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587447B1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47B1
KR100587447B1 KR1020040020074A KR20040020074A KR100587447B1 KR 100587447 B1 KR100587447 B1 KR 100587447B1 KR 1020040020074 A KR1020040020074 A KR 1020040020074A KR 20040020074 A KR20040020074 A KR 20040020074A KR 100587447 B1 KR100587447 B1 KR 10058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bacillus subtilis
plant diseases
powdery mildew
controlling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059A (ko
Inventor
조광연
김진철
최경자
이선우
최용호
장경수
임희경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2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47B1/ko
Priority to JP2007504884A priority patent/JP4417998B2/ja
Priority to US10/592,747 priority patent/US8202514B2/en
Priority to CN2005800092568A priority patent/CN1934241B/zh
Priority to PCT/KR2005/000842 priority patent/WO2005090553A1/en
Publication of KR2005009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잎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BACILLUS SUBTILIS EB120 STRAIN, MICROORGANISM FORMULA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USING SAME}
도 1은 트립틱 소이 한천 배지에서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사진이다.
도 2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벼 도열병균에 대한 균사 성장 억제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적인 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경작시 농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30%에서 최고 100%까지의 수확량 감소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어 수확량의 증가를 위해서는 농약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농약 중 다수를 차지하는 합성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해 토양, 수질 및 농산물 오염, 독성, 생태계 교란, 저항성 균주들의 출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 중의 하나인 길항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농약 (Biopesticide) 개발에 대한 연구가 최근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생물농약은 크게 식물, 미생물, 천적, 천연 생리활성물질 및 유전자 조작 생명체 (GMO) 등으로 나뉘어진다.
생물농약 중 특히 미생물 살균제 개발에 대한 연구는 지난 70여년간 식물병리학의 주요 분야로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난 10년간 40여개 이상의 제품들이 개발된 바 있다.
그람양성 세균인 바실러스 속 세균은 슈도모나스 (Pseudomonas)속 다음으로 널리 연구되고 상용화된 세균으로서 토양 내에 많은 수로 존재하고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하며, 열에 안정하고 열악한 환경에 저항성인 내생포자 (endospore)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는 1994년 구스타프손 (Gustafson)사가 코디악 (Kodiak)이라는 상품명으로 목화와 땅콩의 종자 및 밭고랑 처리제로서 개발된 바 있다 (Backman 등, Improving Plant Productivity with Rhizosphere Bacteria, pp. 3-8). 또한, 2001년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을 섞어 바이오일드 (BioYield)라는 미생물 살균제를 출시하였다. 중국에서는 바실러스 속의 많은 균들을 수확량 증진을 위한 세균이라 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독일 바이엘 (Bayer)사에서는 바실러스 FZB 24균을 사용하는 토양전염병 방제제를 개발한 바 있다. 또한 미국 탠사 (Taensa)에서는 동일한 균을 이용한 미생물 살균제를 출시하였다.
한편, 미국 아그라퀘스트 (AgraQuest)사는 세레나데 (Serenade)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QST713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살균제를 개발하였다. 이 미생물 살균제는 상기 바실러스 균을 이용한 제품들과는 달리 주로 엽면에 발병하는 공기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살균제로서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및 흰가루병 등 40가지 이상의 식물병을 방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길항 미생물은 경쟁, 기생, 항생작용 및 유도저항성 발현 등의 다양한 기작에 의해 다양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생물질로는 30가지 이상의 리포펩타이드 (lipopeptide)를 생산하며, 이들에는 이투린 (iturins), 플리파스틴 (plipastins) 및 서팩틴 (surfactins) 등의 세 가지 그룹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Ritter, Chemical & Engineering News, 81, 30-35 (2003)).
국내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인삼 뿌리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연구를 시작으로 고추 역병, 오이 및 딸기 시들음병, 참깨 모잘록병과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나, 효과의 불안정성, 제제화의 미흡, 비경제성 등으로 인해 큰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바실러스 속의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살균제로서 (주)그린바이오텍에서 출시한 '탑시드'라는 제품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오직 흰가루병에만 효과를 나타내어 그 사용에 있어 많은 제한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추에서 분리한 식물 내생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보리 흰가루병과 오이 흰가루병을 비롯하여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 등 여러 가지의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EB120 균주 (KCTC 10578BP)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균주는 고추의 잎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균주의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확인되었는 바, 이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으로 명명하고 2004년 1월 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제 KCTC 10578BP 호로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갖는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트립틱 소이 한천 배지 (Tryptic soy agar) 상에서 얇게 퍼져 자라며, 단일 콜로니의 경우 작은 눈꽃 모양을 띤다 (도 1).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그람 염색반응과 수산화칼륨 시험 (KOH test)에서 양성을 나타내는 간균으로서 카탈라제 시험 (Catalase test) 및 옥시다제 시험 (Oxidase test)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며 내생포자를 형성하며, 전분과 카제인 (Casein)을 가수분해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GN2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를 이용하여 당이용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ubsp. 서브틸리스 ATCC 6051 균주와 비교할 때 말토트리오스 (maltotriose)를 제외한 모든 당에 대한 이용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6S rDNA의 염기서열 (서열번호: 1) 분석 결과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99%정도의 상동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등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균주 자체, 또는 균주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포자 단독으로 담체와 혼합하여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로는 물, 화이트 카르본,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형화된 미생물 제제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또는 성장 중인 식물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에 의한 식물 성장의 억제 및 이로 인한 고사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대상식물에 대해 1.0 × 104 cells/㎖ 내지 1.0 × 1010 cells/㎖, 바람직하게는 1.0 × 106 cells/㎖ 내지 1.0 × 109 cells/㎖의 양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분리
건전한 고추 잎 5 g을 0.1% 트윈 (Tween) 20이 첨가된 2% NaOCl에 10초간 침지시킴으로써 고추 잎 표면을 살균시키고 45 ㎖의 멸균수를 가한 다음, 막자사발로 갈고 1 ㎖을 취해 1/10, 1/100 및 1/1000로 희석하였다. 각 희석액을 200 ㎕씩 취하여 40 ㎍/㎖의 시클로헥시미드 (Cycloheximide)를 포함하는 트립틱 소이 한천배지 (Tryptic soy agar)에 도말한 다음 30℃에서 배양한 후 세균 콜로니가 나타나면 영양한천배지 (Nutrient agar)에서 3-4회 계대배양하여 단일콜로니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동정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의 동정은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1) 형태적 및 생화학적 특성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는 트립틱 소이 한천배지 상에서 얇게 퍼져 자라며, 단일 콜로니의 경우 작은 눈꽃 모양을 띤다 (도 1). 그람 염색반응과 수산화칼륨 시험 (KOH test)에서는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간균(Bacillus)이었다. 또한, 카탈라제 시험 (Catalase test) 및 옥시다제 시험 (Oxidase test)에서는 양 성반응을 보였고 내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전분과 카제인 (Casein)을 가수 분해하였다.
또한,GN2 마이크로플레이트 (구입처: 미국 Biolog사)를 이용하여 당이용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균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ubsp.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ATCC6051 균주 (구입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를 사용하였다.
EB120균주 ATCC6051균주
L-아라비노스 - -
아라비톨 - -
알부틴 + +
셀로비오스 + +
D-프럭토스 + +
L-프럭토스 - -
D-갈라투로닌산 (D-Galaturonic acid) - -
α-D-글루코스 + -
α-D-락토스 - -
말토트리오스 - +
D-만니톨 + +
D-만노스 + +
D-멜레지토스(D-Melezitose) - -
D-멜리비오스(D-Melibiose) - -
α-메틸-D-갈락토시드 - -
β-메틸-D-갈락토시드 - -
α-메틸-D-만노시드 - -
D-프사이코스 + +
L-람노스(L-Rhamnose) - -
세도헵툴로산(Sedoheptulosan) - -
스타키오스(Stachyose) - -
슈크로즈 + +
D-타가토스(D-Tagatose) - -
D-트레할로스(D-Trehalose) + +
자일리톨(Xylitol) - -
D-자일로스(D-Xylose) - -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당 이 용성은 말토트리오스 (maltotriose)를 제외한 나머지 당에 대해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ubsp. 서브틸리스 ATCC6051 균주와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균주는 모두 알부틴 (arbutin), 셀로비오스 (cellobiose), D-프럭토스 (D-fructose), α-D-글루코스 (α-D-glucose), D-만니톨 (D-mannitol), D-만노스 (D-mannose), D-프사이코스 (D-psicose), 슈크로즈 (sucrose), D-트레할로스 (D-trehalose) 등의 당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말토트리오스 (maltotriose)의 경우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이용하지 못한 반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ubsp. 서브틸리스 ATCC6051 균주는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 (서열번호: 1)을 분석한 결과, 본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99% 정도의 상동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수득된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로서 동정되었으며, 상기 균주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으로 명명하고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2004년 1월 6일자로 기탁번호 제 KCTC 10578BP 호로서 기탁하였다.
실시예 3: 식물병에 대한 균주들의 방제활성 검정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오이 탄저병 및 보리 흰가루병의 4가지 식물병에 대한 방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바 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를 대상 식물인 토마토, 보리 및 오이에 각각 처리하고, 1일 경과 후 병원균을 접종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병방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를 멸균한 200 ㎖의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 (Tryptic soy broth, 구입처: Becton and Dickinson사)에 접종한 다음 30℃에서 3일간 15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 및 배양액을 3배 및 9배로 희석한 희석용액 30 ㎖에 각각 100 ㎍/㎖의 잔탄 검을 첨가한 후 대상 식물인 토마토, 보리 및 오이에 각각 처리하고 풍건한 다음 실온에서 1일 동안 방치하였다. 대상식물은 원예용 상토가 70% 정도 담긴 플라스틱 포트에서 온실 (25±5℃) 조건하에 1주 내지 3주정도 키운 2엽기 토마토, 1엽기 보리 및 2엽기 오이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병원균의 발병 유도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즉, 토마토 역병 및 잿빛곰팡이병은 역병균 (Phytophthora infestans; 입수처: 강릉대학교)의 유주자낭 (5×104 유주자낭/㎖)에서 나출된 유주자 현탁액 및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 현탁액 (5×105 포자/㎖)을 각각 2엽기 토마토 유묘의 잎에 분무처리하고 20℃ 습실상에서 발병을 유도하였으며, 오이 탄저병은 2엽기 오이 유묘의 잎에 탄저병균 (Colletotrichum orbiculare; 입수처: 농업과학기술원)의 포자 현탁액 (106 포자/㎖)을 처리한 후 2일간 습실상에서 발병을 유도한 다음, 25℃ 항온항습실에서 3일 동안 발병시켰다. 보리 흰가루병은 1엽기 보리 유묘의 잎에 숙주식물에서 계대 배양된 흰가루병균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를 접종한 후 20℃ 항온실에서 발병시켰다.
대조군으로서는 균주 배양액을 함유하지 않는 잔탄 검 용액 (100 ㎍/㎖) 30 ㎖을 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서는 각 해당 병원균에 대해 방제효과를 갖는 화학물질인 클로탈로닐 (Chlrothalonil) (구입처: 성보화학), 디티아논 (Dithianon) (구입처: 한국삼공), 디클로플루아니드 (Dichlofluanid) (구입처: 동부한농) 및 베노밀 (Benomyl) (구입처: 동양화학)을 처리한 군을 사용하였다.
각 보리 흰가루병, 오이 탄저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및 토마토 역병의 발병정도는 각 병원균을 접종한 지 7일, 5일, 3일 및 4일 후에 병반 면적율 (%)로서 조사하였다. 병방제 효과 (방제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12072987-pat00001
Figure 112004012072987-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토마토 역병, 잿빛곰팡이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식물병에 대한 우수한 길항활성을 나타내는 최적배지 선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방제활성 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배양배지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6가지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3일 동안 30℃에서 150 rpm으로 진탕배양한 다음 각 배양액 을 3배 및 9배로 희석하였다. 각 희석용액에 잔탄 검을 100 ㎍/㎖ 수준으로 첨가한 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보리 흰가루병을 유발시키고 병방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배지 방제가 (%)
3배 희석용액 9배 희석용액
영양 액체배지 (Nutrient broth) 10 10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 70 52
감자즙액배지 (Potato dextrose broth) 46 0
프로테오스 펩톤 글루코스 슈크로스 액체배지 (Proteose peptone glucose sucrose broth) 40 20
글루코스 스타치 액체배지 (Glucose starch broth) 52 10
글루코스 펩톤 액체배지 (Glucose peptone broth) 40 20
M523 액체배지 30 1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활성은 여러 배지들 중 특히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에서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를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에 접종한 다음 3일 동안 30℃에서 150 rpm으로 진탕배양하고 이를 10배, 25배, 50배, 100배 및 200배로 희석한 희석용액에 250 ㎍/㎖의 트윈 20을 첨가한 후 7엽기 오이의 엽면에 분무처리하였다.
비교군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인 '탑시드' (구입처: (주)그린바이오텍)를 10배, 25배, 50배, 100배 및 200배로 희석시킨 희석용액 및 살균제로서 알려진 플루실라졸 (Flusilazole)을 대상 오이에 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상기 분무처리 후 1주일 후 균주 배양액의 희석용액 및 비교군의 시료를 대상 오이에 2차 처리하였으며, 2차 처리 7일 후에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흰가루병에 대한 병방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흰가루병은 인위적인 접종이 아닌 온실에 존재하는 병원균 (Sphaerotheca fuligenea)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시켰다.
상기 실험과정은 2회 수행하였으며 각 1회 및 2회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12072987-pat00003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의 모든 희석용액이 오이 흰가루병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00배로 희석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희석용액을 처리한 경우에도 유의한 정도의 방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인 탑시드와 비교할 때, 희석배수가 50배이하의 희석용액 처리군에서는 탑시드 처리군과 동등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도 2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활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무처리군인 대조군의 경우 흰가루병의 병징이 많이 나타난 반면, 균주의 배양액을 처리한 실험군의 오이 잎에서는 병징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실시예 6: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추출물의 식물병에 대한 방제활성 검정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의 방제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추출물의 식물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를 트립틱 소이 액체배지에 접종한 다음 30℃에서 150 rpm으로 3일간 진탕배양하고 9,000 rpm으로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상층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고, 상층액을 동량의 부탄올로 2회 추출함으로써 수득한 부탄올 추출물을 각각 감압 농축하였다. 추출물 중에서 배양액 40 ㎖에 해당하는 분량을 취하여 에틸아 세테이트 추출물은 4 ㎖의 아세톤으로 용해하였고, 부탄올 추출물은 2 ㎖의 메탄올로 용해하였다.
이어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 및 상기에서 수득된 균주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추출물 시료 40 ㎖에 250 ㎍/ml의 트윈 20을 첨가한 후 대상 식물인 고추, 벼, 토마토, 밀 및 보리에 처리하고, 1일 경과 후 병원균인 고추 탄저병 (PAN), 벼 도열병 (RCB), 벼 잎집무늬마름병 (RSB),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TGM), 토마토 역병 (TLB), 밀 붉은녹병 (WLR) 및 보리 흰가루병 (BPM)을 접종하여 병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 병원균의 발병 유도에 있어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및 보리 흰가루병은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한편, 고추 탄저병은 최아 (催芽)된 고추 종자를 지름 7.0 cm의 포트에 파종한 후 8엽기까지 온실에서 키운 고추에 고추 탄저병원균 (Colletotrichum coccodes, 입수처: 고려대학교)의 포자현탁액 (5 × 105 spores/㎖)을 분무 처리한 다음, 습실상에서 2일간 처리한 후 25℃ 항온항습실에서 2일간 배양하여 유도하였다.
벼 도열병은 2엽기 유묘에 벼 도열병원균 (Magnaporthe gisea, 입수처: 서울대학교)의 포자 현탁액 (5×105 포자/㎖)을 분무하여 접종한 후 25℃ 습실상에서 하루 동안 방치한 다음, 25℃ 항온실에 5일간 배양하여 유도하였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3엽기 유묘에 벼 입집무늬마름병원균 (Thanatephorus cucumeris,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이 7일 동안 배양된 배지 (밀기울 90 g, 왕겨 15 g, 증류수 100 ㎖)를 접종하고 25℃ 습실상에서 4일간 처리한 다음, 25℃ 항온실에서 4일간 배양하여 유도하였다.
밀 붉은녹병은 1엽기 유묘에 활물 기생균 (Puccinia recondita,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를 트윈 20 용액 (250 ㎍/㎖)에 0.67 g 포자/ℓ농도로 현탁한 포자 현탁액을 분무 처리하여 하루 동안 20℃ 습실상에서 처리한 다음 항온실로 옮겨 배양하여 유도하였다.
고추 탄저병에 대해서는 병원균을 접종한지 4일 후에, 벼 도열병에 대해서는 병원균을 접종한지 5일 후에, 밀 붉은녹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서는 병원균을 접종한지 7일 후에 병반 면적율 (%)를 조사하였으며,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병방제 효과 (방제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방제가 (%)
PAN RCB RSB TGM TLB WLR BPM
배양액 93 83 0 94 94 90 92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0 70 0 0 0 53 0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 96 98 60 94 95 83 93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식물병에 대하여 거의 효과가 없었으나, 이의 부탄올 추출물은 균주 배양액과 마찬가지로 보리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의 모든 식물병에 대하여 균주 배양액의 것과 동등 이상의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 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방제활성 물질은 비교적 극성이 높은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방제활성 물질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 조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의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균주 배양액과 이의 부탄올 추출물을 여러 온도, 즉, 4℃ 상온, 30℃, 40℃, 50℃, 60℃, 70℃, 100℃ 및 121℃에서 미리 처리한 다음 병원균을 접종하여 병원균주의 균사 성장 억제정도를 조사하였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과 상기 실시예 6에서 수득된 부탄올 추출물을 4℃ 및 상온에서는 24시간, 30℃, 40℃, 50℃, 60℃ 및 70℃에서는 5시간, 100℃ 및 121℃에서는 15분간 동안 미리 처리한 다음, 균주 배양액은 2배 희석하고 부탄올 추출물은 메탄올에 200 ㎎/㎖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각 시료 50 ㎕를 지름 8 mm의 종이 조각 (paper disk)에 분주하고 건조시킨 다음,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isea, 입수처: 서울대학교)이 주입 평판법 (Pour-plating method)으로 접종된 감자한천배지 위에 옮긴 후 3일간 25℃에 배양하였다. 이어서, 종이 조각의 지름을 포함하여 억제된 원의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균사 성장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벼 도열병균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물질에 대해 세 가지 양상으로 영향을 받는 부위가 나타남을 알 수 있 었다. 즉, 완전히 균사 생육이 억제되는 부위 (완전 억제 부위)와 공중균사는 못 자라나고 배지 속으로 균사가 자라나는 부위 (부분 억제 부위) 및 공중균사가 자라나 공중균사가 배지에 흡착한 듯이 보이는 부위 (공중균사 영향 부위)의 세 가지 부위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는 적어도 세 가지 이상의 방제활성 물질을 생산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방제활성 물질에 대해 벼 도열병 균주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양상에 있어서 균주 배양액의 열처리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방제활성 물질은 온도에 상관없이 거의 균일한 정도의 균주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가 생산하는 방제활성 물질은 열에 비교적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검은색 막대는 완전 억제 부위를 나타내며, 회색 막대는 부분 억제 부위를 나타내며, 흰색 막대는 공중 균사 영향 부위를 나타낸다.
한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의 열처리에 따른 벼 도열병균주의 성장 억제 정도를 관찰한 결과,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에 대해서는 균주 배양액과는 달리 공중 균사 영향 부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공중 균사 영향 부위의 양상을 나타내는 방제활성 물질은 다른 두 가지 양상을 보이는 방제활성 물질보다 비극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탄올 추출물도 열처리 온도에 상관없이 균일한 균사성장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EB120 균주는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이를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6)

  1. 삭제
  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EB120 균주 (KCTC 10578BP) 또는 이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포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벼 도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병 의 방제용 미생물 제제.
  3. 삭제
  4. 삭제
  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KCTC 10578BP) 또는 이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포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벼 도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병의 방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보리 흰가루병, 오이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또는 밀 붉은녹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20074A 2004-03-24 2004-03-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74A KR100587447B1 (ko) 2004-03-24 2004-03-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JP2007504884A JP4417998B2 (ja) 2004-03-24 2005-03-23 拮抗作用を有する枯草菌株を用いた植物病の防除方法
US10/592,747 US8202514B2 (en) 2004-03-24 2005-03-23 Bacillus subtilis strain having antagonistic activity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N2005800092568A CN1934241B (zh) 2004-03-24 2005-03-23 具有防治植物病害的拮抗活性的枯草芽孢杆菌菌株
PCT/KR2005/000842 WO2005090553A1 (en) 2004-03-24 2005-03-23 Bacillus subtilis strain having antagonistic activity for controling plant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74A KR100587447B1 (ko) 2004-03-24 2004-03-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59A KR20050095059A (ko) 2005-09-29
KR100587447B1 true KR100587447B1 (ko) 2006-06-12

Family

ID=3499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447B1 (ko) 2004-03-24 2004-03-2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2514B2 (ko)
JP (1) JP4417998B2 (ko)
KR (1) KR100587447B1 (ko)
CN (1) CN1934241B (ko)
WO (1) WO20050905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41B1 (ko) * 2011-12-13 2012-10-08 주식회사 지디 수도작의 식물 병원균 길항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dya-1 및 수도작의 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124933B1 (ko) * 2019-11-21 2020-06-19 (주)씨엠씨코리아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910B1 (ko) * 2006-03-13 2007-06-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 병원균 길항 균주 바실러스 섭틸리스 fbs―2 및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769360B1 (ko) * 2006-12-22 2007-10-31 대한민국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스37-2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비료
UA109036C2 (en) * 2007-09-20 2015-07-10 Басф Се COMPOSITION CONTAINING FUNGICIDUM STRAIN AND CHEMICAL COMPOUND
WO2009088074A1 (ja) * 2008-01-11 2009-07-16 Ajinomoto Co., Inc. 植物用病害耐性増強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法
FR2929805A1 (fr) * 2008-02-12 2009-10-16 B2B Sarl Utilisation de bacillus subtilis, pumilus et cereus pour stimuler les defenses naturelles des plantes
ES2527673T3 (es) * 2008-09-17 2015-01-28 Bayer Cropscience Lp Procedimiento para usar una cepa de Bacillus subtilis para potenciar la salud animal
JP2011168532A (ja) * 2010-02-18 2011-09-01 Anise Kk 植物芽発酵液と枯草菌からなる植物栽培用組成物、および植物栽培方法
MX2012010043A (es) * 2010-03-01 2012-12-17 Univ Delaware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aumentar biomasa, concentracion de hierro y tolerancia a patogenos en plantas.
CN102586130B (zh) * 2011-01-14 2015-01-07 辽宁省农业科学院 能防治葡萄炭疽病的生防菌株、菌剂及其应用
CN102154178B (zh) * 2011-01-28 2012-09-19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防治辣椒疫病的短芽孢杆菌及生物制剂的制备方法与应用
KR101329231B1 (ko) * 2011-02-17 2013-11-13 고려바이오주식회사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 kb-mjk 60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CN102367429B (zh) * 2011-10-24 2012-10-17 中国烟草总公司黑龙江省公司牡丹江烟草科学研究所 一株防治烟草炭疽病的枯草芽孢杆菌
CN102586136B (zh) * 2012-01-09 2013-08-14 天津市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提高植物抗病性及促进其生长的微生物菌剂
CN102559562B (zh) * 2012-02-29 2014-02-05 黑龙江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具有防治水稻稻瘟病的水稻内生细菌及其在水稻稻瘟病防治中的用途
CN103194415B (zh) * 2013-04-24 2014-11-26 牛赡光 一株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SG10202108611PA (en) * 2014-08-16 2021-09-29 Dcm Shriram Ltd Novel bacterium of bacillus genus and uses thereof
ES2759336T3 (es) 2014-12-29 2020-05-08 Fmc Corp Composiciones microbianas y métodos de uso para beneficiar 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y tratar enfermedades de plantas
CN105316259B (zh) * 2015-10-28 2018-11-13 沈阳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治植物病害的生防菌株及其应用
WO2017150556A1 (ja) * 2016-03-04 2017-09-08 オーガニック・テックファーム株式会社 抗菌剤、農薬、微生物によ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および新規バチルス・サブティリス
JPWO2018047918A1 (ja) * 2016-09-08 2019-06-27 イビデン株式会社 植物賦活剤および植物賦活剤の製造方法
CN106942276A (zh) * 2017-03-16 2017-07-14 河北省农林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枯草芽孢杆菌bab‑1防治瓜类白粉病的应用
CN107502570B (zh) * 2017-08-18 2019-07-16 华中农业大学 一株生防枯草芽孢杆菌bj-1及其应用
CN108048357B (zh) * 2017-12-26 2021-01-05 武汉科诺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枯草芽孢杆菌及其培养方法
BR112020016351A2 (pt) 2018-02-12 2020-12-15 Boost Biomes, Inc Composições microbianas para a prevenção ou redução do crescimento de fungos patogênicos em plantas
US12121649B2 (en) 2018-03-12 2024-10-22 Ecological Balancing Technologies Corporation Cartridge for an automated aerosol dispensing device
WO2019175777A1 (en) 2018-03-12 2019-09-19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and use thereof in controll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USD924057S1 (en) 2018-03-12 2021-07-06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Refill bottle
WO2019175780A1 (en) 2018-03-12 2019-09-19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and use thereof in controll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O2019175783A1 (en) * 2018-03-12 2019-09-19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and use thereof in controll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O2019175774A1 (en) 2018-03-12 2019-09-19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Electronic safety feature for an automated aerosol dispensing device
USD924056S1 (en) 2018-03-12 2021-07-06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Refill bottle
WO2019175782A1 (en) 2018-03-12 2019-09-19 Better Air International Limited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and use thereof in controll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WO2019224691A1 (en) 2018-05-21 2019-11-28 Better Air North America, Llc Automated device and method for spreading environmental friendly microbes on a surface
KR102048071B1 (ko) * 2018-06-12 2019-11-22 (주)현농 벼 병충해 방지용 발포성 방제제
CN111378602B (zh) * 2020-02-27 2023-05-09 宜春学院 具有抑制马玲薯晚疫病致病疫霉的菌株及其分离方法及应用
CN111548951B (zh) * 2020-03-31 2022-03-25 河南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枯草芽孢杆菌Pro6A5、其菌剂和制备方法及在甜瓜栽培中的应用
CN113748897A (zh) * 2020-05-28 2021-12-07 孙广伟 一种棉花黄萎病、枯萎病的预防治疗方法
CN112358991B (zh) * 2020-11-13 2021-11-30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类芽孢杆菌cl01及其应用
CN114456966B (zh) * 2020-12-29 2023-08-04 中国农业大学 用于防治黄瓜枯萎病的芽孢杆菌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337423B (zh) * 2021-05-19 2022-07-12 江苏神力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株枯草芽孢杆菌scuec7菌株及其应用
CN113475509A (zh) * 2021-07-14 2021-10-08 北京市植物保护站 一种防治白粉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881599B (zh) * 2021-10-25 2023-06-20 湖北省农业科学院植保土肥研究所 一株枯草芽孢杆菌、番茄用复合微生物肥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14107132B (zh) * 2021-12-22 2023-11-17 秦皇岛禾苗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枯草芽孢杆菌菌株hm-1及其微生物菌剂和应用
CN115011505B (zh) * 2022-04-24 2023-04-18 山东省农业科学院 一株枯草芽孢杆菌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72B1 (ko) * 1997-05-09 2006-08-28 아그라퀘스트 인코퍼레이티드 식물병들과 옥수수 근벌레를 억제하기 위한 신규한Bacillus 균주
EP1241247A1 (en) * 2001-03-13 2002-09-18 C.C.H. S.A. Isolated bacteria for the protection of plant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bacteria
JP4071036B2 (ja) * 2001-11-26 2008-04-02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バシルスsp.D747菌株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防除剤および害虫防除剤
KR100533874B1 (ko) * 2002-08-20 2005-12-06 지연태 신규한 바실러스속 (Bacillus sp.) CMB26균, 이를 이용한 리포펩티드의 제조방법, 상기 바실러스속 CMB26균 및/또는리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곰팡이균의 살균제.
CN1473472A (zh) * 2003-08-06 2004-02-11 湖北省农业科学院 用于农作物病虫害防治的菌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41B1 (ko) * 2011-12-13 2012-10-08 주식회사 지디 수도작의 식물 병원균 길항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dya-1 및 수도작의 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124933B1 (ko) * 2019-11-21 2020-06-19 (주)씨엠씨코리아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17998B2 (ja) 2010-02-17
JP2007530032A (ja) 2007-11-01
US8202514B2 (en) 2012-06-19
CN1934241A (zh) 2007-03-21
US20110262416A1 (en) 2011-10-27
KR20050095059A (ko) 2005-09-29
CN1934241B (zh) 2010-05-26
WO2005090553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44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KR101569737B1 (ko) 벼 근권에서 분리된 신규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및 이를 이용한 천연식물 보호 및 식물 강화제 개발
KR101163986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g34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Liu et al. Biological control of take-all in wheat by endophytic Bacillus subtilis E1R-j and potential mode of action
KR101199931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rict934 균주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질소무기화 촉진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089149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s3-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WO2014175496A1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와이씨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0914226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100914234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22m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20080008600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속vsv-12 kctc10936b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
CN107075459B (zh) 芽孢杆菌属的新型细菌及其用途
CN111040976A (zh) 一株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KR101498155B1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감자 생산 증진 방법
KR20230105465A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Kadaikunnan et al. Biocontrol property of Streptomyces parvulus VRR3 in green gram plant (Vigna radiata L.) against Fusarium solani in greenhouse
KR101005484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농약
KR100997677B1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KR101107331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르젠테오루스 균주
WO2005079580A1 (ja) 植物病害防除剤組成物及び微生物
KR100737861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서브틸리스 kmu-13 kccm 80020
KR101027082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미조넨시스 cjs-7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705777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코스타리카너스 vsc-67
KR100574346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072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US2022036964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bioprotection of tomatoes from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0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