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823B1 -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2823B1 KR100212823B1 KR1019950007348A KR19950007348A KR100212823B1 KR 100212823 B1 KR100212823 B1 KR 100212823B1 KR 1019950007348 A KR1019950007348 A KR 1019950007348A KR 19950007348 A KR19950007348 A KR 19950007348A KR 100212823 B1 KR100212823 B1 KR 100212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image
- threshold
- threshold value
- low p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는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 임계값 설정부와 비교 선택부로 구성되며,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된 영상 신호와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결과를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출력으로 함으로써, 원 화상의 미세부나 윤곽을 흐리지 않고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키며, 이때 사용되는 임계값은 현재 처리할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값이 변하므로 평탄한 지역에서는 블록화 현상을 더욱 잘 제거할 수 있고 복잡한 지역에서는 윤곽을 더 잘 보존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대표 도면 : 제3도), 또한 기존 동영상 복호화기의 출력단에 화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키기 위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켜 더욱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removing device and a video decoder using the block removing device, wherein the block remov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a threshold setting unit and a comparison selection unit, and the low pass filtered image signal and the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The low pass filter results only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s the output of the blocking phenomenon elimination device, thereby eliminating the blocking phenomenon without blurring the minute portion or the outline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threshold value used here is that the pixel to be processed is flat. The value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you are located in an area or in a complex area,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tter blocking in flat areas and better conservation of contours in complex areas (represented in Figure 3). ), And also to remove the blocking of the picture at the output of the existing video decoder By providing an additional device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group, to remove the blocking artifacts caused by the quantization noise of the DC coefficient has the advantage that can obtain images of further improved image quality.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동영상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ideo encoder.
제2도는 일반적인 동영상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ideo decoder.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세부 블럭도.Figure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decoder using the block phenomenon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 52 : 지역 분산 획득부50: plurality of low pass filter 52: regional dispersion acquisition unit
54 : 제 1비교기 56 : 제 1 스위치54: first comparator 56: first switch
58 : 가산기 60 : 제 2 비교기58: adder 60: second comparator
62 : 감산기 64 : 제 3 비교기62: subtractor 64: third comparator
66 : 선택신호 발생기 68 : 제 2 스위치66: selection signal generator 68: second switch
80 : 버퍼 82 : 가변장 복호화기80: buffer 82: variable length decoder
84 : 역 양자화기 86 : 역 이산 여현 변환부84: inverse quantizer 86: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88 : 프레임 메모리 90 : 움직임 보상부88: frame memory 90: motion compensation unit
92 : 가산기 94 :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92: Adder 94: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100 : 동영상 부호화기 200 : 임계값 설정부100: video encoder 200: threshold setting unit
300 : 비교 선택부300: comparison selection
본 발명은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환 부호화된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블록화 현상을 잘 제거시켜 더욱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age removing apparatus and a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a blockage removing apparatus for removing a blocking phenomenon due to quantization noise of a transform-coded DC coefficient to obtain a further improved image quality, and the same The video decoder used.
일반적으로 HDTV(고선명텔레비젼)는 현행 텔레비젼보다 2배 이상의 수직, 수평 해상도를 가지며 크로스 칼라등과 같은 현행 텔레비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행 텔레비젼보다 넓은 16 : 9의 애스펙트비(aspect ratio)를 가지며, 컴팩트 디스크 음질 수준의 디지탈 오디오 성능을 갖는 텔레비젼을 말한다.In general,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has more than twic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solution of current television, improves the problems of current television such as cross color, and has an aspect ratio of 16: 9 that is wider than current television. Compact Disc A television with digital audio performance at the sound quality level.
지금까지 개발된 HDTV 시스템은 전송 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디지탈 신호를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로 간주하여 전송하는 샘플치 전송 방식으로 일본의 MUSE와 HD-MAC이 이 방식에 해당된다. 둘째는 신호 처리에서 송신까지 디지탈화한 완전 디지탈 방식으로 현재 미국을 필두로 급속히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특히, 완전 디지탈 방식은 현행 방송파가 사용하는 6주파수 대역폭에서 기존 방송 채널수를 4-10배로 증가시키게 된다. 기존 칼라 텔레비젼에 비해 수직, 수평축으로 각각 2배씩, 전체적으로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HDTV 신호는 기존의 제한된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기에는 너무 큰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HDTV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대역 압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The HDTV system developed so far is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ransmission method. The first is a sample value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a digital signal is regarded as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ed. MUSE and HD-MAC of Japan correspond to this method. The second is a fully digital method that digitalizes from signal processing to transmission, and is currently rapidly reaching the practical stage, starting with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full digital scheme is used by current broadcasters. The number of existing broadcast channels is increased by 4-10 times in frequency bandwidth. Compared to conventional color televisions, HDTV signals having twice the resolu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and four times the resolution overall have too much bandwidth to transmit using the existing limited channels. Therefore, band compression is essential for the transmission of HDTV signals.
전송 방식에 따라 분류된 HDTV 시스템중 미국의 완전 디지탈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mong the HDTV system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ully digital method in the US.
대역 압축을 위해서 완전 디지탈 방식의 HDTV 시스템에서는 크게 3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첫째는 화상과 다음 화상 간의 관계 즉, 움직임 벡터의 값을 이용하여 전송 정보량을 줄이는 기법, 둘째로 한 화상안의 정보 압축을 위한 이산 여현 변환과 양자화 기법, 그리고 세번째로 이들 변환된 정보를 정보의 확률적 분포에 의해 적절한 크기의 비트(bit)로 변환하는 가변장부호화(VLC : Variable Length Coding)기법이 있다.Three methods are used in the fully digital HDTV system for band compression. First, the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transmission information 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nd the next image, that is, the motion vector, and secondly, compressing the information in one image. Discrete cosine transform and quantization technique, and thirdly, Variable Length Coding (VLC) technique converts the transformed information into bits of appropriate size by stochastic distribution of information.
6의 대역폭을 갖는 현재의 NTSC 지상 방송 채널에서는 이 채널 용량이 20Mbps 안팎이 되는데 대략 영상신호가 17Mbps, 음성신호가 0.5Mbps를 점유하고, 남은 부분을 기타 보조 데이타, 문자 방송, 에러 정정 부호등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 PCM(펄스 부호 변조)시에 1.2Gbps에 이르는 영상 신호의 데이타량을 70 : 1 이상으로 압축해서 전송해야 하는데, 압축시 영상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영상 신호에 내재하는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영상 신호에 내재하는 중복성에는 색 성분간의 중복성, 화면과 화면간 시간축 방향의 시간적 중복성 그리고 화면내 공간의 이웃하는 화소간의 공간적 중복성이 있다.6 In the current NTSC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 with a bandwidth of about 20Mbps, this channel capacity is about 20Mbps, and the video signal occupies about 17Mbps, and the audio signal occupies 0.5Mbps, and the remaining portion occupies other auxiliary data, text broadcasting, error correction code, etc. Done. Therefore, in simple PCM (Pulse Code Modulation), the data amount of video signal up to 1.2Gbps should be compressed and transmitted to 70: 1 or more.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video information during compression, the redundancy inherent in video signal is effectively removed. Should be. Redundancy inherent in an image signal includes redundancy between color components, temporal redundancy in the time axis direction between the screen and the screen, and spatial redundancy between neighboring pixels in the screen space.
제1도는 완전 디지탈 HDTV 뿐만 아니라 여러 응용 분야에 널리 쓰이는 일반적인 영상 신호 데이타 압축 방법인 움직임 보상 하이브리드 부호화기의 블럭도로서, 영상내의 공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이산 여현 변환(DCT)과 같은 변환 부호화를 사용하며, 시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움직임 보상 차영상 보호화를 사용한다. 또한, 데이타 비트 스트림 자체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가변장 부호화(VLC)를 사용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tion compensated hybrid encoder that is a general video signal data compression method widely used not only for full digital HDTV but also for various applications, and uses transform coding such as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to remove spatial redundancy in the image. Motion compensation differential image protection is used to remove temporal redundancy. In addition, variable length coding (VLC) is used to remove redundancy of the data bit stream itself.
제1도를 참조하면, 감산기(10)는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원 영상과 이전 프레임의 복원 영상에 대한 움직임 보상 영상을 감산하여 프레임간 차영상을 생성한다. 이산 여현 변환부(12)에서는 화소간의 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프레임간 차영상 또는 입력 영상을 8*8 단위의 블럭으로 이산 여현 변환하여 이산 여현 변화 계수를 출력한다. 양자화기(14)에서는 상기 이산 여현 변한부(12)에서 출력되는 프레임간 차영상 또는 입력영상의 이산 여현 변한 계수를 소정의 양자화 간격으로 양자화하여 출력한다. 가변장 부호화기(16)에서는 상기 양자화기(14)에서 양자화된 프레임간 차영상 또는 입력 영상을 가변장 보호화한다. 버퍼(18)는 상기 가변장 부호화기(1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일정한 속도로 출력하게 되고, 이때, 버퍼(18)는 데이타의 점유량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여 양자화기(14)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ubtractor 10 generates a difference image between frames by subtracting a motion compensation image of an original image of a current frame and a reconstructed image of a previous frame, which are input in units of frames.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unit 12 outputs a discrete cosine change coefficient by performing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of the inter-frame dif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into blocks of 8 * 8 units to remove the correlation between pixels. The quantizer 14 quantizes the coefficients of the discrete cosine difference of the inter-frame dif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output from the discrete cosine varying unit 12 at a predetermined quantization interval and outputs the quantized interval. The variable length encoder 16 performs variable length protection on the inter-frame dif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quantized by the quantizer 14. Since the length of the data output from the variable length encoder 16 is not constant, the buffer 18 temporarily stores the data and outputs the data at a constant speed. In this case, the buffer 18 performs a quantization step according to the occupancy of the data. The size is determined to control the quantizer 14.
역 양자화기(20)는 상기 양자화기(14)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양자화된 영상을 상기 양자화기(14)에 입력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한다. 역 이산 여현 변환부(22)는 상기 역 양자화기(2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역 양자화기(20)에서 역 양자화된 프레임간 차영상 또는 입력 영상을 상기 이산 여현 변환부(12)에 입력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한다. 가산기(24)에서는 상기 역 이산 여현 변환부(22)에서 복원된 프레임간 차영상 또는 입력 영상과 움직임 보상 영상을 가산하여 이전 프레임의 복원 영상으로 프레임 메모리(26)에 저장한다. 움직임 추정부(28)에서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과 상기 프레임 메모리(26)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복원 영상간의 유사한 부분을 추정하여 그 위치 이동의 결과를 움직임 벡터로 출력한다. 움직임 보상부(30)에서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26)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프레임의 복원 영상의 움직임 위치를 움직임 벡터에 의하여 보상한 움직임 보상 영상을 상기 감산기(10)와 가산기(24)로 각각 출력한다.The inverse quantizer 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quantizer 14 and restores the quantized image to a state before being input to the quantizer 14. An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22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se quantizer 20, and the inverse quantized inter-frame difference image or input image that is inversely quantized by the inverse quantizer 20 is transferred to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12. Restore to the state before input. The adder 24 adds the inter-frame dif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and the motion compensation image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22 to store the reconstructed image of the previous frame in the frame memory 26. The motion estimation unit 28 estimates a similar portion between the input image of the current frame and the reconstruction image of the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26 and outputs the result of the position movement as a motion vector. The motion compensator 30 outputs, to the subtractor 10 and the adder 24, the motion compensation image compensated for by the motion vector of the motion position of the reconstructed image of the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26. .
제1도 참조하여 영상을 부호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encoding an image with reference to FIG. 1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R, G, B 신호는 색 성분간의 상호 상관도가 높아, 이 상관도를 떨어뜨리고 인간의 시각 특성에 맞도록 하기 위해 Y, U, V의 색체계로 변환한다. 인간의 눈이 가장 민감한 Y 성분은 약 30의 대역을 차지하나 U와 V는 약 15정도만을 차지하므로 데시메이션에 의해 샘플의 수를 줄이더라도 정보의 손실이 거의 없다. 보통 Y:U:V를 4:1:1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인터레이스 신호에서는 수직 방향 데시메이션에 의해 짝수(또는 홀수) 필드의 색신호를 모두 잃어버리므로, 양 필드의 색 성분을 고루 취하기 위한 4:2:0 형식도 쓰이고 있다. 또 V 신호의 대역폭이 U 보다는 약간 더 넓어 V와 U의 데이타 할당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지 않으면 빨간색 혹은 파란색 계통 어느 한쪽에서 인위적인 요소(artifact)가 두드러질 수 있다.The R, G, and B signals output from the camera are highly correlated among the color components, and are converted to Y, U, and V color systems to reduce the correlation and match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The most sensitive Y component in human eyes is about 30 Occupies the band of U but V is about 15 Since it only takes a degree, there is almost no loss of information even if the number of samples is reduced by decimation. In general, Y: U: V is often 4: 1: 1, and especially in interlaced signals, all color signals of even (or odd) fields are lost by vertical decimation. The 4: 2: 0 format is also used. Also, because the bandwidth of the V signal is slightly wider than U, artificial artifacts can be prominent in either the red or blue line if the data allocation of V and U is not well balanced.
이웃하는 화면간에 존재하는 상관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중복성을 없애기 위해, 움직임 보상 DPCM(Differential PCM) 방식을 이용한다. 화면을 일정한 크기의 매크로 블록들로 나누어 각 매크로 블록이 이전 화면의 어느 곳으로부터 움직여 왔는지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구하고 이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행한다.In order to eliminate temporal redundancy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ing screens, a motion compensated differential PCM (DPCM) scheme is used. The screen is divided into macroblocks of a constant size to obtain a motion vector indicating where each macroblock has moved from before, and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using this vector.
움직임 벡터의 탐색 영역과 정밀도는 오차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이는 최종 부호화된 데이타의 양을 변화시킨다. 대부분의 영상에서 수평 방향의 움직임이 수직 방향 보다 많으므로 탐색 영역도 보통 수평 방향으로 더 넓으며 탐색 영역은 이웃하는 화면간의 최대 변위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결정된다.The search range and precision of the motion vector change the magnitude of the error signal, which changes the amount of final coded data. In most images, since the horizontal motion is lar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arch area is usually wid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arch area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displacement between neighboring screens.
움직임 벡터의 정밀도는 흔히 화소 단위 혹은 더욱 정밀한 반화소 단위까지 하고 있다.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기 위해 흔히 쓰이고 있는 방법은 우선 화소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BMA(Block Matching Algorithm)등의 방법에 의해 구하고, 이 벡터 주변의 반화소 위치의 값들을 보간에 의해 구한 후 화소 단위의 움직임 벡터를 포함하여 주변 9개의 반화소 단위 벡터 위치에 의해 2차 완전 탐색(full-search)를 행하여 오차가 가장 적은 위치가 반화소 단위 움직임 벡터로 결정된다.The precision of motion vectors is often up to pixel units or even more precise half-pixel units. A commonly used method for estimating a motion pixel in half-pixel units is to first obtain a motion vector in pixel units by a block matching algorithm (BMA) or the like, and then obtain values of half-pixel positions around the vector by interpolation. A second full-search is performed based on nine half-pixel unit vector positions including the pixel-by-pixel motion vector, and the position having the least error is determined as the half-pixel unit motion vector.
한편,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의 영상 신호에 있어서는 한 프레임 내의 두 필드간에도 움직임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드 단위의 움직임 보상이 더 효과적인 경우도 발생한다. 프레임 단위 움직임 보상시에는 한 매크로 블록이 하나의 움직임 벡터를 필요로 하지만 필드 단위 움직임 보상시에는 한 매크로 블록이 두개의 움직임 벡터를 갖는다. 두 방식을 결합하여 매크로 블록마다 두 방식중 보다 효율적인 움직임 보상 방식을 취하는 적응적인 방법을 쓰면 복잡도는 증가하나 데이타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laced scanning video signal, there may be a motion between two fields in one frame, so that motion compensation in units of fields may be more effective. In the frame-by-frame motion compensation, one macroblock needs one motion vector, but in the field-by-field motion compensation, one macroblock has two motion vectors. Combining the two methods and using an adaptive method that takes the more efficient motion compensation method among the two macroblocks, the complexity increases, but the data amount can be further reduced.
공간적인 중복성은 화면내에 인접하는 화소들간에 상관도가 높으므로 블록단위(8*8)로 변환 부호화의 일종인 이산 여현 변환(DCT) 과정을 통하여 제거한다. 시간 계열의 신호를 주파수 계열의 신호로 바꾸어주는 변환으로는 푸리에 변환이 있는데, 이산 여현 변환(DCT)도 시간 계열이 화소치를 행렬 연산에 따라 주파수 계열이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의 자기 상관이 높다는 것은 완만하게 변화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파수적으로 보면 낮은 주파수 성분에 에너지가 집중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산 여현 변환(DCT)은 영상 신호의 공간 방향으로의 상관성이 큰 것에 바탕을 둔 것으로 영상의 모든 화소에 분산된 에너지를 직류 성분을 포함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몇개의 변환 계수에 집중시킨 후 이들의 장점을 적절히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산 여현 변환(DCT)은 8*8 블럭 단위로 수행되며, 화면내(Intraframe) 부호화 방식에서 공간 방향의 중복성을 제거할 때와 화면간(Interframe) 부호화 방식에서 영상간 예측 오차(영상간 예측 오차는 영상간의 중복성은 제거되었으나 공간 방향의 상관성은 존재한다.)에서 공간 방향의 상관성을 제거할 때 사용된다. 화상은 낮은 주파수 성분으로 에너지가 집중하고 있으므로 한 블럭(8*8)의 왼쪽 상단에 표시된 직류 성분을 세밀하게 양자화하며 높은 주파수 성분이 됨에 따라 성긴 양자화를 행하면 양자화에 따라 생기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산 여현 변환(DCT)는 블럭단위로 부호화하기 때문에 블럭 경계가 불연속적으로 되기 쉽고 또한 이 경계가 눈에 띄기 쉽다. 블럭내에 가장자리가 있으면 높은 주파수 성분이 출현하지만 이 양자화가 성기면 양자화 오차가 링잉 형태를 보이며 블럭내로 넓어져 모스키트 잡음 또는 코로나 효과라고 불리는 것과 같은 화질 열화로 인지된다.Since spatial redundancy h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adjacent pixels in the screen, it is removed through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process, which is a type of transform coding in block units (8 * 8). Fourier transforms are used to convert time-based signals to frequency-based signals.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lso converts pixel values into time-dependent signals based on matrix operations. The high autocorrelation of an image means that there are many parts that change slowly,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energy is concentrated in low frequency components in frequency.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based on the large correlation of the video signal in the spatial direction.The advantage of these methods is that the energy dispersed in all the pixels of the image is concentrated on several transform coefficients with low frequency including DC component. It is a method using appropriately.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performed in units of 8 * 8 blocks, and inter-image prediction error (inter-picture prediction error) when removing spatial redundancy in the intraframe coding method and interframe coding method. Is used to remove the correlation in the spatial direction. Since the energy is concentrated in a low frequency component, the quantization of the direct current component display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one block 8 * 8 is performed in fine detail. As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used, sparse quantization can reduce an error caused by quantization. However, since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coded on a block basis, the block boundary is likely to be discontinuous, and the boundary is easily visible. If there is an edge in the block, a high frequency component appears, but if the quantization is sparse, the quantization error is ringing and widened into the block, which is perceived as image quality degradation such as mosquite noise or corona effect.
영상 신호가 이산 여현 변환(DCT)등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후, 일반적으로 실수값을 갖는 각 계수들을 한정된 데이타 길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양자화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양자화 과정에서 양자화잡음이 발생하여 손실이 있는 코딩이 된다. 저주파 성분은 진폭 변화가 크고 고주파 성분은 변화가 작아, 저주파 성분에 많은 비트가 할당된다. 단순히 복구된 영상의 신호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해서라면 각 주파수 성분별로 통계적 분산을 구하여 양자화 잡음이 주파수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비트 할당을 하면 되지만, 인간의 시각 특성이 고주파 성분의 양자화 잡음에는 덜 민감하므로 고주파 성분일 수록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키워 양자화 잡음을 더 허용하고 있다. 이를 이해 이산 여현 변환 계수들은 먼저 인간의 시각에 따른 웨이팅 메트릭스(Weighting matrix)에 의해 나눠진 후, 버퍼와 블럭의 복잡성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의해 양자화 된다. 양자화 스텝 사이즈는 양자화기 출력이 통계적 특성에 따라 가변장 부호(variable length code:VLC)에 의해 더욱 압축되는 경우에는 균일해도 그다지 성능이 떨어지지 않으나, 만일 가변장 부호(variable length code:VLC)가 뒤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양자화기 스텝 사이즈를 입력 신호 진폭에 따라 변화되도록하는, 즉 발생 빈도가 높은 작은 진폭에서 보다 세밀하게 양자화하는 최적(Lloyd-Max)양자화기가 요구된다.After a video signal is transformed into a frequency domain by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or the like, each coefficient having a real value is generally quantized to represent a limited data length. In this quantization process, quantization noise is generated, resulting in lossy coding. The low frequency component has a large amplitude change and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has a small change, and many bits are allocated to the low frequency component. In order to simply increase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recovered image, it is necessary to obtain statistical variance for each frequency component and allocate bits to maintain quantization noise uniformly regardless of frequency, but since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are less sensitive to quantization noise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The higher the frequency component, the larger the quantization step size to allow for quantization noise. To understand this,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re first divided by the weighting matrix according to the human vision, and then quantized by the quantization step size determined by the complexity of the buffer and the block. The quantization step size is uniform but does not degrade much if the quantizer output is further compressed by a variable length code (VLC), depending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but if it is followed by a variable length code (VLC) If not followed, a Lloyd-Max quantizer is required to change the quantizer step siz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mplitude, that is, to quantize it more precisely at small amplitudes with high frequency.
양자화된 이산 여현 계수는 최종적으로 통계적 특성에 따라 가변장 부호를 사용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하여 더욱 데이타 압축이 이루어 지는데 이 과정은 양자화 과정과는 달리 손실이 없는 코딩이다. 엔트로피 부호로는 허프만 부호(Huffman code), 아리스메틱 부호(Arithmetic code), 유니버샬 부호(Universal code)등이 있는데 양자화된 이산 여현 변환(DCT) 계수는 주로 허프만 부호(Huffman code)를 사용하여 가변장 부호화(variable length code:VLC) 된다. 허프만 부호(Huffman code)화는 존재 확률 빈도가 높은 부호들에 대해서는 부호당 적은 비트를 할당하고 존재 확률 빈도가 낮은 부호들에 대해서는 부호당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원 신호에서의 부호들을 각 부호의 길이가 다른 가변 길이를 갖는 코드로 부호화함으로써 평균 전송 데이타율을 감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자화된 이산 여현 변환 계수를 허프만 부호(Huffman code)를 이용하여 가변장 부호화할대 이산 여현 변환 계수중 DC 계수와 AC 계수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부호화한다.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coefficients are further compressed through entropy coding using variable length codes according to their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is process is a lossless coding unlike the quantization process. Entropy codes include the Huffman code, Arithmetic code, and Universal code.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coefficients are mainly variable lengths using the Huffman code. It is coded by variable length code (VLC). Huffman coding allocates bits in the original signal by assigning a few bits per code for codes with high probability of existence and many bits per code for codes with low probability of existe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verage transmission data rate by encoding a code having a different variable length. When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re variable length coded using a Huffman code, DC coefficients and AC coefficients of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re distinguished and encoded in different methods.
보통 각 블럭의 DC 값은 주변 블럭의 DC 값과 많은 상관성이 있으므로 이전 블럭의 DC 값과 차이를 구하여 그 차이값을 부호화하고 첫번째 블럭의 DC는 DC 값의 가변 범위의 중간값인 128과의 차이를 구하여 부호화한다.Usually, the DC value of each block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DC value of the neighboring block,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C value of the previous block is obtained and the difference value is encoded, and the DC of the first block is different from 128 which is the median of the variable range of the DC value. Obtain and encode
또한 AC는 이산 여현 변환 영역에서 DC 계수 부근의 AC 계수값이 0이 아닐 확률이 높고, DC 에서 멀어질수록 0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보다 더 효과적인 데이타 압축을 위해 계수들을 재정렬하는데, 이때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을 통하여 1차원으로 정렬한다. 여기서 0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갯수(zero-run)와 0이 아닌 계수들의 값(level)을 (run, level)의 2차원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이 되어 30, 2, 0, 0, -8, 0, 0, 0, 9와 같이 정렬된 이산 여현 변환 계수는 run-level 부호화를 통하여 (0,30), (0,2), (2,-8), (3,9)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된 계수들이 어떤 위치 이후에 계속해서 끝까지 0이 발생할 경우는 블럭의 끝을 나타내는 EOB(End Of Block) 부호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run, level) 부호화된 데이타는 허프만 부호표를 이용하여 가변장 부호화된다. 여기서는 레벨(level)에 있어서 양수와 음수값이 나타날 확률이 거의 같으므로 레벨을 절대값으로 취하고 부호(sign)은 별도로 붙인다. 그런데 제로-런(zero-run)의 값이나 레벨의 값이 매우 클 경우에는 부호어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구현하기가 힘들어지므로, 최대 부호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를 도입한다. 즉, 런이나 레벨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클 경우는 이스케이프+런+레벨+부호(escape + run + level + sign)과 같이 고정 길이로 표현함으로써 부호어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AC also realigns the coefficients for more efficient data compress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AC coefficient near the DC coefficient is not zero in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region and that the zero is more likely to be farther from DC. At this time, the alignment is performed in one dimension through a zig-zag scan. Here, zero-run and zero-level coefficients are expressed in two dimensions (run, level). For example, a zig-zag scan is used to arrang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such as 30, 2, 0, 0, -8, 0, 0, 0, 9, through run-level encoding (0). (30), (0,2), (2, -8), (3,9). In addition, when the zig-zag scanned coefficients continue to reach the end after a position, an EOB (End Of Block) code is added to indicate the end of the block. The (run, level) coded data is variable-length coded using the Huffman code table. In this case, since the probabi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appearing in the level is almost the same, the level is taken as an absolute value and a sign is added separately. However, if the zero-run value or the level value is very large, the length of the codeword becomes too long to implement, and an escape sequence is introduced to limit the maximum code length. . In other words, if the run or level is larger than a certain value, the length of the codeword is prevented from being too long by using a fixed length such as an escape + run + level + sign.
HDTV 전송 채널의 대역폭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영상 데이타들은 최종적으로 가변장 부호화되므로 발생되는 데이타량은 시간에 따라서 달라진다. 따라서 주어진 전송률에 맞추어 발생하는 데이타량을 조절하는 전송률 조정(Rate control 또는 Buffer control)이 필요하다. 전송율 조정은 주로 버퍼의 충만도에 따라 양자화기의 스텝 사이즈를 가변함으로써 데이타의 발생량을 조절한다. 즉, 발생한 비트 수가 기준치 이상이면 버퍼에 채워지는 데이타량이 증가하므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증가시켜 다음에 발생할 비트수를 감소시키고, 기준치 이하로 데이타가 발생하면 그 반대로 수행하여 전체적으로 버퍼의 상태가 일정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때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따라서 양자화 에러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곧 화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버퍼 컨트롤 기법은 영상의 화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While the bandwidth of the HDTV transmission channel is fixed, the video data is finally variable-length encoded, so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varies over time. Therefore, rate control (Rate control or Buffer control) is required to adjust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given rate. The rate adjustment adjusts the amount of data generation mainly by varying the step size of the quantizer according to the buffer's fullness. That is, if the number of bits generated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data filled in the buffer increases, so the quantization step size is increased to reduce the next number of bits to occur. If data is generated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Adjust to maintain. In this case, the quantization error occurs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step size, which directly affects the image quality. Therefore, the buffer control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image quality.
전송율 조정 방법은 영상 신호 압축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데, MPEG에서와 같이 타겟 비트를 설정해 놓고, 실제 발생량 데이타로써 가상적인 버퍼의 충만도를 계산하고 이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계속하여 타겟 비트를 업데이트(update)시켜 나가는 방법이 있고, Digicipher, CCDC, DSC-HDTV 등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매 슬라이스마다 실제 버퍼(physical buffer)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스텝 사이즈를 피이드백 받아서 다음 슬라이스를 부호화해 나가는 방법이 있다.The bit rate adjustment method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the video signal compression method. The target bit is set as in MPEG, the virtual buffer's fullness is calculated as the actual generation data, a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is determined accordingly. There is a method to update the code, and the next slice is encoded by receiving a step size determined by the state of the physical buffer for each slice as used in Digicipher, CCDC, DSC-HDTV, etc. There is a way.
MPEG에서는 기본적으로 화면을 I(Intra), B(Bidirectional interpolative), P(Predictive) 나누어 각각 서로 다른 타겟 비트를 설정한다. 각 모드에 대해 슬라이스당 타겟 비트를 계산하고 실제로 한 슬라이스에서 발생된 비트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으로 각 모드에 대하여 가상적인 버퍼로 업데이트하고 이 가성 버퍼의 상태에 따라 다음에 부호화될 슬라이스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여 부호화한다. 이렇게 한 프레임의 부호화가 끝나고 난 뒤 프레임당 발생한 비트량과 남아 있는 화면의 모드를 감안하여 다음 프레임의 타겟 비트를 계산하고 계속적으로 부호화해 나간다. 화면내에서 I 모드와 P 모드가 공존하므로 MPEG에서의 전송율 조정과는 달리 슬라이스 단위로 실제 버퍼의 충만도에 따라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결정한다. 즉, 한 슬라이스에서 발생한 데이타를 버퍼에 채워 놓고 그동안 채널을 통하여 데이타가 전송되어 빠져나가고 난 후의 버퍼 상태에 비례하여 다음 슬라이스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결정한다.In MPEG, screens are basically divided into I (Intra), B (Bidirectional interpolative), and P (Predictive) to set different target bits. Calculate the target bits per slice for each mode, update to virtual buffers for each mode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bits actually generated in one slice, and quantize the slice to be coded nex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is pseudo buffer. The step size is determined and encoded. After the encoding of one frame is completed, the target bit of the next frame is calculated and continuously encod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bits generated per frame and the remaining picture mode. Since the I mode and the P mode coexist in the screen, the quantization step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tual buffer fullness in slice units, unlike the rate adjustment in MPEG. That is, the data generated in one slice is filled in the buffer, and the quantization step size of the next slic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uffer state after the data has been transmitted and exited through the channel.
제2도는 동영상 복호화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복호화기의 입력단에서 부호화된 데이타 비트 스트림을 입력 받아서 가변장 복호화를 수행한 후 역 양자화를 행하여 역 이산 여현 변환을 하게 된다.FIG. 2 is a diagram of a video decoder, which receives an encoded data bit stream at an input of a decoder, performs variable length decoding, and inverse quantizes to perform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제2도를 참조하면, 버퍼(32)에서는 동영상 부호화기(100)로부터 전송된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전송율을 조절하고, 가변장 복호화기(34)에서는 상기 버퍼(32)를 거쳐 입력된 동영상 부호화기(100)로부터의 가변장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가변장 복호화한다. 역 양자화기(36)에서는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34)에서의 양자화 레벨에 따라 양자화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역 양자화한다. 동영상 복호화기 측에서의 역 양자화는 Intra DC 계수와 그 외의 계수(Intra AC, Inter DC, Inter AC)로 나누어져 수행된다. Intra DC 계수의 역 양자화할 때에는, 이산 여현 변환 계수중 화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DC 값은 그 정밀도에 따라 8-11 비트를 할당하는데 각각의 양자화 스텝 사이즈에 해당하는 8, 4, 2, 1 등을 곱하여 DC 계수를 복원한다. Intra AC, Inter DC, Inter AC 계수들을 역 양자화할 때에는, 블럭내의 모든 64개의 이산 여현 변환 계수에 2를 곱한뒤 화면간 블럭의 경우에만 해당 계수의 사인값(음수일 때 -1, 양수일 때 1)을 더하고, 여기에 Inter/Intra에 따라 가중치 행렬을 곱한 뒤 균일/비균일 양자화기를 구분하는 q_scale_type flag에 따라 선택된 양자화기의 스케일 값(Quntizer_scale)을 곱하면 역 양자화된 이산 여현 변환 계수가 얻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buffer 32 receives an encoded bit stream transmitted from the video encoder 100 to adjust a bit rate, and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4 receives a video input through the buffer 32. Variable-length encoded video data from the encoder 100 is variable-length decoded. The inverse quantizer 36 inverse quantizes to restore the state before the quantization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level i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4. Inverse quantization at the video decoder side is performed by dividing Intra DC coefficients and other coefficients (Intra AC, Inter DC, Inter AC). In the inverse quantization of the Intra DC coefficients, the DC value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image quality amo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is allocated 8-11 bits according to the precision, and 8, 4, 2, 1 corresponding to each quantization step size. Restore the DC coefficient by multiplying by When inverse quantizing Intra AC, Inter DC, and Inter AC coefficients, multiply all 64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in a block by 2, and then use the sine of the coefficient (-1 for negative, 1 for positive) only for inter-screen blocks. ), Multiply the weight matrix according to Inter / Intra, and then multiply the scale value (Quntizer_scale) of the selected quantizer according to the q_scale_type flag that distinguishes the uniform / nonuniform quantizer to obtain the invers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
역 양자화 과정은 양자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손실이 있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화상 정보를 유실하게 된다. 특히 DC 계수의 양자화 및 역양자화는 복호화된 출력 영상에서 변환 부호화 단위 블럭간의 경계가 눈에 띄는 블록화 현상이 유발된다. 역 이산 여현 변환부(38)에서는 상기 역 양자화기(36)에서 역 양자화된 영상을 이산 여현 변환하기 이전의 상태로 역 이산 여현 변환을 수행하고, 프레임 메모리(42)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을 저장한다. 움직임 보상부(44)에서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34)로부터의 움직임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가산기(40)에서는 상기 움직임 보상부(44)에서 움직임 보상이 이루어진 경우 움직임 보상 데이타와 상기 역 이산 여현 변환부(38)에서 역 이산 여현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가산한다.Since the inverse quantization process is a lossy process like the quantization process, some image information is lost in this process. In particular,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of DC coefficients cause a blocky phenomenon in which a boundary between transform coding unit blocks is noticeable in a decoded output image.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unit 38 performs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before the inverse quantization of the inverse quantized image by the inverse quantizer 36, and stores the image of the previous frame in the frame memory 42. do. The motion compensator 44 compensates for the mo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rame memory 42 and the motion compensation information from the variable length decoder 34. The adder 40 adds the motion compensation data and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d image data in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38 when the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in the motion compensator 44.
상기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동영상의 부호화기에서 이산 여현 변환(DCT)과 같은 변환 부호화는 양자화 과정이 필요하고, 또한 동영상의 복호화장치 부분에서는 원래의 화상을 복원하기 위해 역 양자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양자화 및 역 양자화 과정은 손실이 있는 과정이므로, 어느 정도의 화상 정보를 유실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 장치 및 동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이산 여현 변환(DCT)된 DC 계수를 양자화 및 역 양자화를 하게 되면, DC 계수이 양자화 잡음으로 인해 복호화된 출력 영상에서 변환 부호화 단위 블록간의 경계가 눈에 띄는 현상인 블록화 현상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 transform encoding such as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n a video encoder requires a quantization process, and an inverse quantization process is required in a decoder unit of a video to restore an original image. Since the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processes are lossy processes, some image information is lost. In particular, when quantizing and inverse quantizing the DC coefficients of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n the conventional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the boundary between the transform coding unit block in the output image decoded due to the quantization noise is notice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locking phenomenon, which is a prominent phenomenon, is caus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기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결과를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출력으로 함으로써, 원 화상의 미세부나 윤곽을 흐리지 않고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키며, 이때 사용되는 임계값은 현재 처리할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값이 변하므로 평탄한 지역에서는 블록화 현상을 더욱 잘 제거할 수 있고 복잡한 지역에서는 윤곽을 더 잘 보존할 수 있는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w-pass filter as the output of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on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passed through the low-pass filter and the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the blocking phenomenon is eliminated without blurring the fine part or the contour of the original image. In this case, the threshold value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pixel to be processed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nd thus blocks in a flat area. The aim is to provide a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that can remove the phenomenon better and preserve the contour better in complex area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 복호화 장치의 출력단에 화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키기 위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켜 더욱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얻으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blocking effect of the image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to remove the blocking phenomenon caused by the quantization noise of the DC coefficient to obtain a further improved image quality Its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볼 발명의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는 입력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하기 위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와; 블록의 지역 분산값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VAR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값 설정부; 및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반복적으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locking phenomenon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rality of low-pass filter for repeatedly low-pass filtering the input image; A threshold setting unit for setting a threshold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a local variance value of a block with a VAR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nd a comparison selector for outputting a low-pass filtered image only when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low-pass filters repeatedly and a pixel value of an original image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threshold set by the threshold setting unit. It featur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영상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가변장 복호화기에서 가변장 복호화한 후 역양자화하여 역 이산 여현 변환을 통해 원래의 영상 신호로 복호화하는 동영상 복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의 출력을 수신하여 역 양자화할 때 발생하는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영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decoder for receiving a video encoded bit stream, variable length decoding in a variable length decoder, inverse quantization, and decoding the original video signal through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And a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for removing a blocking phenomenon of an image due to quantization noise of DC coefficients generated when the output of the variable length decoder is received and inversely quantiz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에 대한 블럭도로서, 입력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하기 위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와; 블록의 지역 분산값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VAR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값 설정부(200); 및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반복적으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 선택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는 현재 처리중인 화소를 중심으로 소정의 단위 블록에 대해 지역 분산을 구하는 지역 분산 획득부(52)와; 상기 지역 분산 획득부(52)에서 구한 블록이 지역 분산값과 지역 분산에 따라 하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분산값(VAR)을 비교하기 위한 제 1비교기(54);및 상기 제 1비교기(54)의 결과에 따라 지역 분산값이 VAR 값보다 크면 즉, 화소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 제1임계값(Thr1)을 선택하고 지역 분산값이 VAR 값보다 작으면, 즉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 제2임계값(Thr2)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5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교 선택부(300)는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 의해 설정된 Thr1이나 제Thr2중 하나의 값과 입력 영상을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58); 상기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영상 출력과 상기 가산기(58)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한 제 2 비교기(60);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임계값을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62); 상기 저역여파기(50)의 출력과 상기 감산기(62)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한 제 3 비교기(64); 제 2 비교기(60)의 출력과 제 3 비교기(64)이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선택신호 발생기(66); 및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저역여파기(50)의 출력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위치(68)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for repetitively low pass filtering an input image; A threshold setting unit 200 for setting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a local variance value of a block with a VAR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nd outputting the low-pass filtered image only when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repeatedly and a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threshold set by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Comparing selection unit 300 for.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includes a local variance obtaining unit 52 for obtaining a local variance for a predetermined unit block centering on a pixel currently being processed; A first comparator 54 for comparing a reference variance value VA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lock obtained by the regional variance acquisition unit 52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ccording to the local variance value and the local variance. And if the local vari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VAR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54, that is, if the pixel is located in a complex area, the first threshold value Thr1 is selected and the local vari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VAR value. That is, when the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the first switch 56 selects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r2. The comparison selector 300 may include: an adder 58 for adding an input image with one of Thr1 and Thr2 set by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A second comparator (60) for comparing the image output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low-pass filters (50) with the output of the adder (58); A subtractor 62 for subtracting the input image and the threshold value set by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200; A third comparator (64) for comparing the output of the low pass filter (50) with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62); A selection signal generator 66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by the output of the second comparator 60 and the third comparator 64 as an input; And a second switch 68 for selecting one of the input image and the output image of the low pass filter 50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자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는 입력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하기 위한 것으로, 저역 여파기(50)의 갯수가 너무 적으면 블록화 현상이 잘 제거되지 않고 너무 많으면 블록화 현상 제거 시간이 길어지므로 2개에서 3개정도가 적당하다.The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are used to repeatedly filter the input image. If the number of the low pass filters 50 is too small, the blocking phenomenon is not removed well. About three are suitable.
임계값 설정부(200)에서는 입력된 영상을 이용하여 구한 블록이 지역 분산값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분산값(VAR)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는 작용을 한다.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determines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a local variance value obtained by using the input image with a reference variance value (VAR) for determining whether a block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It acts as a setting.
비교 선택부(300)에서는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영상을 출력시키는 작용을 한다.In the comparison selecting unit 300, only when a difference between a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and a valu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low-pass filters 50 repeatedly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set by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t functions to output low-pass images.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 분산 획득부(52)는 현재 처리중인 화소를 중심으로 3*3 단위의 블록에 대해 지역 분산을 구하는 장치로서, 지역 분산(local variance)은 현재 처리중인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윤곽 부분이나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제 1비교기(54)에서는 상기 지역 분산 획득부(52)에서 구한 블록의 지역 분산값과 지역 분산에 따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VAR)을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VAR 값은 지역 분산에 따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쓰이며, 그 값은 30 정도가 적당하다. 제1임계값(Thr1)과 제2임계값(Thr2)는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영상 출력과 원래 입력 영상간의 최대차를 제한하는 요소로서, 이 값들이 너무 크면 블록화 현상은 잘 제거되지만 원래 영상이 흐려지고 이 값들이 너무 작으면 블록화 현상을 잘 제거하지 못한다. 제 1 스위치(56)는 상기 제 1비교기(54)의 결과에 따라 지역 분산값이 VAR 값보다 크면 즉, 화소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 Thr1을 선택하고 지역 분산값이 VAR 값보다 작으면, 즉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 Thr2을 선택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Thr1 Thr2의 관계에 있어야 하며 Thr1 과 Thr2 값은 실험에 따르면 4에서 8 정도면 적당하다.Looking at the ac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in detail, the regional variance acquisition unit 52 is a device for obtaining a regional variance for a block of 3 * 3 unit with respect to the pixel currently being processed, Local varianc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ixel being processed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in a contour or complex area. The first comparator 54 compares a local variance value of the block obtained by the local variance acquisition unit 52 with a reference value VAR for determining whether a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ccording to the area variance. Do it. In this case, the VAR value is used a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ccording to local variance, and a value of about 30 is appropriate. The first threshold value Thr1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r2 limit the maximum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output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 50 and the original input image. If these values are too large, the blocking phenomenon is well removed. If the original image is blurred and these values are too small, the blockage will not be removed well. The first switch 56 selects Thr1 if the local vari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VAR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54, that is, if the pixel is located in a complex area, and if the local vari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VAR value, When the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it serves to select Thr2. At this time, Thr1 should b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2 and Thr1 and Thr2 valu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re appropriate from 4 to 8.
다음, 상기 비교 선택부(300)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산기(58)에서는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내의 제 1 스위치(56)에 의해 선택된 Thr1이나 Thr2중 하나의 값과 입력 영상을 가산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비교기(60)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영상 출력과 상기 가산기(58)의 출력을 비교하는 작용을 한다. 감산기(62)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내의 제 1 스위치(56)에서 선택된 임계값을 감산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비교기(64)에서는 상기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영상과상기 감산기(62)의 출력을 비교하는 작용을 한다.선택신호 발생기(66)에서는 제 2 비교기(60)의 출력과 제 3 비교기(64)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 2 스위치(68)에서는 선택신호에 따라서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영상중 하나를 선택하는 작용을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omparison select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dder 58, one of Thr1 or Thr2 selected by the first switch 56 in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is used. And adds the input image. The second comparator 60 functions to compare the image output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with the output of the adder 58. The subtractor 62 subtracts the input image and the threshold selected by the first switch 56 in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The third comparator 64 compares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 50 with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62. The selection signal generator 66 performs the output of the second comparator 60 and the thir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64 is used as an input to generate a selection signal. The second switch 68 serves to select one of the input image and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 50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1, Thr2, VAR 값과 지역 분산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결과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1, Thr2, and VAR values and local variance, the result of the blockage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지역 분산값 VAR 값 (즉, 화소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 Local variance VAR value (ie, where pixels are located in a complex area)
임계값 = Thr1Threshold = Thr1
* 지역 분산값 VAR 값 (즉,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 Local variance VAR value (ie when the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임계값 = Thr2Threshold = Thr2
위 수식에서 LPFN(in)은 저역 여파기(50)에서 입력영상(in)을 N번 저역 여파한 값이다.In the above formula, LPF N (in) is a value obtained by filtering the input image (in) N times in the low pass filter (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기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결과를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의 출력으로 함으로써, 원 화상의 미세부나 윤곽을 흐리지 않고 블록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임계값은 현재 처리할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값이 변하므로 평탄한 지역에서는 블록화 현상을 더욱 잘 제거할 수 있고 복잡한 지역에서는 윤곽을 더 잘 보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 of the low pass filtering is only outpu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that has repeatedly passed the low pass filter and the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reby outputting the fine portion of the original image. Blocking can be eliminated without blurring the contours, since the threshold used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pixel to be processed is located in a flat or complex area, so that the flat area is better removed. It is effective in preserving the contours in complex areas.
제4도는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동영상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가변장 부호화기(82)에서 가변장 복호화한 후 역양자화하여 역 이산 여현 변환을 통해 원래의 영상 신호로 복호화하는 동영상 복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82)의 출력을 수신하여 역 양자화할때 발생하는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영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94)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94)는 입력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하기 위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와; 블록의 지역 분산값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VAR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값 설정부(200);및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반복적으로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영상을 출력시키기 위한 비교 선택부(300)로 구성된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decoder using a blockage removing apparatus. The video signal bit stream is received, variable length coded by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2, inversely quantized, and the original video signal through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In the moving picture decoder to decode by using a block-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94 for removing the blocking effect of the image due to the quantization noise of the DC coefficient generated when receiving the output of the variable-length decoder 82 inverse quantization It is further provided.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ing device (94) includes: a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for repeatedly low pass filtering an input image; A threshold setting unit 200 for setting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a local dispersion value of a block with a VAR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and the threshold value setting unit ( The comparison selection unit 300 outputs the low-pass filtered image only when a difference between a value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low-pass filters 50 repeatedly and the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set at 200. It consists of.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복호화기의 작용및 효과를 자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video decoder using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버퍼(80)에서는 동영상 부호화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전송율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가변장 복호화기(82)에서는 상기 버퍼(80)을 거쳐 입력된 동영상 부호화기(제1도)로부터의 가변장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가변장 복호화하는 작용을 한다. 역 양자화기(84)에서는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82)에서의 양자화 레벨에 따라 양자화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역 양자화하는 역할을 한다. 역 양자화 과정을 양자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손실이 있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화상 정보를 유실하게 된다.The buffer 80 receives a video encoded bit stream and adjusts a data rate. The variable length decoder 82 performs variable length encoding from a video encoder (FIG. 1) input through the buffer 80. Variable-length decoding of image data. The inverse quantizer 84 plays a role of inverse quantization in order to restore a state before being quantized according to the quantization level in the variable length decoder 82. Since the inverse quantization process is a lossy process similar to the quantization process, some image information is lost in this process.
특히 DC 계수의 양자화및 역양자화는 복호화된 출력 영상에서 변환 부호화 단위 블럭간의 경계가 눈에 띄는 블록화 현상의 유발된다. 역 이산 여현 변환부(86)에서는 상기 역 양자화기(84)에서 역 양자화된 영상을 이산 여현 변환하기 이전의 상태로 역 이산 여현 변환을 수행하고, 프레임 메모리(88)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영상을 저장하는 작용을 한다. 움직임 보상부(90)에서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88)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가변장 복호화기(82)로부터의 움직임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수신단에서의 화상 복원은 추정된 움직임 벡터의 값에 의해 추정, 보상되어 만들어 지기 때문에 정확한 움직임 벡터의 추정이 중요하게 되고 그 보상 방법 또한 중요한 문제가 된다. 가산기(92)에서는 상기 움직임 보상부(90)에서 움직임 보상이 이루어진 경우 움직임 보상 데이타와 상기 역 이산 여현 변환부(86)에서 역 이산 여현 변환된 영상 데이타를 가산하는 작용을 한다.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94)에서는 양자화나 역 양자화시에 발생하는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영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In particular, the quantization and inverse quantization of DC coefficients cause blockiness in which a boundary between transform coding unit blocks is noticeable in a decoded output image.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unit 86 performs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to the state before the inverse quantization of the inverse quantized image by the inverse quantizer 84, and the frame memory 88 stores the image of the previous frame. It works. The motion compensator 90 compensates for the mo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rame memory 88 and the motion compensation information from the variable length decoder 82. Since the image reconstruction at the receiving end is estimated and compensated by the estimated motion vector value, accurate motion vector estimation is important and its compensation method is also an important problem. In the adder 92, when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in the motion compensator 90, motion compensation data and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d image data are add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unit 86.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ing apparatus 94 functions to remove an image blocking phenomenon due to quantization noise of DC coefficients generated during quantization or inverse quantization.
상기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94)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94 as follows.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는 입력된 영상을 반복적으로 저역 여파하기 위한것으로, 저역 여파기(50)의 갯수가 너무 적으면 블록화 현상이 잘 제거되지 않고 너무 많으면 블록화 현상 제거 시간이 길어지므로 2개에서 3개정도가 적당하다. 임계값 설정부(200)에서는 입력된 영상을 이용하여 구한 블록의 지역 분산값과 화소가 평탄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복잡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VAR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는 작용을 한다. 비교 선택부(300)에서는 상기 임계값 설정부(200)에서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역 여파기(50)를 통과한 값과 원 영상의 화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만 저역 여파한 영상을 출력시키는 작용을 한다.The plurality of low pass filters 50 are used to repeatedly filter the input image. If the number of the low pass filters 50 is too small, the blocking phenomenon is not removed well. About three are suitable.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sets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a local variance value of a block obtained using an input image with a VAR value that determines whether a pixel is located in a flat area or a complex area. Do it. In the comparison selecting unit 300, only when a difference between a pixel value of the original image and a valu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low-pass filters 50 repeatedly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set by the threshold setting unit 200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It functions to output low-pass imag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영상 복호화기의 출력단에 화상의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키기 위한 블록화 현상 제거 장치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DC 계수의 양자화 잡음으로 인한 블록화 현상을 제거시켜 더욱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데 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blocking effect of the image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decod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further improved image quality by removing the blocking phenomenon caused by the quantization noise of the DC coefficient. It work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7348A KR100212823B1 (en) | 1995-03-31 | 1995-03-31 |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7348A KR100212823B1 (en) | 1995-03-31 | 1995-03-31 |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6736A KR960036736A (en) | 1996-10-28 |
KR100212823B1 true KR100212823B1 (en) | 1999-08-02 |
Family
ID=1941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73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2823B1 (en) | 1995-03-31 | 1995-03-31 |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12823B1 (en) |
-
1995
- 1995-03-31 KR KR1019950007348A patent/KR1002128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6736A (en) | 1996-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5906B2 (en) | Image 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 |
KR100203710B1 (en) | Image Coding System with Bit Rate Control | |
KR960010196B1 (en) | Dct coefficient quantizer utilizing human vision characteristics | |
US5218435A (en) | Digital advanced television systems | |
KR0155784B1 (en) | Adaptable variable coder/decoder method of image data | |
KR970005831B1 (en) | Image Coder Using Adaptive Frame / Field Transform Coding | |
KR100206261B1 (en) | Video signal band compression device for a digital vtr | |
EP2141927A1 (en) | Filters for video coding | |
JP3819461B2 (en) | Video data post-processing method | |
KR0134504B1 (en) | Image coder with adaptive frequency converter | |
KR100229796B1 (en) | Image decoding system with compensation function for degraded image | |
JP289177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sequences | |
US7787541B2 (en) | Dynamic pre-filter control with subjective noise detector for video compression | |
KR100262500B1 (en) | Adaptive block effect reduction decoder | |
KR1002607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encoding imgae signals using human's visual characteristic | |
KR100212823B1 (en) | Blocking phenomenon removal device and video decoder using the same | |
KR100221308B1 (en) | A device for eliminating blocking effects and a moving picture decoder using the device | |
KR100230841B1 (en) | Block cancel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ving picture decoder | |
KR100203676B1 (en) | 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am | |
KR100203629B1 (en) | Improved image coding system having functions for controlling generated amount of coded bit stream | |
KR100195692B1 (en) |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addresses by multi-loop | |
KR0178225B1 (en) | Encoder of image system | |
KR100230842B1 (en) | Block cancel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ving picture decoder | |
KR100229795B1 (en) | Improved Image Decoding System | |
KR100229791B1 (en) | Adaptive Video Coding System with Band Limit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
|
B90T |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5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51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