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731385B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385B1
KR100731385B1 KR1020050070260A KR20050070260A KR100731385B1 KR 100731385 B1 KR100731385 B1 KR 100731385B1 KR 1020050070260 A KR1020050070260 A KR 1020050070260A KR 20050070260 A KR20050070260 A KR 20050070260A KR 100731385 B1 KR100731385 B1 KR 10073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 region
video signal
virtu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5732A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385B1/en
Priority to CNA200610107950XA priority patent/CN1909624A/en
Publication of KR2007001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38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도로 한정된 포화영역 및 컷오프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전의 컨트라스트 값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높게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높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which can adjust brightness and contrast in a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a cutoff region to a minimum, and as a contrast value higher than a previous contrast value is newly set, A first step of 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saturation region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contrast in advance; 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when a video signal is input; 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step of increasing the contrast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high contrast value; And a fourth step of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reducing contrast when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영상표시기기, 영상, 컨트라스트, 브라이트니스, 포화, 컷오프 Video Display, Video, Contrast, Brightness, Saturation, Cutoff

Description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 및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ast/brightness}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ast and brightness

도 1a는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에서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특성을 나타낸 도면.1A is a view showing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in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도 1b는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의 조절 특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st in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3에서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특성도.FIG. 6A is a signal characteris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FIG. 3. FIG.

도 6b는 도 4에서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특성도.6B is a signal characteris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FIG. 4.

도 6c는 도 5에서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신호 특성도.FIG. 6C is a signal characteris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FIG. 5;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텔레비젼 수상기 101: 튜너100: TV receiver 101: Tuner

102: 복조부 103, 111: A/D 변환부102: demodulation section 103, 111: A / D conversion section

104: 디멀티플렉서 105: 오디오 디코더104: demultiplexer 105: audio decoder

106: 비디오 디코더 107: 스피커106: video decoder 107: speaker

108: 오디오 처리부 109: 증폭기108: audio processor 109: amplifier

110: 디스플레이부 111: 영상 처리부110: display unit 111: image processing unit

112: 제어부112: control unit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등과 같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소한도로 한정된 포화(saturation}영역 및 컷오프(cut-off)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at can adjust brightness and contrast in a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a cut-off region. will be.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이나 오디오 등 여러 형태의 정보를 결합하는 멀티미디어 분야까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어 컴퓨터, 방송, 가전, 통신 등 점차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ultimedia field combining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such as video and audio has become a digital form of information storage and existence in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PEG technology, which is a compression standard for moving picture data for compressing digital video data that requires relatively large amounts of data, the size of digital video data is gradually getting smaller. Digital video and audio services have been provided in all fields, and digital devices for providing such services have emerged.

그 중 방송, TV는 일상 생활에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힘입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등장으로 더욱 많은 방송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생생한 음향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0107571 호(공개일자 : 2004.12.23)에는 디지털 휘도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의 브라이트니스 및/또는 컨트라스트를 자동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와, 하나의 프레임의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 중 기 설정된 포화구간을 초과하는 레벨을 갖는 디지털 휘도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컨트라스트 레벨을 증가시키고, 하나의 프레임의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 중 상기 포화구간에 속하는 레벨을 갖는 디지털 휘도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트라스트 레벨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휘도신호 및 상기 색차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를 구비한다.Among them, broadcasting and TV occupy an important place as an easy and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um in daily life, and thanks to the digital technology described above, video data and audio data are compressed and transmitted by MPEG technology, thereby add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ith the advent of digital TV, which can provide fast and reliable, more broadcasts can be easily enjoyed at home with clearer picture quality and more vivid sound. 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for providing clear image quality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07571 (published date: Dec. 23, 2004) discloses brightness and / or contrast of a screen based on a digital luminance signal. It is proposed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signal into a digital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dif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the digital luminance signal having a level exceeding a predetermined saturation period among the digital luminance signals of one frame.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contrast level if present and reducing the contrast level if there is no digital luminance signal having a level belonging to the saturation period among the digital luminance signals of one frame; And a frame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igital luminance signal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은 화면상태 조절 방식에 따라 TV 등의 영상 화면을 조절하려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소정의 조절 패턴에 맞추어 버튼을 눌러서 화면상태를 조절하여야 한다. 이렇게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경우, 브라이트니스나 컨트라스트의 조절시 그 증가의 한계치가 되는 포화영역이 매우 넓어지고, 또한 브라이트니스의 조절시 그 감소의 한계치가 되는 컷오프영역이 매우 넓어진다.In order to adjust a video screen such as a TV according to the screen condition adjus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ust adjust the screen state by pressing a butt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pattern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When the brightness and contrast are adjusted in this way, the saturation region, which is the limit of the increase in the adjustment of the brightness and the contrast, becomes very wide, and the cutoff region, which is the limit of the decrease in the adjustment of the brightness, becomes very wide.

도 1a는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에서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특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브라이트니스의 증감에 따라 포화영역과 컷오프영역이 증감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A is a view illustrating adjustment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in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aturation region and a cutoff region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a horizontally moving brightness.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상태의 한 요소인 브라이트니스는 1차 함수에서 상수값에 해당하기 때문에, 증감시 입력축과 출력축으로 이루어진 좌표 평면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브라이트니스가 최대로 증가될 경우, 포화영역은 출력축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또한 브라이트니스가 최소로 감소될 경우, 포화영역은 입력축까지 확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since brightness of one element of an image state display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a constant value in a first order function, the brightness is moved horizontally on a coordinate plane composed of an input axis and an output axis during increase and decrease. Have Accordingly, when the brightness is increased to the maximum, the saturation region can be expanded to the output axis, and when the brightness is reduced to the minimum, the saturation region can be extended to the input axis.

따라서, 브라이트니스 증감의 한계치가 되는 포화영역과 컷오프영역이 넓게 확대될수록, 브라이트니스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s the saturation region and the cutoff region, which are the limits of brightness increase and decrease, are wid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ightness becomes worse.

도 1b는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의 조절 특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기울기 변화를 갖는 컨트라스트의 증감에 따라 포화영역이 증감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B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characteristic of contrast in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aturation region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increase or decrease of contrast having a change in slope.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상태의 한 요소인 컨트라스트는 1차 함수에서 기울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증감시 입력축과 출력축으로 이루어진 좌표 평면 상에서 기울기가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컨트라스트가 최대로 증가될 경우, 포화영역은 출력축까지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라스트 증감의 한계치가 되는 포화영역이 넓게 확대될수록, 컨트라스트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B, since the contrast, which is an element of the image stat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a slope in the linear function, the slope is changed on the coordinate plane formed by the input axis and the output axis during increase and decrease. Accordingly, when the contrast is maximized, the saturation region can be extended to the output axis. As a result, the wider the saturation region that becomes the limit of contrast increase and decrease, the worse the contra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도로 한정된 포화영역 및 컷오프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which can adjust brightness and contrast in a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a cutoff reg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도로 한정된 포화영역 및 컷오프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함으로써,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가 좋아지도록 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which can improve brightness and contrast by interlocking and adjusting brightness and contrast in a saturation region and a cutoff region that are limited to a minimu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의 설정을 제어하고,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출력하되,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과 한정 컷오프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 처리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contrast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nd adjust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ast value and brightness value set by the control means and outputs the contrast to the display means. And image processing means for adjusting.

본 발명은, 이전의 컨트라스트 값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높게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높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trast value higher than the previous contrast value is newly set, a first step of pre-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contrast of the video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when a video signal is input; 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step of increasing the contrast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high contrast value; And a fourth step of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reducing contrast when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본 발명은, 이전의 브라이트니스 값보다 높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높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step of pre-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saturation region generated when a brightness value of a video signal is adjusted as a brightness value higher than a previous brightness value is newly set; 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when a video signal is input; 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step of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high brightness value; And a fourth step of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reducing contrast when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본 발명은, 이전의 브라이트니스 값보다 낮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컷오프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소정의 한정 컷오프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 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지 않으면, 낮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pre-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cutoff area generated when adjusting a brightness of a video signal is set as a brightness value lower than a previous brightness value is newly set; 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cutoff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limited cutoff area when an image signal is input; A third step of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lower brightness value if the virtual cutoff area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 fourth step of reducing the contrast of the input video signal when the virtual cutoff area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의 구성도로서,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다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을 튜닝하기 위한 튜너(101)와, 튜너(10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102)와, 복조부(102)에 의해 복조된 아날로그의 방송신호를 디지털 방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103)와, A/D 변환부(10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오디오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04)와, 디멀티플렉서(104)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105)와, 디멀티플렉서(104)에 의해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106)와, 오디오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7)와, 오디오 디코더(105)에 의해 디코딩된 중간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를 기저대역의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108)와, 오디오 처리부(108)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의 전기신호를 증 폭시켜 스피커(107)로 출력하는 증폭기(10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elevision recei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101 for tuning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received through different frequencies from a plurality of broadcast stations, and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101. A demodulation unit 102 for demodulating a signal, an A / D conversion unit 103 for converting an analog broadcast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ion unit 102 into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an A / D conversion unit 103. Demultiplexer 104 for separating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converted by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n audio decoder 105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separated by the demultiplexer 104, and a demultiplexer 104 A baseband of a video decoder 106 for decoding the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 RTI ID = 0.0 > And audio processing unit 108 for converting into an electric signal, the electric signal by the width of the baseband output from the audio processing unit 108 increases and a amplifier 109 to output to a speaker 107.

그리고,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각종 영상 및 OSD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0)와, 비디오 디코더(10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키되, 소정의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111)와, 리모콘(미도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채널튜닝명령에 따라 튜너(101)의 채널 튜닝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을 영상 처리부(111)에 설정하여 주고, 영상 처리부(111)의 영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2)를 구비한다.The television recei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various images and OSD information and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video decoder 106 to the display unit 110, and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Controls channel tuning of the tuner 101 according to a channel tuning command input through an image processing unit 111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of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a contrast value and a brightness value, and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And a contrast value and a brightness value input by the user to the image processor 111, and a controller 112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of the image processor 111.

영상 처리부(111)는 제어부(112)에 의해 설정되는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영상신호를 조절하되,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 첨부된 흐름도와 신호 특성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The image processor 111 adjusts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ast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set by the controller 112, and controls the contrast and the brightness in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Th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lowchart and signal characteristics.

제어부(112)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컨트라스트 값 및 브라이트니스 값을 입력하면, 입력된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을 영상 처리부(111)에 설정하고, 새로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도록 영상 처리부(111)를 제어한다.When the user inputs a contrast value and a brightness value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he controller 112 sets the input contrast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and the image according to the newly set contrast value and brightness value. The image processor 111 is controlled to adjus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of the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라스트가 이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경우에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ast is set higher than before by a user, a process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s performed. It is show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이전에 설정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 값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을 입력하여 그의 설정을 지시하면(S310), 제어부(112)는 입력된 컨트라스트 값을 영상 처리부(111)에 설정하되, 이전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을 설정한다(S320).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inputs a contrast value higher than a contrast value of a previously set video sig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o instruct its setting (S310), the controller 112 displays the input contrast value as an image processor 111. ), But sets a higher contrast value than before (S320).

이렇게 이전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영상 처리부(111)는 높게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계산한 가상 포화영역을 일시 저장한다(S330). 이 과정에서, 가상 포화영역은 영상 처리부(111) 내에 설정되는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의 컨트라스트 값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 변경되어 설정될 때마다 변화된다.In the state where the contrast value is set higher than before, the image processor 111 temporarily stores the virtual saturation area calculated by calculating a virtual saturation area that may be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contrast of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high contrast value. (S330). In this process, since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rast value set in the image processor 111, the predetermined contrast value is changed every time it is newly changed and set by the user.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106)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면(S340), 가상 포화영역이 도 6a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50). 여기서, 한정 포화영역은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영상 처리부(111) 내에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영상 처리부(111)는 이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한다.When the video signal is input from the video decoder 106 (S3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r than the preset limited saturation region as shown in FIG. 6A (S350). Here,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is set in advanc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adjusts the contrast and the brightness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판단결과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영상 처리부(111)는 이전보다 높게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높여서 출력한다(S360). 이 과정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1이 지시하는 만큼 컨트라스트를 높 인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the image processor 111 increases the contrast of the in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ast value set higher than before and outputs the contrast (S360).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6A, the image processor 111 increases the contrast as indicated by arrow A1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판단결과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한다(S370). 이 과정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2가 지시하는 만큼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인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signal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reduces the contrast (S370). In this process,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increases brightness and decreases contrast as indicated by arrow A2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브라이트니스가 이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경우에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ightness is set higher than before by a user, a process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s performed. It is show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이전에 설정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 값보다 높은 브라이트니스 값을 입력하여 그의 설정을 지시하면(S410), 제어부(112)는 입력된 브라이트니스 값을 영상 처리부(111)에 설정하되, 이전보다 높은 브라이트니스 값을 설정한다(S420).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inputs a brightness value higher than a brightness value of a previously set video sig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o instruct its setting (S410), the controller 112 displays the input brightness value. It is set in the processing unit 111, but sets a higher brightness value than before (S420).

이렇게 이전보다 높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영상 처리부(111)는 높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계산한 가상 포화영역을 일시 저장한다(S430). 이 과정에서, 가상 포화영역은 영상 처리부(111) 내에 설정되는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의 브라이트니스 값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 변경되어 설정될 때마다 변화된다.In this state in which the brightness value is set higher than befor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calculates the virtual saturation area that may be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set higher, and calculates the virtual saturation area in advance. Temporarily stores (S430). In this process, since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set in the image processor 111,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is changed every time it is newly changed and set by the user.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106)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면(S440), 가상 포화영역이 도 6b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50). 여기서, 한정 포화영역은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영상 처리부(111) 내에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영상 처리부(111)는 이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한다.When the video signal is input from the video decoder 106 (S4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r than the preset limited saturation region as shown in FIG. 6B (S450). Here,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is set in advanc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adjusts the contrast and the brightness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판단결과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영상 처리부(111)는 이전보다 높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여서 출력한다(S460). 이 과정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3이 지시하는 만큼 브라이트니스를 높인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the image processor 111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in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set higher than before and outputs the brightness of the input image signal (S460). In this process,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increases brightness as indicated by arrow A3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판단결과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한다(S470). 이 과정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포화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4가 지시하는 만큼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인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signal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reduces the contrast (S470). In this process,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increases brightness and decreases contrast as indicated by arrow A4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a predetermined limited saturation reg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브라이트니스가 이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경우에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rightness is set lower than before by a user, contrast and brightness are adjusted. The process is show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이전에 설정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 값보다 낮은 브라이트니스 값을 입력하여 그의 설정을 지시하면(S510), 제어부(112)는 입력된 브라이트니스 값을 영상 처리부(111)에 설정하되, 이전보다 낮은 브라이트니스 값을 설정한다(S520).Referring to FIG. 5, when a user inputs a brightness value lower than a brightness value of a previously set video sig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to instruct its setting (S510), the controller 112 displays the input brightness value. It is set in the processor 111, but sets a brightness value lower than before (S520).

이렇게 이전보다 낮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영상 처리부(111)는 낮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가상 컷오프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계산한 가상 컷오프영역을 일시 저장한다(S530). 이 과정에서, 가상 컷오프영역은 영상 처리부(111) 내에 설정되는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의 브라이트니스 값이 사용자에 의해 새로 변경되어 설정될 때마다 변화된다.With the lower brightness value than before, the image processor 111 calculates a virtual cutoff area that may be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lower brightness value. Temporarily store (S530). In this process, since the virtual cutoff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set in the image processor 111,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is changed every time a new brightness value is set by the user.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106)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면(S540), 가상 컷오프영역이 도 6c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된 한정 컷오프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50). 여기서, 한정 컷오프영역은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해 영상 처리부(111) 내에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영상 처리부(111)는 이 한정 컷오프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연동시켜 조절한다.When the video signal is input from the video decoder 106 (S5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rtual cutoff area is larger than the preset limited cutoff area as shown in FIG. 6C (S450). Here, the limited cutoff area is set in advanc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adjusts the contrast and the brightness in the limited cutoff area.

판단결과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지 않으면, 영상 처리부(111)는 이전보다 낮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줄여서 출력한다(S560). 이 과정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컷오프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5가 지시하는 만큼 브라이트니스를 줄인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cutoff area is not large,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reduces the brightness of the in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set lower than before (S560).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6C,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reduces brightness as indicated by arrow A5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predetermined limited cutoff area.

판단결과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컷오프 영역 내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한다(S570). 이 과정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11)는 소정의 한정 컷오프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6이 지시하는 만큼 컨트라스트를 줄인다.If the virtual cutoff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image processor 111 reduces the contrast of the image signal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limited cutoff region and outputs the reduced signal (S570).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6C, the image processing unit 111 reduces the contrast as indicated by arrow A6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predetermined limited cutoff area.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최소한도로 한정된 포화영역 및 컷오프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함으로써,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가 좋아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양질의 영상 화면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ntrast in the saturation region and the cut-off region at least limit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brightness and contrast is improved, and thus the viewer can see a high quality video screen Can be provided to

Claims (10)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의 설정을 제어하고,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contrast value and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And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과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출력하되, 한정 포화영역과 한정 컷오프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 처리수단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ast value and brightness value set by the control means and outputting to the display mean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and the limited cutoff region Image processing means 을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이전의 컨트라스트 값보다 높은 컨트라스트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As the contrast value higher than the previous contrast value is newly set, a first step of temporarily 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saturation region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contrast of the video signal;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greater than a limited saturation region when an image signal is input;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높게 설정된 컨트라스트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높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step of increasing the contrast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high contrast value; And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reducing contrast when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를 포함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In the third step, the 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contrast of the video signal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In the fourth ste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rightness and contrast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to adjus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이전의 브라이트니스 값보다 높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포화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pre-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saturation region generated when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video signal according to a new brightness value higher than a previous brightness value;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한정 포화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greater than a limited saturation region when an image signal is input;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지 않으면, 높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If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step of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high brightness value; And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포화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고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increasing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reducing contrast when the virtual saturation region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를 포함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In the third step, the brightness and brightness of the video signal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is increas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한정 포화영역 내에서 브라이트니스와 컨트라스트를 연동시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In the fourth ste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rightness and contrast in the limited saturation region to adjust the 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이전의 브라이트니스 값보다 낮은 브라이트니스 값이 새로 설정됨에 따라,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조절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상 컷오프영역을 미리 계산하여 일시 저장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pre-calculating and temporarily storing a virtual cutoff area generated whe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signal is adjusted as a brightness value lower than the previous brightness value is newly set;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한정 컷오프영역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virtual cutoff area is larger than a limited cutoff area when an image signal is input;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지 않으면, 낮게 설정된 브라이트니스 값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a lower brightness value if the virtual cutoff area is not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가상 컷오프영역이 크면, 입력된 영상신호의 컨트라스트를 줄여서 출력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reducing contrast of the input video signal when the virtual cutoff area is lar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를 포함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Contrast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한정 컷오프영역 내에서 영상신호의 브라이트니스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In the third step, the brightness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of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video signal in the limited cut-off are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한정 컷오프영역 내에서 컨트라스트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라스트와 브라이트니스의 조절 방법.And in the fourth ste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ontrast is reduced within the limited cutoff region.
KR1020050070260A 2005-08-01 2005-08-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Expired - Fee Related KR100731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60A KR100731385B1 (en) 2005-08-01 2005-08-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CNA200610107950XA CN1909624A (en) 2005-08-01 2006-07-27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and adjus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60A KR100731385B1 (en) 2005-08-01 2005-08-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32A KR20070015732A (en) 2007-02-06
KR100731385B1 true KR100731385B1 (en) 2007-06-21

Family

ID=3770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2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1385B1 (en) 2005-08-01 2005-08-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1385B1 (en)
CN (1) CN190962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3985B (en) * 2012-04-20 2014-10-0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Contrast and brightness linkage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608A (en) * 1999-05-24 2000-12-15 윤종용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ast and brightness of video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608A (en) * 1999-05-24 2000-12-15 윤종용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ast and brightness of vide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32A (en) 2007-02-06
CN1909624A (en)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219B2 (en) Video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75285B2 (en)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42239B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Signal of Digital TV
US782157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013832B2 (en) Im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060104811A (en) Image Quality Control Device and Method
US7589789B2 (en) Video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TV
KR20020057562A (en) Digital tv
KR10073138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KR100731533B1 (en) How to automatically adjust video and audio modes for digital television
KR100752838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ording /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artial region of sub-screen as main screen
KR100800190B1 (en) Television receiver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adjusting contrast and brightness
JP2008301087A (en) Video audio synchronizer
KR100697423B1 (en) TV receiver for output of dynamic sub-screens
KR100731384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Conditions Using Graphics
KR100598948B1 (en) How to adjust the screen zoom of a television
KR100698290B1 (en) Television receivers and method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phase
CN100499757C (en) TV receiver capable of outputting dynamic side picture
KR100745287B1 (en) Digital TV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757111B1 (en) Television and its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viewing atmosphere of moving pictures
KR100745286B1 (en) Digital TV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069081B1 (en) Video display device with auto zoom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2021048534A (en) Picture quality circuit,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feature detection method
KR20080001364A (en) TV sound eff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90091537A (en) How to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digital TV and its digital 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6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616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