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386B1 -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 Google Patents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7386B1 KR100777386B1 KR1020060050696A KR20060050696A KR100777386B1 KR 100777386 B1 KR100777386 B1 KR 100777386B1 KR 1020060050696 A KR1020060050696 A KR 1020060050696A KR 20060050696 A KR20060050696 A KR 20060050696A KR 100777386 B1 KR100777386 B1 KR 100777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wall
- shelf
- soil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블록과 선반블록들을 적층하여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 및 간극에 최대한 많은 량의 식생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외벽 전체에 다양한 품종의 식물이 조화롭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서 녹화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ll the maximum amount of vegetation soil in a plurality of spaces and gaps partitioned in a grid by stacking the fixed block and shelf blocks, the plant of various varieties can be harmoniously and healthy growth throughout the outer wall It is to provide an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greatly improves the greening quality.
본 발명의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는 기 시공된 외벽의 하단부를 따라 기초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의 상부에는 횡방향의 등간격마다 외벽과 대접되도록 층층이 적층되는 고정블록들 사이에 외벽과 간극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선반블록들을 조립 설치하며, 상기 고정블록들과 상기 선반블록들로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 및 간극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식생토양을 채우고, 상기 기초를 지반 토사로 덮어서 매립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선반블록들은 각각 그 후방측에 양단을 남겨두고 상하로 트여지는 절개부를 가져서, 상기 고정블록들과 선반블록들로서 구획된 공간 및 간극에 식생토양을 채울 때에, 개개의 선반블록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하여 더 많은 량의 식생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oundation along the lower end of the pre-installed outer wall, the outer wall and the gap between the fixed blocks in which the layer layer is laminated so as to be welded to the outer wall at equal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helf blocks are assembled and installed so as to form a space, and the vegetation soil is filled so as to b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paces and gaps partitioned in a lattice shape as the fixed blocks and the shelf blocks, and the foundation is covered with land soil to be embedded. The shelf blocks each have an incision opening up and down, leaving both ends at their rear sides, so as to fill vegetation soil in the spaces and gaps partitioned as the fixed blocks and shelf blocks, formed in the individual shelf blocks. The incision allows for more vegetation soils to be filled.
Description
도1은 종래기술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을 개략도로 나타낸 것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ll recording system of a conventional building.
도2는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포트 박스를 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 box constituting the prior art
도3은 본 발명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블록들과 선반블록들을 적층 조립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block and the shelf block laminated assembly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녹화한 상태를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5a and 5b a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record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관수설비의 관수유닛을 부분 발췌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6a and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extract of the irrigation unit of the irrigation equipm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블록들과 선반블록들을 적층 조립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Figure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blocks and the shelf blocks laminated assembly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녹화한 상태를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8a and 8b a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record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기초 10a: 기초블록 11: 홈부10:
20: 고정블록 21: 경사고정부 22: 걸림턱20: fixed block 21: inclined fixing part 22: locking jaw
23: 수직구멍 24: 고정핀 30: 선반블록23: vertical hole 24: fixing pin 30: shelf block
31: 절개부 32: 수평끼움부 33: 경사부31: cutout portion 32: horizontal fitting portion 33: inclined portion
40: 식생토양 50: 지반 토사 60: 정착용 블록40: vegetation soil 50: ground soil 60: settlement block
70: 관수설비 A: 식물 S: 공간70: irrigation system A: plant S: space
C: 간극C: gap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을 식물로 녹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외벽에 최적의 식물 생육환경을 조성하여서 다양한 품종의 식물이 조화롭고 건강하고 생육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reen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with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a building in which plants of various varieties are harmonized, healthy and grown by creating an optimal plant growth environment on the outer wall. .
공동주택, 빌딩, 공장 등의 건축물의 외벽은 콘크리트 또는 금속과 같이 단조롭고 투박한 소재로 하여 획일적으로 시공되어서 도심지의 경관을 삭막하게 하는 요인이 되는 바, 최근에 도심지의 경관을 개선하는데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축물의 외벽을 녹화하기 위한 기술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다.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such as multi-unit houses, buildings, and factories are made of monotonous and crude materials such as concrete or metal, which are uniformly constructed, causing the landscape of the downtown to be cut off. Techniques for greening the exterior walls of building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이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을 녹화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공보 공개번호 특2003-0073198(2003.09.19일 공개)에는 건축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이 선출원 공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record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a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wall of the building is disclosed in the prior application in the domestic publication No. 2003-0073198 (published on September 19, 2003).
이 건축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은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구획되어 흙이 채워지는 상부 격실(1a)과 물이 채워지는 하부 격실(1b)에 걸쳐서 심지(2)가 삽입되며 벽면(W)에 고정수단으로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1), 다수의 포트 박스(1)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배관(3), 옥상에 설치되며 제1배관(3)을 통하여 최상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1)의 하부 격실(1b)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 동작되는 제1전자밸브(4a)를 갖는 보조탱크(4), 상기 보조탱크(4)와 제2배관(5)으로 연결되며 그 보조탱크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 동작되는 급수펌프(6a)를 갖는 주 탱크(6), 상기 보조탱크(4)와 최하부에 위치한 포트 박스(1) 내의 하부 격실(1b)에 각각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7)(8)들로 구성되었다.In the wall recording system of this buildin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와 같은 건축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은 유기적으로 설치된 급수계통을 통하여 벽면(W)에 설치되는 다수의 포트 박스(1)의 하부 격실(1b)에 물을 적절히 공급하고, 개개의 포트 박스(1)의 하부 격실(1b)에 공급된 물은 다시 심지(2)에 의하여 상부 격실(1a)에 채워진 흙에 공급되도록 한 구성으로, 개개의 포트 박스(1) 내의 상부 격실(1a)에 채워진 흙에 식물(9)을 식재하여서 벽면(W)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wall greening system of such a building properly supplies water to the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의 벽면 녹화시스템은 첫째, 개별화된 다수의 포트 박스(1)를 벽면(W)에 군데군데 설치하여 식물(9)을 식재하게 되므로, 벽면(W) 전체를 균일하게 녹화하지 못하고 부분적인 녹화로 만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wall recording system of the conventional building, first, a plurality of
둘째, 개개의 포트 박스(1)의 내부에 구획되어 충분한 량의 흙을 수용하기 곤란한 상부 격실(1a)에 식물(9)을 식재하게 되므로, 초피류와 같이 뿌리가 가녀린 품종의 식물(9)은 식재된 후 별다른 문제없이 성장할 수 있지만, 관목류와 같이 뿌리가 굵고 왕성한 품종의 식물(9)은 식재 후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하여 성장속도가 늦고 심한 경우에는 고사하게 되어서, 벽면(W)을 다양한 품종의 식물(9)로 조화롭고 건강하게 녹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since the
삭제delete
본 발명은 고정블록과 선반블록들을 적층하여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 및 간극에 최대한 많은 량의 식생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외벽 전체에 다양한 품종의 식물이 조화롭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서 녹화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ll the maximum amount of vegetation soil in a plurality of spaces and gaps partitioned in a grid by stacking the fixed block and shelf blocks, the plant of various varieties can be harmoniously and healthy growth throughout the outer wal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reen wall record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greening quality.
본 발명도 기 시공된 외벽(100)의 하단부를 따라 기초(1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10)의 상부에는 횡방향의 등간격마다 외벽(100)과 대접되도록 층층이 적층되는 고정블록(20)들 사이에 외벽(100)과 간극(C)을 두고 공간(S)이 형성되도록 선반블록(30)들을 조립 설치하며,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상기 선반블록(30)들로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식생토양(40)을 채우고, 상기 기초(10)를 지반 토사(50)로 덮어서 매립되도록 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는 도3 내지 도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반블록(30)들은 각각 그 후방측에 양단을 남겨두고 상하로 트여지는 절개부(31)를 가져서,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로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에 식생토양(40)을 채울 때에, 개개의 선반블록(30)에 형성된 절개부(31)를 통하여 더 많은 량의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stalls the
However, the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5b, the shelf blocks 30 each have a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상기 기초(10)는 기 시공된 외벽(100)의 하단부를 따라 터파기한 후 다짐한 바닥에 수평하게 설치하여서, 그 기초의 상부에 층층이 적층되는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기초(10)는 그 상부에 최하층의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을 적층시켜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에 식생토양(40)을 채운 상태에서, 최하층의 선반블록(30)의 하부까지 되메우기 되는 지반 토사(50)로 덮어서 매 립되도록 한다.And, the
또, 상기 기초(10)는 도3 및 도5b에서와 같이, 그 상부면 후방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상기 고정블록(20)들의 저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는 복수개의 홈부(11)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기초(10)의 홈부(11)마다 위치하도록 최하층의 고정블록(20)들을 횡배열하여서, 그 최하층의 고정블록(20)들의 하단을 홈부(11)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3 and 5b, the
여기에서, 상기 기초(10)는 복수개의 기초블록(10a)을 연결하여서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기초(10)는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Here, the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상기 선반블록(30)들은 도3에서와 같이, 상기 기초(10)의 상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이르기까지 교대로 적층 조립되어서, 녹화 대상의 외벽(100)에 식물(A)을 고르게 식재할 수 있는 격자형 조립틀을 이루게 된다.The
도4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블록(20)들은 각각 상하면이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경사고정부(21)의 상부측 후단에 그 전면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단차지게 돌출되는 걸림턱(22)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선반블록(30)들은 각각 상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평판형 블록본체(30a)로 이루어져서, 층층이 외벽(100)과 대접되도록 적층되는 고정블록(20)들의 경사고정부(21)에 상기 선반블록(30)들의 평판형 블록본체(30a) 양단이 걸어 물리게 하되, 상기 고정블록(20)들의 걸림턱(22)에 상기 선반블록(30)들의 평판형 블록본체(30a) 양측 후단 이 대접되도록 끼워 맞춰서, 상기 고정블록(20)들 사이에 걸림턱(22)의 폭만큼 외벽(100)과 간극(C)을 두고 공간(S)이 형성되도록 선반블록(30)들을 조립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each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5a 및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상기 선반블록(30)들로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로서 식생토양(40)을 채워서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개개의 공간(S)에 채워진 식생토양(40)에 식물(A)을 식재하여 생육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블록(20)들로서 평판형 블록본체(30a)로 이루어진 선반블록(30)들이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개개의 공간(S)에 채워지는 식생토양(40)과 함께 식재된 식물(A)이 흘러내려서 유실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이점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through the space (S) and the gap (C) partitioned in the grid form as the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20)들은 그 각각의 걸림턱(22)에 적어도 1개이상 뚫어지는 수직구멍(23)을 가져서, 상하로 적층된 고정블록(20)들 상호간이 연통되는 수직구멍(23)을 통하여 끼워지는 고정핀(24)으로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고정블록(20)들의 중간 중간에는 도5b에서와 같이, 그 고정블록과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후면 중간에 상하방향으로 트여지는 구속홈부(61)를 가지는 정착용 블록(60)들을 위치시키고, 외벽(100)에 설치된 앵커(110)를 상기 정착용 블록(60)의 구속홈부(61)에 끼우고 몰탈(62)을 채워서, 외벽(100)에 일체로 정착되는 정착용 블록(60)들로서 상기 고정블록(20)들이 적층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Here, in the middle of the
그리고, 상기 선반블록(30)들은 각각 그 후방측에 양단을 남겨두고 상하로 트여지는 절개부(31)를 가져서,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로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에 식생토양(40)을 채울 때에, 개개의 선반블록(30)에 형성된 절개부(31)를 통하여 보다 많은 량의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게 되므로, 식물(A)이 더욱 왕성히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뿌리가 가녀린 초피류 및 덩굴류나 뿌리가 굵고 왕성한 관목류 등 품종에 구애됨이 없이 식물(A)를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도3에는 최상층의 공간(S) 및 간극(C)에 채워진 식생토양(40)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71)로부터 연장되며 제어밸브(72)가 장착된 급수라인(73)을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기 급수라인(73)에 1열씩 수직으로 길게 연결되며 식생토양(40) 내에 각각 매립되도록 복수개의 관수유닛(74)들을 설치하여서 된 관수설비(70)가 예시되어 있다.3 shows a
이 관수설비(70)는 갈수기에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로서 구획된 개개의 공간(S) 및 간극(C)에 채워진 식생토양(40)에 물을 적절히 공급하여서, 개개의 공간(S)에 채워진 식생토양(40)에 식재된 식물(A)이 수분을 흡수하여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관수유닛(74)은 도6a에서와 같이, 상기 급수라인(73)과 연통되도록 배관되는 유공관(74a)이 될 수도 있고, 상기 관수유닛(74)은 도6b에서와 같이, 상기 급수라인(73)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투수성 심재(74b)가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Here, the
한편,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블록(20)들은 각각 상하면이 편평한 수평고정부(25)의 상부측 후단에 그 전면이 직각을 이루면서 단차지게 돌출되는 걸림턱(26)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선반블록(30)들은 각각 폭방향의 중간부를 경계로 후방에는 수평끼움부(32)를 전방에는 상향 경사지는 경사부(33)를 가지도록 형성된 절곡형 블록본체(30b)로 이루어져서, 상하로 적층되는 고정블록(20)들의 수평고정부(25)에 상기 선반블록(30)들의 절곡형 블록본체(30b)에 형성된 수평끼움부(32) 양단이 걸어 물리게 하되, 상기 고정블록(20)들의 걸림턱(26)에 상기 선반블록(30)들의 절곡형 블록본체(30b)에 형성된 수평끼움부(32) 양측 후단이 대접되도록 끼워 맞춰서, 상기 고정블록(20)들 사이에 걸림턱(26)의 폭만큼 외벽(100)과 간극(C)을 두고 공간(S)이 형성되도록 선반블록(30)들을 조립 설치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8a 및 도8b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상기 선반블록(30)들로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을 통하여 상하로 연결되도록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게 되므로, 개개의 공간(S)에 채워진 식생토양(40)에 식물(A)을 식재하여 생육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블록(20)들로서 절곡형 블록본체(30b)로 이루어진 선반블록(30)들을 조립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개개의 공간(S)에 채워지는 식생토양(40)과 함께 식재된 식물(A)이 흘러내려서 유실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이점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a and 8b, through the space (S) and the gap (C) partitioned in a grid form as the
그리고, 상기 선반블록(30)들은 각각 그 후방측에 양단을 남겨두고 상하로 트여지는 절개부(31)를 가져서, 상기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로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에 식생토양(40)을 채울 때에, 개개의 선반블록(30)에 형성된 절개부(31)를 통하여 보다 많은 량의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게 되므로, 식물(A)이 더욱 왕성히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뿌리가 가녀린 초피류 및 덩굴류나 뿌리가 굵고 왕성한 관목류 등 품종에 구애됨이 없이 식물(A)를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고정블록(20)들의 수평고정부(25) 상면에 폭방향으로 홈부(25a)를 형성하며, 상기 선반블록(30)들의 절곡형 블록본체(30b)에 형성되는 수평끼움부(32) 양단 하면에 폭방향으로 홈부(32a)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20)들의 수평고정부(25)에 상기 선반블록(30)들의 절곡형 블록본체(30b)에 형성되는 수평끼움부(32) 양단이 걸쳐져서 서로 맞물리는 홈부(25a)(32a)에 구속핀(P)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블록(20)들 사이에 절곡형 블록본체(30b)로 이루어진 선반블록(30)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는 외벽(100)에 기초(10)로 지지되도록 고정블록(20)들과 선반블록(30)들을 층층이 적층하여 구획된 공간(S) 및간극(S)을 통하여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선반블록(30)의 후방측에 양단을 남겨두고 상하로 트여져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공간(S) 및 간극(C)에 더 많은 량의 식생토양(40)을 채울 수 있는 절개부(31)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블록(20)과 선반블록(30)들로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S) 및 간극(C)에 최대한 많은 량의 식생토양(A)을 채울 수 있게 됨으로써, 첫째 식재된 식물(A)이 더욱 왕성히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서, 외벽(100) 전체를 더욱 풍성하게 녹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뿌리가 가녀린 초피류 및 덩굴류나 뿌리가 굵고 왕성한 관목류 등 품종에 구애됨이 없이 식물(A)를 생육할 수 있게 하여서, 외벽(100) 전체를 다양한 식물로 균일하게 녹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fill the maximum amount of vegetation soil (A) in the plurality of spaces (S) and the gap (C) partitioned in a grid as the fixed
Second, it is possible to grow plants (A) without regard to varieties, such as vines and vines with thin roots and thick, vigorous shrubs, and has the advantage of uniformly recording the ent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는 블록 적층식으로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간 및 간극에 최대한 많은 량의 식생토양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재된 식물이 더욱 왕성히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생육될 수 있게 하여 외벽 전체를 더욱 풍성하게 녹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피류나 관목류 등 품종에 구애됨이 없이 식물을 생육하게 하여 외벽 전체를 다양한 식물로 균일하게 녹화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uter wall green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ll the maximum amount of vegetation soil in a large number of spaces and gaps partitioned in a lattice form in a block stacked manner, the planted plants more vigorously It is not only able to record the entire outer wall more richly by lowering the roots and growing healthy, but also to record the entire outer wall uniformly with various plants by growing the plants without regard to varieties such as vinegar or shrubs. It is an invention which has useful effects, such as thes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50696A KR100777386B1 (en) | 2006-06-07 | 2006-06-07 |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50696A KR100777386B1 (en) | 2006-06-07 | 2006-06-07 |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77386B1 true KR100777386B1 (en) | 2007-11-29 |
Family
ID=390800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506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7386B1 (en) | 2006-06-07 | 2006-06-07 |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7738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7800B1 (en) | 2007-12-21 | 2008-06-13 |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 Prefabricated ecological sculptu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8876A (en) | 2000-06-05 | 2001-12-21 | Heihachi Hayashi | Earth retaining structure with insertion replaceable/ planting box |
| KR100402843B1 (en) | 2001-03-29 | 2003-10-30 | 김상수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JP2005160381A (en) | 2003-12-02 | 2005-06-23 | San Rail:Kk | Wall greening equipment |
| JP2006042775A (en) | 2004-08-03 | 2006-02-16 | Yasutomo Kitada | Three-dimensional plant growth apparatus using plant culture container |
| JP2006129846A (en)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Planting block tray for wall greening equipment |
-
2006
- 2006-06-07 KR KR1020060050696A patent/KR1007773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8876A (en) | 2000-06-05 | 2001-12-21 | Heihachi Hayashi | Earth retaining structure with insertion replaceable/ planting box |
| KR100402843B1 (en) | 2001-03-29 | 2003-10-30 | 김상수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JP2005160381A (en) | 2003-12-02 | 2005-06-23 | San Rail:Kk | Wall greening equipment |
| JP2006042775A (en) | 2004-08-03 | 2006-02-16 | Yasutomo Kitada | Three-dimensional plant growth apparatus using plant culture container |
| JP2006129846A (en)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Planting block tray for wall greening equipment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7800B1 (en) | 2007-12-21 | 2008-06-13 |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 Prefabricated ecological sculptu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96738B1 (en) | Flower pot for wall afforestation and the vertical garden system for wall afforestation using the same | |
| JP2004248533A (en) | Planting green wall | |
| KR101033876B1 (en) | Wall front green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1187406B1 (en) | Moss panel and method for greening artificia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 KR200439588Y1 (en) | Prefabricated block for river greening | |
| KR100777386B1 (en) | Exterior wall greening structure of building | |
| KR101187407B1 (en) | Wall-greening apparatus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472023B1 (en) | wall-greening system | |
| KR101029317B1 (en) |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 |
| KR101638985B1 (en) | Prefabricated planting module | |
| KR200442424Y1 (en) | Retaining Wall Block for Vegetation | |
| KR100853728B1 (en) | Prefabricated Wall Recording Equipment | |
| KR101141197B1 (en) | A vertical garden using a expanded metal that is established at old-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 |
| KR100765341B1 (en) | Green wall structure | |
| KR101046650B1 (en) | Planting structure, Revetment having the Planting structure and building method of the Revetment | |
| JPH08120693A (en) | Retaining wall | |
| KR101012655B1 (en) |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 |
| JP2007303251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greening accelerating retaining wall and bypass member used in the method | |
| KR100938140B1 (en) | Structure for cut slope of mine area and method | |
| KR20030073197A (en) | Pot box for structure gree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ystem | |
| KR100619528B1 (en) | Prefabricated Flower Bed for Building Complex | |
| JP4606980B2 (en) | Greening retaining wall block | |
| KR200324831Y1 (en) | Retaining Wall for Planting | |
| KR101041683B1 (en) | Vegetation Constru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
| KR102045006B1 (en)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5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77386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112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1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