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903972B1 -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972B1
KR100903972B1 KR1020090013743A KR20090013743A KR100903972B1 KR 100903972 B1 KR100903972 B1 KR 100903972B1 KR 1020090013743 A KR1020090013743 A KR 1020090013743A KR 20090013743 A KR20090013743 A KR 20090013743A KR 100903972 B1 KR100903972 B1 KR 10090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ensor
correction
spot pattern
code
correction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복
안연찬
류준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Priority to KR102009001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9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01N33/48771Coding of information, e.g. calibration data, lot nu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D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바이오센서의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센서 자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수단으로 촬영한 화상정보를 통해 상호 구분될 수 있는 스팟 패턴을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하여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고, 측정기가 이 스팟 패턴의 화상정보를 통해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를 측정기에 삽입하기만 하면 스팟 패턴으로부터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가 정확하게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스팟 패턴의 화상정보를 통해 얻은 보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잘못된 보정치 정보가 측정기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로 보정용 코드를 입력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바이오센서, 오차, 보정, 코드, 스팟, 스팟 패턴, 화상정보, CCD 카메라

Description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Calibration method for bio-sensor}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가 가지는 자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수단으로 촬영한 화상을 통해 상호 구분될 수 있는 스팟 패턴을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하여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고, 측정기가 이 스팟 패턴의 화상정보를 통해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란 측정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얻을 때 생물학적 요소를 이용하거나 생물학적 요소를 모방하는 것을 이용하여 색, 형광, 전기적 신호 등과 같이 인식 가능한 유용한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생물학적 효소를 이용하는 바이오센서는 우수한 감도 및 반응특이성을 가지므로 의료/의약분야, 바이오 산업의 공정계측, 환경계측, 화학물질의 안정성 평가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생체 내 화학적 성분을 조사한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현재 의 약 진단분야에서 혈액 등의 생체시료를 분석하기 위해 바이오센서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 중 효소와 기질 또는 효소와 저해제의 특이적인 반응을 이용한 효소분석법 바이오센서는 적용 및 사용이 간편하고 측정감도가 우수하며,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병원 및 임상 화학분석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생체 내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기 위한 효소분석법은 크게 효소 반응 전, 후의 광투광도를 분광학적 방법으로 관찰하는 발색법과 전기화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발색법은 전극법에 비해 측정시간이 길고 많은 양의 혈액이 필요하며 생체시료의 혼탁도에 기인한 측정오차 등으로 인해 중요한 생체물질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플라스틱 필름(절연성 기판) 위에 복수의 전극들로 이루어진 전극계를 형성하고 분석시약을 전극 상에 고정한 뒤 시료 도입 후 일정 전위를 인가하여 시료 중 특정 물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전극법이 효소를 이용한 바이오센서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전극법을 이용하는 경우 바이오센서로부터 생체물질에 대한 정보를 읽게 되는 별도의 측정기가 필요하며, 이 측정기에는 바이오센서의 박막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이 구비된다.
이에 바이오센서의 박막전극이 삽입구를 통해 측정기에 삽입되면 측정기의 소켓에 형성된 단자에 박막전극이 연결되며, 이어 측정기의 전원이 온(ON) 된 상태 에서 측정기가 분석대상인 생체물질에 대한 정보를 받게 된다.
상기한 전극법의 바이오센서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혈당측정기이며, 누구나 쉽게 자신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 포도당(혈당)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루에 2 ~ 3번씩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인슐린 의존형 환자의 경우 대개 손가락 끝부분을 바늘 형태의 란셋(lancet)으로 찔러 채혈하는데, 혈당측정기는 채취된 시료(혈액)와 바이오센서 내 반응물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혈당값을 측정하게 된다.
즉, 바이오센서의 전극계상에 친수성 고분자와 산화환원효소, 전자수용체로 이루어진 반응효소층이 고정되어, 바이오센서의 시료주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기질(포도당(Glucose))을 포함한 시료(혈액)를 주입하여 상기 반응효소층에 접촉시키면, 반응효소층이 이를 용해하여 시료의 기질과 효소(Enzyme)가 반응하고, 이때 기질이 산화되면서 전자수용체가 환원된다. 이 환원된 전자수용체를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하여 얻어지는 산화 전류를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여 시료 중에 포함된 기질의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8과 도 9는 일반적인 바이오센서의 기본 구성도로서, 도 8은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센서('테스트 스트립'이라 칭하기도 함)(10)는 하부 절연기판(11)의 상면(내측면이 됨)에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12)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13)을 길게 적층 형성하고, 작업전극(12)과 기준전 극(13)을 가로지르도록 반응효소층, 즉 반응시약층(14)을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전극(12,13)은 에칭, 스크린 인쇄, 스퍼터링 등과 같은 박막 형성 방법으로 적층된다.
또한 시료(혈액 등의 검체)가 반응시약층(14) 전체로 투여될 수 있도록 하부 절연기판(11)의 상측으로 스페이서(15,16)를 적층하고, 스페이서(15,16)의 상측으로 상부 절연기판(17)을 적층하여, 스페이서(15,16)에 의해 이격된 상, 하부 절연기판(11,17)이 반응시약층(14) 상측으로 모세관 구조인 시료 통로(18)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전극(12)과 기준전극(13)은 스페이서(15,16)에 의해 절연되며, 스페이서(15,16)에 의해 상, 하부 절연기판(11,17)이 형성하는 시료 통로(18)의 한쪽 입구가 분석시료가 주입되는 시료주입구(18a)가 된다.
또한 바이오센서(10)가 측정기(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될 때 측정기의 소켓에 형성된 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작업전극(12)과 기준전극(13)의 단부는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서 노출된다.
한편, 바이오센서는 여러 요인에 의해 자체적으로 불가피한 오차를 가지며, 따라서 제작공정에서 각 센서마다 측정이 정확한지 또는 오차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정확한 측정을 위해 각 센서가 가지는 오차를 보정해야 하므로 측정기가 보정 정보를 확인한 뒤 이를 이용해 센서의 측정치를 보정하여 최종 결과값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측정기에 센서 자체가 가지는 오차에 따른 보정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후 측정기가 입력된 보정치 정보를 토대로 하여 센서의 측정치를 보정한 뒤 정확한 결과값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측정기에 미리 보정 정보를 입력한 뒤 측정시 해당 센서의 측정치에 보정치(보정 정보에 기초)를 반영한 결과값을 표시하도록 한다. 즉, 혈당 기준값이 100인 경우에 제1센서의 측정값이 100이면 코드 A를 부여하고, 제2센서의 측정값이 90이면 100을 만들기 위해 10(보정치)을 더해주도록 코드 B를 부여하며, 제3센서의 측정값이 110이면 100을 만들기 위해 10을 빼주도록 코드 C를 부여한 다음, 해당 센서를 사용할 때 코드(보정 정보를 나타냄)를 미리 측정기에 입력하고, 이후 측정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해당 센서의 보정 정보를 토대로 하여 보정치가 반영된 결과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정 정보를 담은 코드를 각 센서마다 구비하여 측정기에 입력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바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제조사에서 센서 제작시 오차범위를 확인하여 보정 정보를 얻고, 보정 정보가 동일한 센서들끼리 분류한 뒤(예, A, B, C 코드로 분류), 보정 정보가 동일한 센서들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한다. 그리고, 보정 정보가 동일한 센서들이 수납된 용기에 보정 정보를 담은 바코드를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제품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품을 구매한 뒤 측정기에 연결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해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줌으로써 자신의 측정기에 구매한 센서의 보정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결국, 측정기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입력된 보정 정보를 토대로 하여 측정시마다 센서의 측정치를 보정하여 정확한 결과값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바코드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보정 정보뿐만 아니라 용기에 수납된 센서들의 제조일자, 유효일자, 종류 등 다양한 센서 정보를 담은 바코드를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하나의 용기에 수납된 센서들은 보정 정보와 더불어 제조일자, 유효일자 등 제품 정보가 모두 동일한 센서들이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보정 정보를 포함한 센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센서 정보가 표시된 바코드, 즉 용기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야 하며, 바코드를 읽기 위해서는 측정기에 스캐너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캐너를 구비해야 하므로 측정기의 전체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또한 제조사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용기 내에 보정 정보 등 센서 정보가 상이한 바이오센서가 들어갈 수 있다. 특히, 보정 정보가 상이한 바이오센서가 잘못 수납되는 경우에 해당 센서의 올바른 보정치가 반영되지 못하므로(바코드의 보정치 반영)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보정용 코드를 담은 스팟 패턴을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하고, 측정기 내 촬영수단으 로 스팟 패턴의 화상정보를 인식하여 보정용 코드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획득하므로써 바이오센서의 측정치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마다 센서 자체가 가지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고, 각 보정치 정보에 보정용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부여하고자 하는 보정용 코드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을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하여 각 바이오센서에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가 측정기에 삽입되면, 측정기 내 촬영수단이 스팟 패턴의 화상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기가 촬영수단의 전기적 신호에서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바이오센서의 측정이 개시되면 인지한 보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결과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팟 패턴은 촬영된 화상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구분되어 각각의 보정용 코드로 인식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팟 패턴은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된 스팟의 개수, 스팟의 총면적 또는 스팟의 위치 등에 따라 보정용 코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수단은 CCD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은 바이오센서의 앞면 또는 뒷면에 센서 자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 정보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을 형성하고, 바이오센서 사용시 CCD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으로 스팟 패턴의 화상정보를 인식하여 보정용 코드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측정 결과를 보정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를 측정기에 삽입하기만 하면 스팟 패턴으로부터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가 정확하게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보정치 정보가 측정기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로 보정용 코드를 입력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센서 이용시 사용자가 보정용 코드의 입력절차를 빠뜨리거나 혹은 해당 센서의 코드가 아닌 다른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실수를 범할 염려를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오센서를 보정치 정보에 따라 분류하지 않고 섞어놓은 상태로 사용하더라도 각 센서마다 가지는 보정치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CCD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을 이용한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리적 시료 내 함유된 검체농도측정을 위한 바이오센서의 사용시 측정기가 바이오센서 자체의 오차를 보정하여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바이오센서의 보정치 정보를 인지/획득하는 방법에 주된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센서(10)는 하부 절연기판(11)의 전면(앞면)에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12)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13)을 길게 적층 형성하고, 작업전극(12)과 기준전극(13)을 가로지르도록 반응시약층(14)을 고정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이오센서(10)가 측정기에 삽입될 때 측정기의 소켓에 형성된 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작업전극(12)과 기준전극(13)의 단부는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서 노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C)의 전면(앞면) 또는 후면(뒷면)에 센서의 보정치 정보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S)을 형성하고, 촬영에 따른 화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스팟 패턴(S)을 인식하면, 바이오센서용 측정기에서 인식된 스팟 패턴(S)에 따라 설정된 보정치를 인지하여 측정결과를 보정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바이오센서(10)는 여러 요인에 의해 자체적으로 오차를 가지기 때문에 측정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오차를 보정해야 한다. 이에 센서의 자체 오차에 대한 보정치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 제작 공정에서 각 센서마다 측정값이 정확한지 또는 오차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오센서(10)는 자체 오차에 대한 보정치에 따라 보정용 코드가 부여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보정용 코드를 바이오센서(10)의 접속단부(C)의 전면 또는 후면에 스팟 패턴(S)으로 형성하여 화상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다음, 그에 상응하는 보정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바이오센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10)에 자체 오차에 대한 보정치 정보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S)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이오센서(10)의 구성요소인 하부 절연기판(11)의 전면 또는 후면 즉, 접속단부(C)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 이상의 스팟으로 형성한 패턴 즉, 스팟 패턴(S)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스팟 패턴(S)은 레이저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11)에 원형의 스팟이 복수개로 구성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팟 패턴(S)은 CCD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으로 촬영하여 화상정보로 인식될 수 있는 모든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스팟의 개수에 따라 코드1, 코드2, 코드3 등으로 분류되는 보정용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절연기판(11)의 전면에 형성된 스팟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코드1로 코딩(coding)되고, 3개인 경우가 코드2로, 2개인 경우가 코드3으로 코딩된다고 하면, 도 1과 같이 전면에 스팟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측정기는 코드1로 인식한 다음 코드1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여 측정 결과를 보정하게 되고, 도 2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11)의 전면에 스팟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측정기가 코드2로 인식한 다음 코드2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여 측정 결과를 보정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스팟의 개수를 인식하여 코딩하는 경우, 원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스팟의 형상은 해당 바이오센서의 스팟 패턴을 코딩하는데 있어서 무관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바이오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패턴을 형성하는 스팟의 총면적에 따라 코드를 분류하여 부여한 실시예이다.
도 3과 도 4의 경우 하부 절연기판(11)의 후면에 바이오센서(10)에 부여되는 보정치 정보에 따라 면적이 다른 스팟을 형성하여 해당되는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고, 촬영수단이 스팟의 총면적을 화상정보로 읽어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측정기에 전달하므로써, 각 센서가 가지는 오차에 대한 보정치 정보를 측정기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팟 패턴(S)을 도 1 및 도 2와 같이 스팟의 개수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경우 일정한 정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촬영한 스팟 패턴(S)의 화상정보를 보정 용 코드로 인식하는데 무리가 없으나,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팟 패턴(S)을 스팟의 총면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경우 일정한 정수로 표현되지 않으므로 스팟 패턴(S)의 화상정보를 보정용 코드로 인식하는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센서(10)의 스팟 패턴(S)을 화상정보로 인식하여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스팟의 총면적으로 보정용 코드를 분류하게 되는 경우, 스팟 패턴(S)의 화상정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은 측정기가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각 코드에 상응하는 스팟의 총면적을 일정 범위로 분류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바이오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패턴을 형성하는 스팟의 위치에 따라 코드를 구분하여 부여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센서(10)의 하부 절연기판(11)에 상하좌우 등의 위치를 구분하여 스팟을 형성하고, 이러한 스팟 패턴(S)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여 상응하는 보정치 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즉, 바이오센서(10)의 접속단부(C)에서 스팟 성형이 가능한 부분을 일정 면적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부위의 스팟 성형유무에 따라 코드를 분류하여 설정한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는 하부 절연기판(11)의 후면 하단부를 4등분한 다음, 각 센서에 해당하는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기 위해 해당 분할부위에 스팟(S)을 형성한 것으로, 도 5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11)의 상부우측에 스팟을 형성하거나, 혹은 도 6과 같이 하부 절연기판(11)의 하부우측과 하부좌측에 스팟을 형성하여 보정용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촬영수단은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그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스팟 패턴(S)에 따른 화상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저해상도의 촬영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저해상도의 촬영수단을 이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단순한 스팟 패턴(S)을 인식하는데는 무리가 없으므로, 측정기는 촬영한 스팟 패턴(S)에 따른 화상의 전기적 신호를 코딩(coding)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10)에 스팟 패턴(S)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화상으로 촬영된 스팟 패턴(S)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구분 가능하여 각각의 보정용 코드로 인식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바이오센서(10)의 접속단부(C)에 형성한 패턴을 촬영하여 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이 화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기에 제공하는 촬영수단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기에는 촬영수단이 출력하는 화상정보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 코드인식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코드인식수단은 화상정보의 전기적 신호를 코딩하여 보정용 코드를 인식한 다음, 보정용 코드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여 연산수단으로 전달한다.
상기 연산수단은 측정기에 삽입된 바이오센서(10)의 신호(검체와 시약 간에 반응에 따른 신호)로부터 측정값을 계산하되, 입력된 보정치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된 결과값을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수단은 그 크기가 매우 작아서 바이오센서용 측정기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촬영수단을 삽입 설치한 측정기에 바이오센서(10)를 삽입하면, 측정기 내 촬영수단이 바이오센서(10)의 스팟 패턴(S)을 읽어 화상정보로 인식하게 되고, 인식한 화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코드인식수단으로 출력한다.
그럼, 상기 코드인식수단은 입력된 화상정보의 전기적 신호로부터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고 코드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그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인지한 보정치 정보를 연산수단으로 전달하면, 상기 연산수단이 바이오센서(10)의 신호로부터 계산한 측정값에 보정치 정보를 반영하여 보정된 결과값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이오센서(10)를 측정기에 삽입하면, 측정기 내 구비된 촬영수단과 코드인식수단 등에 의해 바이오센서(10)의 스팟 패턴(S)에 상응하는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게 되고, 측정기는 획득한 보정치 정보를 측정 결과에 반영하여 최종 결과값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바이오센서의 오차 보정을 위한 코드 입력 절차를 빠뜨리거나 또는 해당 센서의 코드가 아닌 다른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실수를 범할 염려를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바이오센서를 보정치 정보에 따라 분류하지 않고 섞어놓은 상태로 사용하더라도 각 센서마다 설정되는 보정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보정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각 바이오센서마다 가지게 되는 오차의 보정을 위한 보정치 정보에 각각의 보정용 코드를 설정하여 측정기에 입력한 다음(S100), 각 보정용 코드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을 설정한다.
그리고, 각 바이오센서(10)에 부여되는 보정치 정보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S)을 하부 절연기판(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한다(S110).
바이오센서(10)의 사용을 위해 측정기에 바이오센서(10)의 접속단부(C)를 삽입하여 측정기의 소켓 단자에 작업전극(12)과 기준전극(13)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이오센서(10)에서 스팟 패턴(S)이 형성된 부분이 삽입되고, 측정기 내 설치된 촬영수단이 스팟 패턴(S)의 형상을 촬영하여 화상정보를 인식한 다음,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코드인식수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스팟 패턴(S)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코드인식수단은 코딩단계를 거쳐 해당 센서의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게 되고(S120), 보정용 코드에 설정된 보정치 정보를 인지(S130)하여 연산수단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자신의 혈액(생리적 시료)을 센서의 시료주입구에 투입하여 측정을 개시하면(S140), 연산수단은 바이오센서의 신호로부터 측정값을 계산하고 코드인식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보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보정(S150)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최종 결과값을 출력하게 된다(S16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의 바이오센서를 선택하여 측정기에 삽입 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별도 조작하지 않아도 측정기 내 촬영수단이 촬영한 스팟 패턴(S)의 화상정보에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혈액(생리적 시료)을 센서의 시료주입구에 투입하여 측정을 개시하면, 측정기는 획득한 보정치 정보를 센서의 측정 결과에 반영하여 보정한 뒤 보정된 최종 결과값을 출력하여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측정기는 새로운 바이오센서가 삽입될 때마다 바로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센서의 정확한 보정치 정보를 인지하므로 새로운 센서가 삽입되면 이전에 입력된 보정치 정보가 현재 삽입된 센서의 보정치 정보로 갱신되며, 이렇게 획득한 보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오센서의 측정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바이오센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바이오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바이오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보정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일반적인 바이오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일반적인 바이오센서의 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이오센서
11 : 하부 절연기판
C : 접속단부
S : 스팟 패턴(스팟)

Claims (6)

  1. 바이오센서마다 센서 자체가 가지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고, 각 보정치 정보에 보정용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부여하고자 하는 보정용 코드에 상응하는 스팟 패턴을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하여 각 바이오센서에 보정용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가 측정기에 삽입되면, 측정기 내 촬영수단이 스팟 패턴의 화상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기가 촬영수단의 전기적 신호에서 보정용 코드를 인식하여 보정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바이오센서의 측정이 개시되면 인지한 보정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결과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팟 패턴은 촬영된 화상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구분되어 각각의 보정용 코드로 인식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팟 패턴은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된 스팟의 개수에 따라 보정용 코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팟 패턴은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된 스팟의 총면적에 따라 보정용 코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팟 패턴은 바이오센서의 접속단부에 형성된 스팟의 위치에 따라 보정용 코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CCD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KR1020090013743A 2009-02-19 2009-02-19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0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43A KR100903972B1 (ko) 2009-02-19 2009-02-19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43A KR100903972B1 (ko) 2009-02-19 2009-02-19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972B1 true KR100903972B1 (ko) 2009-06-25

Family

ID=4098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7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3972B1 (ko) 2009-02-19 2009-02-19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418B1 (ko) 2014-05-30 2015-11-17 주식회사 아이센스 바이오 측정기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6953A1 (en) 1999-11-15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method of forming thin-film electr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US20040200721A1 (en) 2001-08-29 2004-10-14 Bhullar Raghbir S. Biosensor
KR100680267B1 (ko) 2005-09-16 2007-02-08 주식회사 인포피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센서의식별정보 판독장치
KR100789651B1 (ko) 2006-10-17 2008-01-02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일회용 바이오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6953A1 (en) 1999-11-15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 method of forming thin-film electr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US20040200721A1 (en) 2001-08-29 2004-10-14 Bhullar Raghbir S. Biosensor
KR100680267B1 (ko) 2005-09-16 2007-02-08 주식회사 인포피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센서의식별정보 판독장치
KR100789651B1 (ko) 2006-10-17 2008-01-02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일회용 바이오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418B1 (ko) 2014-05-30 2015-11-17 주식회사 아이센스 바이오 측정기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WO2015182983A1 (ko) * 2014-05-30 2015-12-03 주식회사 아이센스 바이오 측정기의 측정 오차 보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383B1 (ko)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센서 측정기
KR101013184B1 (ko) 바이오센서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US8702966B2 (en) Biosensor provided with code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obtaining sensor information from the same
EP1279033B1 (en) Electrochemical biosensor test strip with recognition electrode and readout meter using this test strip
JP5356385B2 (ja) 電気化学的バイオセンサ及びその測定器
US20060099703A1 (en) Dev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s
US20100012490A1 (en) Test strip with optical identification patterns and test instrument using the same
KR20080080841A (ko)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및 이의 측정기
US20100015006A1 (en) Test strip with identification openings and test instrument using the same
EP2833132B1 (en) Kit comprising a detection instrument and a biosensor with automatic coding device
US20090288964A1 (en) Biosensor with coded inform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78588A1 (en) Electrochemical quantitativ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10102152A1 (en) Double side identification notation-containing test strip and test instrument thereof
CN104040795A (zh) 用于连接生物传感器和生物传感器的测量仪器的连接器
KR100903972B1 (ko) 바이오센서의 보정방법
EP2297574B1 (en) Bio-sensor
KR101149818B1 (ko)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및 이의 측정기
KR100911927B1 (ko) 비색법을 이용한 생체물질 분석용 측정기
KR20100006400A (ko) 바이오센서의 보정 방법
KR20100006410A (ko) 감지전극이 형성된 바이오센서 및 이것을 이용한 시료의분석 방법
TW201031920A (en) Test specimen and test device having identifiability
TWM474136U (zh) 雙面結構檢測試片及其檢測裝置
KR20060107054A (ko) 온도 보정기능을 갖는 생체정보측정용 무선통신단말기
TW201031919A (en) Test specimen and test device having identifi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6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