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947530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530B1
KR100947530B1 KR1020080044709A KR20080044709A KR100947530B1 KR 100947530 B1 KR100947530 B1 KR 100947530B1 KR 1020080044709 A KR1020080044709 A KR 1020080044709A KR 20080044709 A KR20080044709 A KR 20080044709A KR 100947530 B1 KR100947530 B1 KR 10094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data
sequence number
polling
data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711A (ko
Inventor
삼 쉬아우-쉬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송터미널 중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상태 프로토콜 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상기 전송터미널이 다음번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lling transmission st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여,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효율,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화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 AS)은 무선리소스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미디어액세스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패킷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제 어(Broadcast/Multicast Control, BMC) 등 다수의 기능이 상이한 서브층을 포함한다. 그 동작 방식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으로,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각기 다른 전송품질 등급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전송품질에 대한 요구가 다름에 따라 각기 다른 모드, 예를 들어 투과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모드(Unacknowledged Mode, UM),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에서 동작된다. 투과모드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서비스에 적용되고, 비확인모드는 실시간 전송 및 패킷 시퀀스가 모두 요구되는 서비스에 적용되며, 확인모드는 실시간 전송에 대한 요구는 높지 않으나, 데이터의 정확성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서비스에 적용된다.
확인모드에서,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송터미널과 수신터미널의 무선링크제어계층은 상태보고 프로시저를 적시에 활성화하여,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을 폴링(Poll)함으로써 수신터미널에게 상태보고 또는 피기백(Piggybacked) 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전송터미널은 수신터미널이 송출하는 상태 보고를 근거로 후속 작업을 실행한다.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을 폴링할 때, 전송터미널은 하나의 프로토콜데이터유닛(Protocol Data Unit)을 선택하여,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폴링 비트(Polling Bit)를 트리거(=1)로 설정함으로써 수신터미널에게 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전송터미널에 전송 또는 재전송되도록 배정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없는 경우, 전송터미널은 이미 전송한 프로토콜데이터유닛 중 하나의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선택하여 재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기전송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폴링 비트를 트리거(=1)로 설정하여 수신터미 널에게 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가능성이 있다. 바꿔 말하면,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의 수신상태를 폴링하고자 하나, 전송해야 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없는 경우, 전송터미널은 이전에 이미 전송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재전송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재전송을 초래하게 되어 시스템 리소스가 낭비된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폴링 트리거 방법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이는 전송터미널이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폴 수퍼필드(Poll super-field)를 설정함으로써 수신터미널에게 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의 수신상태를 폴링해야 할 때, 전송터미널이 폴 수퍼필드를 포함하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를 수신터미널로 송출하면, 수신터미널은 이를 근거로 상태보고를 회신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서, 폴 수퍼필드는 유형지시필드 및 폴 시퀀스필드로 구성된다. 폴 시퀀스필드의 길이는 12비트이며, 폴링이 트리거된 후, 그 값은 다음 원칙에 의해 설정된다. 만약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이 프로토콜 파라미터는 전송윈도우 크기를 나타낸다)의 값이 2048보다 크거나 또는 같을 경우, 폴 시퀀스넘버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한다(변수 VT(S)는 전송터미널이 다음번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나타낸다). 반대로, 만약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의 값이 2048보다 작으면, 폴링 시퀀스넘버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로 설정한다. 상기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은 아직 삭제되지 않았으면서 아직 수신터미널에 의해 이미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이 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터미널이 폴 수퍼필드를 포함하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수신한 후에, 수신터미널은 시퀀스넘버가 폴 수퍼필드의 값과 동일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이미 전송된 것으로 간주하고, 아울러 그 수신 상태를 근거로 상태 보고를 전송터미널로 회신하게 된다.
폴 수퍼필드를 설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불필요한 데이터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전송 지연을 초래하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터미널에서,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의 값이 1024이고,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이미 전송되어, 즉 변수 VT(S)가 4와 같다고 가정한다면, 만약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모두 아직 수신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전송터미널이 폴링을 트리거할 때, 상기 설명에 의하면, 전송터미널은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을 감하거나 또는 아직 삭제되지 않았으면서 아직 수신터미널에 의해 이미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로 설정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전송터미널은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0, 1, 2 또는 3으로 설정하게 된다. 만약 전송터미널이 폴링 시퀀스넘버의 값을 0으로 설정하였고, 또한 수신터미널이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수신하기 전에 먼저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이 0인 폴 수퍼필드를 수신하였다면, 수신터미널은 시퀀스넘버가 0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이미 전송터미널에 의해 전송된 것으로 간주하고, 아울러 대응되는 상태 보고를 회신하여 그것이 아직 수신하지 못한 시퀀스넘버가 0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임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어서, 수신터미널이 회신한 상태보고를 근거로, 전송터미널은 시퀀스넘버가 0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재전송하고, 아울러 그 폴링비트를 트리거(=1)로 설정할 가능성이 있다. 수신터미널이 재전송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그 시퀀스넘버가 0이면서 폴링비트가 트리거로 설정된 것)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 수신터미널은 상태보고를 회신하여 그것이 이미 수신된 시퀀스넘버가 0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임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송터미널은 폴 수퍼필드를 설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또 한 번의 폴링을 트리거해야만 기타 재전송이 필요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폴 수퍼필드를 설정하는 폴링 트리거 방식을 통하여 비록 이미 성공적으로 전송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재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재전송해야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재전송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상기 전송터미널에서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필드의 값을 상기 전송터미널이 다음번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데이터 전송 상태를 정확하게 폴링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제어회로,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어회로 내부에 위치하여,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메모리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상기 통신장치에서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 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수단;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필드의 값을 상기 통신장치가 다음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터미널 중 폴링이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기 때문에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재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1000)의 설명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000)은 3세대 이동통신, 미래장기진화 무선통신시스템 또는 기타 이동통신시스템일 수 있으며, 간략하게는 네트워크터미널 및 복수개의 사용자장치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네트워크터미널 및 사용자장치는 무선통신시스템(10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네트워크터미널은 각기 다른 수요에 따라 복수개의 기지국, 무선네트워크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사용자장치는 이동전화, 컴퓨터시스템 등 장치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을 실행할 때, 네트워크터미널은 전송터미널이 되고 사용자장치는 수신터미널이 되며, 업링크 전송을 실행할 경우, 내트워크터미널은 수신터미널이 되고, 사용자장치는 전송터미널이 된다.
도 2는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2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 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4)(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도 3은 도 2 중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신호를 발신할 때, 제2층 인터페이스(즉 무선링크제어계층)(206)는 제3층 인터페이스(202)가 송출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복수개의 서비스데이터유닛(Service Data Unit)(208)을 형성하여 버퍼(212)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버퍼(212)에 저장된 서비스데이터유닛(208)을 근거로, 제2층 인터페이스(206)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데이터유닛(Protocol Dat Unit)(214)을 생성하고, 아울러 생성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214)을 제1층 인터페이스(218)를 통하여 목적지 터미널로 송출한다. 반대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층 인터페이스(218)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아울러 수신된 신호를 프로토콜데이터유닛(214)으로 제2 층 인터페이스(206)까지 송출한다. 제2층 인터페이스(206)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214)을 서비스데이터유닛(208)으로 환원하여 버퍼(212)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제2층 인터페이스(206)는 버퍼(212)에 저장된 서비스데이터유닛(208)을 제3층 인터페이스(202)로 전송한다.
무선통신장치(100)가 확인모드에서 조작되면서 또한 전송터미널일 때,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층 인터페이스(206)(즉 무선링크제어계층)는 상태보고 프로시저를 적시에 트리거함으로써 수신터미널을 폴링하여, 수신터미널에게 상태보고 또는 피기백 상태보고를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정확하게 폴링하기 위한 폴링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40)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플로우(40)는 무선통신시스템(1000)의 전송터미널 중 데이터 전송 상태를 폴링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터미널은 네트워크터미널 또는 사용자장치일 수 있다. 플로우(40)는 폴링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 될 수 있으며,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0): 시작.
단계(402): 전송터미널 중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단계.
단계(404):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필드의 값을, 상기 전송터미널이 다음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단계(406):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
단계(408): 종료.
플로우(40)에 따르면, 전송터미널 중 폴링이 트리거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하여, 폴링해야 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상기 전송터미널이 다음번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즉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터미널의 전송윈도우 크기(즉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는 2048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히 말하면,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의 수신 상태를 폴링해야 하는 경우,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한다. 다시 말해,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의 값이 어떠한지를 막론하고, 본 발명에서는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하면, 재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터미널에서, 프로토콜 파라미터 Configured_Tx_Window_Size의 값이 1024이면서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이미 전송되어, 즉 변수 VT(S)가 4와 같다고 가정하면, 만약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이 모두 아직 수신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전송터미널이 폴링을 트리거할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터미널은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변수 VT(S)에서 1을 감하여 3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만약 수신터미널이 시퀀스넘버가 0, 1, 2,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수신하기 전에 먼저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이 3인 폴 수퍼필드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터미널은 시퀀스넘버가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이미 전송터미널에 의해 전송된 것으로 간주하고, 아울러 상태보고를 회신하여 시퀀스넘버가 0, 1, 2 및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아직 수신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터미널이 회신한 상태보고를 근거로, 전송터미널은 시퀀스넘버가 0 내지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재전송하고, 아울러 시퀀스넘버가 3인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폴링 비트를 트리거(=1)로 설정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전송터미널이 수신터미널의 수신 상태를 폴링해야 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 성공적으로 전송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재전송해야 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재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등가의 변경 및 한정 등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무선통신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0: 무선통신장치 102: 입력장치 104: 출력장치 106: 제어회로 108: 중앙처리장치 110: 메모리장치 112: 프로그램코드 114: 송수신기 200: 응용프로그램층 202: 제3층 인터페이스 206: 제2층 인터페이스 208: 서비스데이터유닛 212: 버퍼 214: 프로토콜데이터유닛 218: 제1층 인터페이스 220: 폴링 프로그램코드

Claims (6)

  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송터미널에서 데이터 전송 상태를 폴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터미널 중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상기 전송터미널이 다음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터미널의 전송윈도우 크기는 2048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터미널 및 상기 수신터미널은 확인모드에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정확하게 폴링하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상기 통신장치 중 수신터미널 폴링 프로시저가 트리거되었을 때,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형성함으로써, 폴링해야 하는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를 지시하는 수단;
    상기 폴링 시퀀스넘버 필드의 값을 상기 통신장치가 다음에 새로 전송할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의 시퀀스넘버에서 1이 감해지도록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상태 프로토콜데이터유닛을 상기 수신터미널로 전송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의 전송윈도우 크기는 2048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확인모드에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80044709A 2007-05-15 2008-05-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Active KR10094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794007P 2007-05-15 2007-05-15
US60/917,940 2007-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711A KR20080101711A (ko) 2008-11-21
KR100947530B1 true KR100947530B1 (ko) 2010-03-12

Family

ID=3972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09A Active KR100947530B1 (ko) 2007-05-15 2008-05-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6638B2 (ko)
EP (1) EP1993313A3 (ko)
JP (1) JP4896073B2 (ko)
KR (1) KR100947530B1 (ko)
CN (1) CN101309131A (ko)
TW (1) TWI486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9399B2 (en) * 2008-02-01 2014-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transfer
US20160150522A1 (en) * 2014-11-21 2016-05-2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management during radio link control (rlc) transmission window full state
HK1251381A1 (zh) * 2015-08-21 2019-01-25 英特尔公司 用於蜂窝/无线局域网聚合的分组数据汇聚协议
US10298509B2 (en) * 2016-03-17 2019-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ing a sequence number range for radio link control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during an on-going conn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726A (ko) * 2000-07-01 2002-01-15 서평원 프로토콜 데이터의 수신 확인 방법
KR20040048154A (ko) * 2002-12-02 2004-06-07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윈도우에 기초한 폴링을 위한 응용가능한 피디유 레인지테스트 및 계산
US20060154603A1 (en) 2002-09-07 2006-07-13 Joachim Sachs Method and devices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link control in mobile multicast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090191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제어를 위한 상태보고의요청/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3813B1 (en) * 1999-02-17 2003-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and efficient data communications
US6301479B1 (en) * 1999-07-08 2001-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chnique for providing a secur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764624B2 (en) * 2002-07-18 2010-07-2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ng protocol stalling
JP3862648B2 (ja) * 2002-11-26 2006-12-27 アサステック・コンピュー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ィンドウベースポーリングに適用される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範囲の試験および計算の方法
US7558243B2 (en) * 2004-09-15 2009-07-07 Innovative Sonic Limited Enhanced polling method for preventing deadlo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855887A (zh) * 2005-04-29 2006-11-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在接收端中减少数据串流前后跳动的方法及其相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726A (ko) * 2000-07-01 2002-01-15 서평원 프로토콜 데이터의 수신 확인 방법
US20060154603A1 (en) 2002-09-07 2006-07-13 Joachim Sachs Method and devices for efficient data transmission link control in mobile multicast 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48154A (ko) * 2002-12-02 2004-06-07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윈도우에 기초한 폴링을 위한 응용가능한 피디유 레인지테스트 및 계산
KR20060090191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제어를 위한 상태보고의요청/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5670A (en) 2008-11-16
CN101309131A (zh) 2008-11-19
JP4896073B2 (ja) 2012-03-14
US20080285583A1 (en) 2008-11-20
EP1993313A2 (en) 2008-11-19
JP2008289149A (ja) 2008-11-27
EP1993313A3 (en) 2009-11-25
TWI486030B (zh) 2015-05-21
US9246638B2 (en) 2016-01-26
KR20080101711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9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폴 기능을 트리거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970215B (zh) 用于无线网络的动态可靠性目标
US8031689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handling re-establishment of radio link control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281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US200700646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delay of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14345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with the transmission of TCP packets
JP20063115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伝送状態をポ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7016423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RU27015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передачах в режиме без соединения
KR100370077B1 (ko)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KR200701215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이후의 상태 보고 핸들링방법 및 장치
US20090181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Status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210135355A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KR10094753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를 폴링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2798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삭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1337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측을 단독으로 재구축할 때무선링크제어 리셋 절차의 변수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937476B (zh) 针对用于无线网络的持续传输的反馈指示
US20090109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Transmission Times of a PDU
KR100962035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리셋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135931A (ja) 最大受信状態変数を設定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CN117460056A (zh) 增强无线电链路控制的方法及其装置
KR20080079444A (ko) 이동 단말의 적응적 버퍼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