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796618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18B1
KR100796618B1 KR1020070001027A KR20070001027A KR100796618B1 KR 100796618 B1 KR100796618 B1 KR 100796618B1 KR 1020070001027 A KR1020070001027 A KR 1020070001027A KR 20070001027 A KR20070001027 A KR 20070001027A KR 100796618 B1 KR100796618 B1 KR 10079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18B1/ko
Priority to JP2007271736A priority patent/JP5026221B2/ja
Priority to TW096148038A priority patent/TWI371855B/zh
Priority to US12/006,666 priority patent/US7834547B2/en
Priority to EP08250034A priority patent/EP1942526A3/en
Priority to CN2008100015069A priority patent/CN10121718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마스크에 의하여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증착마스크의 요철에 의한 화소정의막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의 비개구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화소정의막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를 도포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새도우 마스크, 볼형 스페이서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도 1은 증착용 마스크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단면도,
도 3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베이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현상(developing)공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진,
도 6a 및 도 6b는 베이크 공정을 실시한 후 현상(developing)공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기판 210 : 버퍼층
220a : 소오스영역 220b : 드레인영역
221 : 채널영역 230 : 게이트절연막
231 : 게이트전극 240 : 층간절연막
150a : 소오스전극 150b : 드레인전극
260 : 무기막 270 : 유기막
280 : 제1전극 281 : 화소정의막
290 : 스페이서 살포기 290a : 볼형 스페이서
291 : 유기막층 292 : 제2전극
본 발명은 증착마스크에 의하여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증착마스크의 요철에 의한 화소정의막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ITO와 같은 투명전극인 제 1 전극(anode)과 일함수가 낮은 금속(Ca, Li, Al 등)을 사용한 제 2 전극(cathode) 사이에 유기막층이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순방향의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과 음극에서 각각 정공(hole)과 전자(electron)는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여 전기 발광 현상을 일으킨다.
상기 제 1 전극은 반사형 즉,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투과형 즉, 빛을 투과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막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 2 전극방향으로 방출시키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막층은 여러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 한 방법이 증착이며, 상기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박막 등이 형성될 면에 형성될 박막 등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를 밀착시키고 박막 등의 재료를 증착하여 소정 패턴의 박막을 형성한다.
도 1은 증착용 마스크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1)를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박막, 즉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증착하기 위해서는, 진공챔버(2)에 설치된 박막 증착 용기(crucible ; 3)와 대응되는 측에 마스크와 결합된 프레임(4)을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 박막 등이 형성될 대상물(5)을 장착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프레임(4)에 지지된 마스크(1)를 박막 등이 형성될 대상물(5)에 밀착시키기 위한 마그네트 유니트(6)를 구동시켜 상기 마스크(1)가 상기 박막 등이 형성될 대상물(5)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박막 증착 용기(3)의 작동으로 이에 장착된 물질이 상기 대상물(5)에 증착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마스크의 표면에는 2∼3㎛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1)와 박막 등이 형성될 대상물(5)이 밀착됨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요철에 의하여 대상물의 박막, 예를 들면, 화소정의막에 스크래치(scratch)를 주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상물과 마스크 표면 사이에 스페이서 구조물을 형성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100)상에 형성된 버퍼층(110), 상기 버퍼층(110) 상에 형성된 소오스/드레인 영역(120a, 120b) 및 채널영역(121)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31)과,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콘택홀을 통해 각각 소오스/드레인영역(120a, 1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150a, 150b)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기판(100) 상에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160) 및 평탄화막(170) 상에 형성되어, 비어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애노드로서의 제 1 전극(180)과 상기 제 1 전극의 일정영역을 노출시키고, 화소를 정의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정의막(19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소정의막(190) 상에 스페이서 필름을 코팅하고, 상기 스페이서 필름의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막(미도시)을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스페이서 필름을 패턴하여 스페이서 패턴(191)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증착용 마스크를 구비한 증착 장치에 의하여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92)을 형성한다. 또한,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유기막층(192)의 상부에 제2전극(193)을 형성한다. 이때, 증착 장치에 의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패턴은 상기 증착용 마스크가 상기 화소정의막이 형성된 기판상에 밀착됨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요철에 의하여 화소정의막 등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이 1회 추가되고, 또한, 스페이서 필름의 형성에 따른 재료비가 상승하게 되므로 양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사진 공정에 의하여 스페이서 필름을 패턴하여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므로, 상기 제1전극상에 스페이서 필름의 잔막이 남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착마스크에 의하여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증착마스크의 요철에 의한 화소정의막 등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공정을 배제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의 비개구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하부전극층, 반사전극층 및 상부전극층의 적층구조인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의 비개구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화소정의막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다수개 의 볼형 스페이서를 도포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소정의막을 형성한 이후에, 화소정의막상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화소정의막을 노광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형 스페이서를 도포한 이후에, 볼형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기판을 베이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것은 증착용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위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나의 단위화소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와 구동 트랜지스터(Tr2), 커패시터(40), 유기발광 다이오드(50)가 형성되어 신호에 따라 빛이 방출된다. 또한 게이트 라인(10)과 데이터 라인(20) 및 전원공급 라인(30)이 각 소자들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라인(10)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데이터 라인(20)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Tr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r2)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와 전원공급 라인(3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 즉 게이트와 소스간의 전압차에 의해 유기발광 다이오드(50)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40)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한 프레임 동안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투명절연기판(200)의 전면에 실리콘산화물을 플라즈마-강화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방법으로 소정 두께의 버퍼층(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버퍼층(210)은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비정질실리콘층의 결정화 공정 시 상기 투명절연기판(200) 내의 불순물이 확 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버퍼층(210) 상부에 반도체층인 비정질실리콘층(도시안됨)을 소정두께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비정질실리콘층을 ELA(Excimer Laser Annealing),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또는 MILC(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법 등을 사용하여 결정화하고, 사진식각공정으로 패터닝하여 단위 화소 내의 반도체층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2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막(SiO2), 실리콘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30) 상의 상기 반도체층 패턴의 채널영역(221)과 대응되는 일정영역에 게이트 전극(231)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231)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alloy), 몰리브덴(Mo) 및 몰리브덴 합금(Mo-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게이트전극(231)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층패턴(220)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220a 220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이온주입공정은 n+ 또는 p+ 불순물을 도펀트로 이용하여 실시된다.
다음으로, 전체표면 상부에 소정 두께의 층간절연막(24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막(240)은 실리콘산화막(SiO2), 실리콘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층간절연막(240) 및 게이트절연막(230)을 식각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영역(220a, 220b)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콘택홀을 포함한 전체표면 상부에 소오스/드레인 전극물질을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물질을 식각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영역(220a, 220b)에 접속되는 소오스/드레인전극(250a, 250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250a, 250b)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물질로는 Mo, W, MoW, AlNd, Ti, Al, Al 합금, Ag 및 Ag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단일층으로 형성하거나,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저항물질인 Mo, Al 또는 Ag의 2층 구조 또는 그 이상의 다중막 구조, 즉, Mo/Al/Mo, MoW/Al-Nd/MoW, Ti/Al/Ti, Mo/Ag/Mo 및 Mo/Ag-합금/M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적층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250a, 250b) 상부에는 절연막이 위치하고, 상기 절연막은 무기막(260), 유기막(270) 또는 그들의 이중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막 내의 비아홀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1전극층(280)이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전극층(280)은 배면발광형의 경우에는 투명전극으로, 전면발광형의 경우에는 반사형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이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투명전극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층(280)은 전면발광형의 경우에 하부전극층(280a), 반사전극층(280b) 및 상부전극층(280c)의 적층구조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전극층(280a)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전극층(280a)은 50 내지 100Å의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층(280a)의 두께가 50Å이하일 경우 균일도 확보가 어렵고, 100Å 이상일 경우 하부전극층 자체 스트레스 때문에 접착력이 약화된다.
상기 반사전극층(280b)은 Al, Al 합금, Ag 및 Ag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반사전극층(280b)의 두께는 900∼2000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두께가 900Å 이하인 경우 빛의 일부가 투과하게 되며, 1000Å 정도가 빛이 투과하지 않는 최소의 두께이다. 또한, 2000Å 이상일 경우 원가 측면이나 공정 시간 등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반사전극층(280b)은 광 반사 역할을 하여 휘도와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전극층(280c)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전극층(280c)의 두께는 50∼100Å으로 형성한다. 상기 상 부전극층(280c) 두께가 50Å이하일 경우 박막의 균일도를 보장할 수 없으며, 100Å이상일 경우 간섭효과로 인하여 블루 영역에서 특히 반사율이 10%∼15% 이상 낮아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전극(280)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은 화소정의막(pixel defined layer; 281)일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281)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소정의막(281)은 양성(positive) 재료물질 또는 음성(negative) 재료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성(positive) 재료물질의 경우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에서 빛을 조사받은 부분의 구조가 약해져(softening),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은 부분이 제거가 일어나는 물질이며, 상기 음성(negative) 재료물질의 경우 사진식각(photolithography)공정에서 빛을 조사받은 부분의 구조가 강해져(hardening),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지 않은 부분이 제거가 일어나는 물질이다.
이어서, 상기 화소정의막(281) 상에 제1전극의 일정영역을 노출시키고,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을 실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은 먼저, 새도우 마스크(282)를 사용하여 상기 화소정의막을 노광(expose)한다.
이때,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재료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4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도우 마스크(282)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물질이 양성(posi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개구부로 예정된 부분이 투과영역이고,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차단영역인 구조이며,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부로 예정되는 부분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빛을 조사받은 부분의 구조가 약해져(softening), 이후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은 개구부로 예정되는 영역이 제거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새도우마스크는 상기 화소정의막이 음성(nega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개구부로 예정된 부분이 차단영역이고,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투과영역인 구조이며, 상기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부 이외의 영역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빛을 조사받은 부분의 구조가 강해져(hardening), 이후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지 않은 개구부로 예정되는 영역이 제거가 일어나게 된다.
이어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새도우 마스크(282)에 의하여 화소정의막(281)을 노광(exposing)한 이후, 상기 화소정의막(281) 상에 볼형 스페이 서(290a)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볼형 스페이서(290a)를 도포하는 것은 스페이서 살포기(290)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볼형 스페이서(290a)를 도포한 이후, 이를 상기 화소정의막(28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크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크 공정은 50~200℃ 온도로 실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베이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현상(developing)공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공정을 수행하기 전에는 상기 볼형 스페이서가 화소정의막 상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공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상기 볼형 스페이서가 화소정의막 상에서 모두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베이크 공정을 실시한 후 현상(developing)공정을 수행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볼형 스페이서가 화소정의막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공정을 수행한 이후에도 여전히 상기 볼형 스페이서가 화소정의막 상에서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크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화소정의막을 현상하여, 화소정의막 상에 제1전극의 일정영역을 노출시키고, 발광영역을 정 의하는 개구부(281a)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화소정의막의 물질이 양성(posi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은 개구부로 예정되는 부분의 화소정의막이 제거되면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도 함께 제거되게 되며, 개구부 이외의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는 여전히 화소정의막 상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화소정의막이 음성(nega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현상 공정시 빛을 조사받지 않은 개구부로 예정되는 부분의 화소정의막이 제거되면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도 함께 제거되며, 개구부 이외의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는 여전히 화소정의막 상에 존재하게 된다.
이어서,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전극(280) 상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291)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유기막층(291) 상에 제2전극(292)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291)은 증착용 마스크를 구비한 증착 장치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때, 증착장치에 의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볼형 스페이서는 상기 증착용 마스크가 상기 화소정의막이 형성된 기판상에 밀착됨에 따른 증착용 마스크의 요철에 의하여 화소정의막 등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1전극의 상부에 화소정의 막을 형성하고, 새도우 마스크를 통하여, 개구부로 예정되는 영역 또는 개구부 이외의 영역을 노광한 후, 볼형 스페이서를 산포하고, 베이크 공정에 의하여 볼형 스페이서를 화소정의막 상에 고정시킨 후,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로 예정되는 부분을 현상함으로써, 개구부 이외의 영역에 볼형 스페이서를 위치시켜, 이에 의하여 증착용 마스크의 요철에 의한 화소정의막의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같은,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을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 패턴하는 공정을 배제하므로, 제1전극상에 스페이서 필름의 잔막이 남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층(291)은 발광층을 포함하며 그 외에 홀주입층, 홀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수송층을 형성하는 홀 수송성 물질로는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α-NPB},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홀수송층의 막두께는 10 내지 50nm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수송층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홀 주입 특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홀수송층에는 홀수송성 물질이외에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부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펀트로는 4-(디시아노메틸렌)-2-터트-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4-(dicyanomethylene)-2-t- 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DCJTB), 쿠마린6(Coumarin 6), 루브레네(Rubrene), DCM, DCJTB, 페닐렌(Perylene), 퀴나크리돈(Quinacridone) 등을 이용하며, 그 함량은 홀수송층 형성용 물질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홀수송층 형성시 도펀트를 부가하면, 발광색을 도펀트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홀수송층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여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주입층은 스타버스트(starbust) 아민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홀 주입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nm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주입층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홀 주입 특성이 불량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홀주입층을 통하여 대향전극과 홀수송층간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고, 애노드전극의 홀 수송능력이 향상시켜 소자의 특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층의 형성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CBP(4,4'-bis(carbazol-9-yl)-biphenyl)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층은 상술한 홀수송층과 마찬가지로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때, 도펀트 종류 및 함량은 홀수송층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며, 상기 발광층의 막두께는 10 내지 4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전자수송성 물질로는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e)-aluminium: Alq 3 ), Almq 3 을 이용하며, 상술한 홀수송층과 마찬가지로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더 함유하기도 한다. 이때, 도펀트 종류 및 함량은 홀수송층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며, 상기 전자수송층의 막두께는 30 내지 100nm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송층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율 저하 및 구동전압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발광층과 전자수송층 사이에는 홀 장벽층(HBL)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홀 장벽층은 인광발광물질에서 형성되는 엑시톤이 전자수송층으로 이동되는것을 막아주거나 홀이 전자수송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홀 장벽층 형성 재료로서 BAlq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은 LiF로 이루어진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의 두께는 0.1 내지 10nm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층의 두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구동전압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형성된 제2전극(292)은 배면발광형인 경우, 반사형으로 구성되며, 반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형성된 제2전극(292)은 전면발광형인 경우, 반투과 캐소드형 또는 반투과 캐소드 형성 후 투과형 캐소드형를 적층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반투과 캐소드형은 Li, Ca, LiF/Ca, LiF/Al, Al, Mg 및 M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이를 5 내지 30nm의 두께로 얇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반투과 캐소드 형성후 투과형 캐소드형 을 구성하는 방법은 일 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Mg 및 M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을 이용하여 반투과형 캐소드를 형성한 후 저저항 특성을 갖는 ITO, IZO(Indium Zinc Oxide)등을 이용한 막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만든다. 이때, 반투과 캐소드의 두께가 5nm미만인 경우에는 저전압에서 전자주입을 못하고 만약 반투과 캐소드의 두께가 30nm 이상인 경우에는 경우에는 투과율이 현저하게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반투과 캐소드와 투과형 캐소드를 합친 총두께는 10 내지 400nm의 두께가 적당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증착마스크에 의하여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위치하는 볼형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증착마스크의 요철에 의한 화소정의막 등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배제하므로, 스페이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사진공 정(photolithography)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스페이서 필름의 형성에 따른 재료비가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스페이서 필름의 패턴 공정을 배제하므로, 제1전극상에 스페이서 필름의 잔막이 남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의 비개구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 지고, 상기 제2전극은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사막의 상부에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인 투명전극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극은 Li, Ca, LiF/Ca, LiF/Al, Al, Mg 및 M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5 내지 30n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기판;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하부전극층, 반사전극층 및 상부전극층의 적층구조인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고, 개구부 및 비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화소정의막의 비개구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phenylenethers) resin) ,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층은 Al, Al 합금, Ag 및 Ag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TO(Tin Oxide) 및 ZnO(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층은 50∼100Å의 두께인 것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층은 900∼2000Å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층은 50∼100Å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5.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1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화소정의막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부에 다수개의 볼형 스페이서를 도포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의 상부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을 형성한 이후에, 화소정의막상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화소정의막을 노광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 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을 노광하는 공정은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상기 화소정의막이 양성(posi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개구부로 예정된 부분이 투과영역이고,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차단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 마스크는 상기 화소정의막이 음성(negative) 재료물질인 경우에는, 개구부로 예정된 부분이 차단영역이고, 개구부 이외의 영역이 투과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형 스페이서를 도포한 이후에, 볼형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기판을 베이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것은 증착용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도포하는 것은 스페이서 살포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70001027A 2007-01-04 2007-01-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27A KR100796618B1 (ko) 2007-01-04 2007-01-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271736A JP5026221B2 (ja) 2007-01-04 2007-10-18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096148038A TWI371855B (en) 2007-01-04 2007-12-1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2/006,666 US7834547B2 (en) 2007-01-04 2008-01-0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08250034A EP1942526A3 (en) 2007-01-04 2008-01-0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08100015069A CN101217185B (zh) 2007-01-04 2008-01-04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和制造该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27A KR100796618B1 (ko) 2007-01-04 2007-01-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618B1 true KR100796618B1 (ko) 2008-01-22

Family

ID=3921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6618B1 (ko) 2007-01-04 2007-01-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34547B2 (ko)
EP (1) EP1942526A3 (ko)
JP (1) JP5026221B2 (ko)
KR (1) KR100796618B1 (ko)
CN (1) CN101217185B (ko)
TW (1) TWI37185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6007A1 (en) * 2008-01-31 2009-08-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834547B2 (en) 2007-01-04 2010-11-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466459B2 (en) 2010-01-19 2013-06-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11887B2 (en) 2012-03-23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39127B1 (ko) * 2008-08-19 2017-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849577B1 (ko) * 2011-09-16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231824A (zh) * 2016-12-1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456A (ko) * 2004-05-25 2005-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2996B1 (ko) * 2004-12-31 2012-05-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10917B1 (ko) * 2008-07-17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427857B1 (ko) * 2008-08-01 2014-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05377B1 (ko) * 2009-06-16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상부발광 방식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185772B2 (en) * 2009-07-28 2015-11-10 Pioneer Corporation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8247253B2 (en) 2009-08-11 2012-08-21 Pixart Imaging Inc. MEMS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I396242B (zh) 2009-08-11 2013-05-11 Pixart Imaging Inc 微電子裝置、微電子裝置的製造方法、微機電封裝結構及其封裝方法
KR101699911B1 (ko) * 2010-04-05 2017-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275862B (zh) * 2010-06-11 2014-10-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微机电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WO2012046280A1 (ja) * 2010-10-07 2012-04-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1784994B1 (ko) * 2011-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0954B1 (ko) * 2012-01-19 2018-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1982073B1 (ko) * 2012-10-12 2019-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85050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839974B (zh) * 2014-03-12 2016-05-25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Woled、woled制作方法及woled驱动方法
US9508778B2 (en) * 2014-04-25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4882463A (zh) * 2015-05-06 2015-09-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背板结构
CN105118836B (zh) * 2015-07-29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导电平坦层的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
CN105355646B (zh) * 2015-11-13 2019-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5679796A (zh) * 2016-01-20 2016-06-15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及制备方法
JP2017102462A (ja) * 2016-12-22 2017-06-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CN106782308B (zh) * 2017-02-10 2020-05-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补偿功能的有机发光电路结构
KR102293372B1 (ko) * 2017-05-22 2021-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394056B (zh) * 2017-07-25 2019-04-30 南京迈智芯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硅基发光器件电极结构及其制备工艺
CN108155217A (zh) * 2017-12-25 2018-06-12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7414730B2 (ja) * 2018-11-20 2024-01-1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2732482B1 (ko) * 2018-12-05 2024-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다환 화합물
US10950809B2 (en) * 2018-12-21 2021-03-1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photoresist supporting element
CN111969121B (zh) * 2019-05-20 2024-06-25 乐金显示有限公司 发光显示装置
US11043650B2 (en) * 2019-05-28 2021-06-2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165079B (zh) * 2019-05-29 2020-08-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TWI721736B (zh) * 2019-12-27 2021-03-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半導體基板
CN111430571A (zh) * 2020-04-09 2020-07-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CN112038357B (zh) * 2020-08-31 2024-10-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备方法
KR20220033650A (ko) * 2020-09-09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45756A (ko) * 2020-10-06 2022-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952A (ja) 1996-11-27 1998-06-19 Sharp Corp 薄膜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91045A (ko) * 2002-05-24 2003-12-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2003347041A (ja) 2002-05-22 2003-12-05 Casio Comput Co Ltd 発光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0296A (ko) * 2003-09-25 2005-03-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구동형 평판표시장치
KR20060037162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882B2 (ja) 1994-03-30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06879A (ja) * 1999-06-22 2001-01-12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装置
JP3809758B2 (ja) * 1999-10-28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01045140A2 (en) * 1999-12-17 2001-06-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ion for organic led device
US7394153B2 (en) * 1999-12-17 2008-07-0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ncapsulation of electronic devices
TWI222839B (en) * 1999-12-17 2004-10-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ethod for encapsulation of electronic devices
JP2002208484A (ja) * 2001-01-12 2002-07-26 Tohoku Pioneer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8813B2 (ja) * 2001-06-12 2008-04-23 ソニー株式会社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JP2003059671A (ja) * 2001-08-20 2003-02-28 Sony Corp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1232B2 (ja) * 2002-03-05 2003-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4047458A (ja) 2002-05-24 2004-02-1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4031262A (ja) * 2002-06-28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04192935A (ja) 2002-12-11 2004-07-08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7026658B2 (en) * 2003-03-13 2006-04-11 Samsung Sdi, Co., Ltd. Electrical conductors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5011793A (ja) 2003-05-29 2005-01-13 Sony Corp 積層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構造、表示素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4489472B2 (ja) * 2004-03-19 2010-06-2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4879541B2 (ja) * 2004-09-29 2012-02-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の作製方法
US7753751B2 (en) 2004-09-29 2010-07-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KR100683695B1 (ko) 2004-11-11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US7459850B2 (en) * 2005-06-22 2008-12-0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spacers
KR100718152B1 (ko) 2006-02-1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2591A (ja) * 2006-03-08 2007-09-20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3546B1 (ko) 2007-01-03 2008-0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96618B1 (ko) 2007-01-04 2008-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952A (ja) 1996-11-27 1998-06-19 Sharp Corp 薄膜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7041A (ja) 2002-05-22 2003-12-05 Casio Comput Co Ltd 発光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91045A (ko) * 2002-05-24 2003-12-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050030296A (ko) * 2003-09-25 2005-03-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구동형 평판표시장치
KR20060037162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4547B2 (en) 2007-01-04 2010-11-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086007A1 (en) * 2008-01-31 2009-08-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9182320A (ja) * 2008-01-31 2009-08-1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39839B2 (en) 2008-01-31 2011-10-18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739127B1 (ko) * 2008-08-19 2017-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8466459B2 (en) 2010-01-19 2013-06-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49577B1 (ko) * 2011-09-16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111887B2 (en) 2012-03-23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31824A (zh) * 2016-12-16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08231824B (zh) * 2016-12-16 2024-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7185A (zh) 2008-07-09
TWI371855B (en) 2012-09-01
JP5026221B2 (ja) 2012-09-12
EP1942526A2 (en) 2008-07-09
EP1942526A3 (en) 2009-05-27
CN101217185B (zh) 2013-07-31
JP2008166258A (ja) 2008-07-17
TW200830547A (en) 2008-07-16
US7834547B2 (en) 2010-11-16
US20080180024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61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413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756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064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169001B1 (ko) 증착장치의 증착용 기판, 상기 증착용 기판을 사용한 성막 방법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95705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71605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082164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85022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02142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68540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79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3562B1 (ko) 패드부,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7001472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05530A (ko) 증착장치의 증착용 기판, 상기 증착용 기판을 사용한 성막 방법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20129507A (ko) 주울 가열을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지장치의 제조방법
KR10142990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20031382A (ko) 봉지박막 및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85423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85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885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