110)에 20ms 마다 데이터를 요청하며, 시간 순으로 먼저 들어온 ARS 혼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30)가 디코딩(230)을 거친 출력(432, 434, 436) 및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430)을 입력 받고, 이를 ARS 서버(110)로 전달하여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250)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 요청을 하면, ARS 단말기(120, 122)에 서비스 종 료를 전송(540)하고 이는 다시 ARS 서버(110)로 전송(542)되며, ARS 단말기(120, 122)와 사용자 단말기(130) 사이의 호 연결은 종료(550)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ARS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로서, ARS 단말기(120, 122)가 ARS 어플리케이션 처리(250)를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ARS 단말기가 ARS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경우, ARS 서버가 생성한 ARS 혼합 데이터 및 ARS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가 시작되기 이전에 미리 ARS 단말기에 전송(510)하여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야 한다. ARS 서버 측 입장에서는 연결된 ARS단말기가 너무 많아 ARS 서버와 ARS 단말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 수단(140)을 통해 한꺼번에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개의 ARS 서버에 100개의 ARS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다면, 100명의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최대 속도가 제한되는 USB 등을 통하여 100대의 단말기에 한꺼번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다. ARS 단말기 내부에 존재하는 메모리, 예컨대 EFS(Embedded File System) 또는 TFS4(Transactional File System 4) 파일 시스템 등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미리 보내어 저장시키고,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었을 때 이러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먼저 참조하여 전송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면, 이러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의 ARS 혼합 데이터 및 ARS 어플리케이션 전송(250) 이후에 발생하는 초기 서비스 메뉴 전송(516), 사용자 데이터 전송(530), ARS 혼합 데이터 전송(536)은 ARS 단말기(120, 122)와 사용자 단말기(130)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며, ARS 서버(110)는 서비스 종료 전송(542)을 제외한 다른 단계에서는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ARS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주체의 역할을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 제조사(710)는 음성 및 비 음성 ARS 소프트웨어를 개발, 탑재하여 인코딩(220) 및 디코딩(230) 모듈을 구현하여야 한다.
일반 사용자(720)는 ARS 서비스 대표 번호로 전화를 걸고, ARS 서버(110)가 송신하는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응답(430)을 입력하여야 한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730)는 일반 사용자(720)가 대표 번호로 전화를 걸었을 때, 사용자 단말기(130)를 음성 및 비 음성 ARS 서비스 제공자(740)의 단말기(120, 122) 리스트 중에서 대기중인 단말기와 연결 시켜 주어야 한다.
ARS 서비스 사업자(740)는 ARS 혼합 데이터를 인코딩(220) 및 디코딩(230)하고 ARS 어플리케이션 처리(250)하는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ARS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탑재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730)는 기존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반면, 단말기 제조사(710) 및 ARS 서비스 사업자(740)는 기본적인 질의 응답을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application platform)을 구축하여 버전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차 예약 ARS 시스템을 구현 할 때,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예약 내역에 관한 정보 등에 관한 질의 응답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응답의 요건을 모두 갖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서비스의 특성상 질의 응답이 특별하게 처리 되어야 하는 경우는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제작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BREW, WIPI, MAP 등 버추얼 머신(Virtual Mechine)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한 비 음성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화번호 자동 백업, 전화번호 자동 저장, 통화 중 사진전송, 교통 정보 제공, 주식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ARS 서비스는 빠르고 간단하여 시스템의 부하 및 통신 비용 부담을 줄이고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개인용 ARS 서비스도 가능하다. ARS 서비스 인력이 반드시 투입되어야 하는 ARS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은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비 음성 데이터를 음성 전송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정확하고 재사용 가능한 ARS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ARS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와 함께 그림 파일, 폰 북(phone book) 등 파일도 함께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만으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사용자에게 파일을 보냄으로써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 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대신 기타 LCD 등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그림, 영상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서버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ARS 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ARS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로서, ARS 서버가 ARS 어플리케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ARS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로서, ARS 단말기가 ARS 어플리케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ARS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주체의 역할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보이스 인코더를 비활성화하고 수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응답은 상기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인
    ARS 서비스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ARS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에 전송하여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ARS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응답을 상기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ARS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응답을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서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동종의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인덱스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RS 단말기는, 18 내지 22ms마다 상기 ARS 서버에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요청하는
    를 더 포함하는 ARS 서비스 방법.
  12.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RS 어플리케이션은 버추얼 머신 형태인
    ARS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ARS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이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출력하는
    ARS 시스템.
  16.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ARS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이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출력하는
    ARS 시스템.
  17.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ARS 서버는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ARS 단말기와 연결되는
    ARS 시스템.
  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ARS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ARS 시스템.
  1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필요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ARS 서버,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는 ARS 단말기,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헤더를 판독하여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 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ARS 혼합 데이터의 헤더를 판독한 결과, 분리된 데이터가 음성이면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부의 보이스 디코더를 비활성화하는
    ARS 시스템.
  20. 삭제
  2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ARS 서비스에 사용되는 ARS 서버에 있어서,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상기 음성 및 비 음성 데이터에 형태 구별을 위한 헤더를 각각 추가하고, 이를 혼합하여 음성 데이터 규격의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ARS 혼합 데이터를 ARS 단말기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ARS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ARS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리하여 응답으로 ARS 혼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는 ARS 서버.
KR20080078946A 2008-08-12 2008-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Expired - Fee Related KR10097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8946A KR100979498B1 (ko) 2008-08-12 2008-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PCT/KR2009/004433 WO2010018951A2 (ko) 2008-08-12 2009-08-10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음성 ars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8946A KR100979498B1 (ko) 2008-08-12 2008-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45A KR20100020245A (ko) 2010-02-22
KR100979498B1 true KR100979498B1 (ko) 2010-09-02

Family

ID=4166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8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9498B1 (ko) 2008-08-12 2008-08-1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9498B1 (ko)
WO (1) WO2010018951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141A (ko) * 2003-11-13 2005-05-18 이노에이스(주)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7912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얼라팅 전송 시스템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97B1 (en) * 2001-09-06 2002-06-20 Anysolution Co Ltd Ars having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0775052B1 (ko) * 2007-03-03 2007-11-08 한넷텔레콤(주) 모바일 단말기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141A (ko) * 2003-11-13 2005-05-18 이노에이스(주)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7912A (ko) * 2005-01-3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얼라팅 전송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45A (ko) 2010-02-22
WO2010018951A2 (ko) 2010-02-18
WO2010018951A3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9245C (zh) 车载免提系统
KR20010049041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00013272A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US6879844B2 (en) Telephone dialing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downloading telephone directory from mobile phon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KR100793299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발신 장치 및 방법
JP200224714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着信方法
US20120014295A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U7252400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quired information by character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9794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송 방식을 이용한 음성 및 비 음성 ars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버
JP2007066159A (ja)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20040043761A1 (en) Method and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verting currencies
US20050288042A1 (en) Method of combining and showing short messages sent to or received from a telephone number
JP3998606B2 (ja) 移動通信端末
KR20080027572A (ko) 단말 브라우저 기반의 멀티모달 플러그인을 이용한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233775A1 (en) Mobile phone providing religious prayer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080132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rring short messages
KR20040012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100565440B1 (ko)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JP200307006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63223B1 (ko) 화상 통신용 데이터의 선택적 저장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분리 저장 방법
JP4027571B2 (ja) 電話装置および電話制御方法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KR100706408B1 (ko) 단문 메세지 전송방법
US20080045188A1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06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