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0192546B1 -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546B1
KR100192546B1 KR1019960011064A KR19960011064A KR100192546B1 KR 100192546 B1 KR100192546 B1 KR 100192546B1 KR 1019960011064 A KR1019960011064 A KR 1019960011064A KR 19960011064 A KR19960011064 A KR 19960011064A KR 100192546 B1 KR100192546 B1 KR 10019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insulating layer
layer
flash mem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450A (ko
Inventor
임민규
박은정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6001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546B1/ko
Priority to JP8297950A priority patent/JP2855518B2/ja
Priority to DE19648285A priority patent/DE19648285C2/de
Priority to US08/807,979 priority patent/US5841161A/en
Publication of KR97007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450A/ko
Priority to US09/017,926 priority patent/US6124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5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91Floating-gate IGF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1Floating-gate IGFETs having only two programming levels
    • H10D30/683Floating-gate IGFETs having only two programming levels programmed by tunnelling of carriers, e.g. Fowler-Nordheim tunnel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91Floating-gate IGF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 H10D30/6892Floating-gate IGF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gate other tha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e.g. program gate, erase gate or select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64/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 H10D64/0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comprising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래밍(쓰기) 및 소거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프래쉬 메모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격리된 제1도전형의 제1불순물영역과 제2불순물영역을 갖는 제2도전형의 기판과, 상기 제1불순물영역상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를 덮고 형성되는 제2도전형 플로팅게이트와, 상기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상에 차례로 형성되는 절연층과 제1도전형 컨트롤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본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은 기판을 마련하는 제1스텝과,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을 제외한 기판상에 제1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층 차례로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의 기판상에 제2절연층, 제2도전형의 제2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반도체층과 제1반도체층상에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1반도체층과 제2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3반도체층상에 제3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4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5스텝과, 상기 제4반도체층상에 마스크를 씌운 후 제1, 제2 및 제3반도체층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6스텝과, 상기 기판의 노출된 부분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제7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레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레이아웃도.
제2도(a) 내지 (d)는 제1도의 A-A′ 선에 따른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제3도(a) 내지 (b)는 제2도 (d)의 B-B′ 선에 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
제4도(a) 내지 (f)는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제5도(a) 내지 (b)는 제4도 (f)의 B-B′ 선에 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기판 22 : 제1절연층
23 : 제1폴리실리콘층 24 : 제2절연층
25 : 제2폴리실리콘층 25a : 플로팅 게이트
26 : 평탄화용 절연층 27 : 제3폴리실리콘층
28 : 제3절연층 29 : 제4폴리실리콘층
29a : 컨트롤 게이트 30 : 소오스 불순물 확산영역
31 : 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쓰기(Program) 및 소거(Erase)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반도체장치의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는 전기적 고쳐쓰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프로그램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시에는 종래 자외선 소거형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 Only-Memory)과 같은 핫 일렉트론(Hot Electron)을 주입방식을 이용한다.
즉, 메모리셀의 드레인 부근에서 발생한 전자를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컨트롤 게이트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플로팅 게이트에 일정량 이상의 전자가 주입되면 메모리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이 상승한다.
그리고 전자가 주입되고 있지 않는 메모리셀의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과의 차이로서 정보량 “0” 또는 “1”을 구별한다.
한편 정보의 고쳐쓰기는 플래쉬 메모리 고유의 소거 게이트를 이용하여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되고 있는 전자를 파울러 노드하임(Fowler Nordheim)형 터널전류를 이용하여 메모리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초기치로 되돌린다.
이하 종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레이아웃도이다.
즉, 기판(1)에 선택적으로 필드산화막(2)들을 형성하고 플로팅 게이트용 제1N형 폴리실리콘층(3)을 패터닝한다.
그리고 플로팅 게이트용 N형 폴리실리콘층(3)과 수직한 방향으로 컨트롤 게이트용 제2N형 폴리실리콘층(4)을 패터닝한다.
이어 제2도(a) 내지 (d)는 제1도 A-A' 선에 따른 종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제2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P형 반도체기판(1)상에 터넬링 산화막(5)을 형성한다. 그리고 터넬링 산화막(5)상부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1N형 폴리실리콘층(3)을 형성한다.
이어, 제2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로팅 게이트용 제1N형 폴리실리콘층(3) 상부에 인터폴리 절연막(7)을 형성한다.
이어 인터폴리 절연막(7) 상부에 컨트롤 게이트용 제2N형 폴리실리콘층(4)을 형성한다. 제2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트롤 게이트용 제2N형 폴리실리콘층(4)상부에 포토레지스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한 후 포토 에칭 공정으로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4), 인터폴리 절연막(7), 플로팅 게이트용 제1폴리실리콘층(3) 그리고 터넬링 산화막(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제2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4)을 마스로 이용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8,9)을 형성한다.
이때 메모리셀의 소거동작을 위해 소오스 불순물 확산영역(8)은 깊은 정션(junction)으로 한다.
이어, 제3도(a) 내지 (b)는 제2도(d)의 B-B' 선에 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이다.
플래쉬 메모리의 프로그램은 채널에서 만들어진 고온 열전자(Hot Electron)가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에 대한 플로팅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비를 커플링 비(coupling ratio)라고 한다.
위의 커플링 비가 클수록 프로그래밍 효율은 증대한다.
한편,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된 전자의 소거는 깊은 정션(Deep junction)인 소오스(8)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파울러 노드하임(Fowler Nordheim)터넬링 메카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소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로팅 게이트하부의 터넬링 산화막(5)의 두께를 얇게 하고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를 N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이에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을 제3도(a) 내지 (b)에 나타내었다.
제3도(a)는 평형상태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이다.
여기서 소거동작을 위해 소오스(8)에 정(+)전압을 인가하면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은 제3도(b)와 같이 변화한다.
즉, 소오스(8)에 인가된 정(+)전압에 의해 터넬링 산화막(5)의 에너지 밴드가 급격한 기울기를 갖게 된다. 이로인해 터넬링 산화막(5)의 얇아진 에너지 장벽부분을 통해 전자의 터넬링이 이루어져 소거동작을 구현한다.
그러나 상가와 같은 종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소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플로팅 게이트 하부의 산화막을 터넬링 산화막으로 사용하므로 프로그래밍 효율이 감소한다.
둘째, 고온 열전자 주입에 따른 터넬링 산화막의 마모가 커져 메모리셀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셋째, 플로링 게이트를 N형 폴리실리콘으로 구현하므로 소거동작을 위해 소오스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낮은 전압에서도 프로그래밍 및 소거효율을 향상시키고 메모리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데 적당한 플래쉬 메모리 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격리된 제1도전형의 제1불순물영역과 제2불순물영역을 갖는 제2도전형의 기판과, 상기 제1불순물영역상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를 덮고 형성되는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상에 차례로 형성되는 절연층과 제1도전형 컨트롤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본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은 기판을 마련하는 제1스텝과,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을 제외한 기판상에 제1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층 차례로 형성하는 제2스텝과, 상기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의 기판상에 제2절연층, 제2도전형의 제2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3스텝과, 상기 제2반도체층과 제1반도체층상에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제4스텝과, 상기 제1반도체층과 제2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3반도체층상에 제3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4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5스텝과, 상기 제4반도체층상에 마스크를 씌운 후 제1, 제2 및 제3반도체층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6스텝과, 상기 기판의 노출된 부분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제7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구조 및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a) 내지 (f)는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기판(21)상에 제1절연층(22)을 형성하고 제1절연층(22) 상부에 제1반도체층(23)을 형성한다.
이때 제1반도체층(23)은 N 도전형이다.
이어 제1반도체층(23)상부에 감광막(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도포 한 후 전자의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의 기판(21)상의 제1절연층(22)과 제1반도체층(23)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도체층(23)을 포함한 기판(21)상에 제2절연층(24)과 제2반도체층(25)을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제2절연층(24)은 터넬링 산화막으로 사용하며 그 두께는 제1절연층(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2반도체층(25)은 P도전형이다.
이어 제2반도체층(25)상부에 평탄화용 절연층(26)을 형성한다.
이때 평탄화용 절연층(26)으로서는 BPSG나 PSG등을 사용한다.
제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도체층(23)과 동일한 단차를 갖도록 평탄화용 절연층(26), 제2반도체층(25), 제2절연층(24)을 일정두께 만큼 제거한다.
이어서 제4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반도체층(25)을 포함한 전면에 제3반도체층(27)을 형성한다.
이때 제3반도체층(27)은 N 도전형이다.
그리고 제1, 제2, 제3반도체층(23, 25, 27)은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되고 그 물질로서는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이어 제3반도체층(27)상부에 제3절연층(28)을 형성하고 제4도(e)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3절연층(28)상부에 제4반도체층(29)을 차례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3절연층(28)은 산화막이나 질화막 또는 ONO(산화막-질화막-산화막)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4반도체층(29)은 컨트롤 게이트로 사용하며 그 물질로서는 펄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이어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21)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즉, 제1, 제2, 제3절연층(22 ,24, 28)을 포함한 제1, 제2, 제3, 제4반도체층(23, 25, 27, 29)을 마스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제4도(f)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4반도체층(29)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이온주입에 의한 불순물 확산영역(30, 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오스 불순물 확산영역(30)은 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31)에 비해 깊은 정션으로 형성한다.
한편 제5도 (a) 내지 (b)는 제4도 (f)의 B-B′ 선에 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을 나타내었다.
먼저, 제5도 (a)는 평형상태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아그램으로서 제2폴리실리콘층(P형)으로 인해 평형상태에서도 터넬링 산화막의 에너지 장벽이 전자의 소거동작에 유리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제5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로팅 게이트(25a)가 N형 폴리실리콘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 소오스에 낮은 정(+)전압을 인가하더라도 터넬링 현상이 일어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구조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소고동작이 이루어지는 플로팅 게이트를 P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므로 낮은 전압에 의해서도 전자의 소거가 용이하다.
둘째, 고온 열전자 주입이 이루어지는 채널의 드레인 부근의 산화막을 두껍게 형성하므로 쓰기동작의 반복수행에 의한 산화막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커플링 비가 증가하고 프로그래밍(쓰기)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7)

  1.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격리된 제1도전형의 제1불순물영역과 제2불순물영역을 갖는 제2도전형의 기판; 상기 제1불순물영역상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를 덮고 형성되는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제1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상에 차례로 형성되는 절연층과 제1도전형 컨트롤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제1도전형은 N도전형이고 제2도전형은 P 도전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도전형 플로팅 게이트의 물질은 폴리실리콘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4. 제1항에 있어서, 제1도전형 컨트롤 게이트의 물질은 폴리실리콘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5. 제1항에 있어서, 절연층은 산화물과 질화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6. 제1항에 있어서, 제1불순물영역은 소오스로 사용되고 제 2불순물영역은 드레인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쉬 메모리.
  7. 기판을 마련하는 제1스텝;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을 제외한 기판상에 제1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층 차례로 형성하는 제2스텝;상기 소거동작이 일어나는 부분의 기판상에 제2절연층, 제2도전형의 제2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3스텝;상기 제2반도체층과 제1반도체층상에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제4스텝; 상기 제1반도체층과 제2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3반도체층상에 제3절연층, 제1도전형의 제4반도체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5스텝;상기 제4반도체층상에 마스크를 씌운 후 제1, 제2 및 제3반도체층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6스텝; 상기 기판을 노출된 부분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제7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제3, 제4반도체층은 N도전형이고 제2반도체층은 P 도전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절연층의 두께는 제2절연층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제3절연층은 산화물, 질화물, 산화물-질화물-산화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저방법.
  11. 제7항에서서, 제2절연층은 터넬링이 가능한 얇은 산화막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불순물 확산영역은 N도전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소오스 불순물 확산은 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 보다 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제1, 제2, 제3반도체층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되고 제4반도체층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불순물 확산영역은 소오스와 드레인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제4스텝은 제2폴리실리콘층 상부에 평탄화용 절연층을 증착하는 스텝;낮은 단차를 갖는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 상부에만 남도록 평탄화용 절연층을 제거하는 스텝;제1폴리실리콘층과 동일 단차를 갖도록 상기 평탄화용 절연층, 제2 폴리실리콘층, 제2절연층을 제거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평탄화용 절연층은 BPSG, PSG 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KR1019960011064A 1996-04-12 1996-04-12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19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064A KR100192546B1 (ko) 1996-04-12 1996-04-12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8297950A JP2855518B2 (ja) 1996-04-12 1996-10-22 フラッシュメモリー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DE19648285A DE19648285C2 (de) 1996-04-12 1996-11-21 Flashspei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08/807,979 US5841161A (en) 1996-04-12 1997-03-03 Flash memo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09/017,926 US6124170A (en) 1996-04-12 1998-02-03 Method for making flash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064A KR100192546B1 (ko) 1996-04-12 1996-04-12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450A KR970072450A (ko) 1997-11-07
KR100192546B1 true KR100192546B1 (ko) 1999-06-15

Family

ID=1945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0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2546B1 (ko) 1996-04-12 1996-04-12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41161A (ko)
JP (1) JP2855518B2 (ko)
KR (1) KR100192546B1 (ko)
DE (1) DE19648285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925B1 (ko) * 1999-11-09 2006-09-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폴리 게이트 인버젼 트랜지스터
KR100692800B1 (ko) 2004-12-30 2007-03-1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7511B1 (en) * 1997-12-18 2003-12-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NAND type core cell structure for a high density flash memory device having a unique select gate transistor configuration
US6534816B1 (en) 1999-03-24 2003-03-18 John M. Caywood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charge onto the floating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US20040021170A1 (en) * 1999-03-24 2004-02-05 Caywood John M.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charge onto the floating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US6384451B1 (en) 1999-03-24 2002-05-07 John Caywood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charge onto the floating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KR100295062B1 (ko) * 1999-08-17 2001-07-12 윤종용 게이트 산화막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반도체장치의 게이트 제조방법
EP1107317B1 (en) * 1999-12-09 2007-07-25 Hitachi Europe Limited Memory device
US6624029B2 (en) * 2000-11-30 2003-09-23 Atm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non-volatile memory cell
US6479351B1 (en) * 2000-11-30 2002-11-12 Atm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non-volatile memory cell
US20030113962A1 (en) * 2001-12-14 2003-06-19 Chindalore Gowrishankar L.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improved data retention and method therefor
US6737320B2 (en) * 2002-08-29 2004-05-18 Micron Technology, Inc. Double-doped polysilicon floating gate
US6822285B1 (en) * 2003-07-31 2004-11-23 Atmel Corporation EEPROM with multi-member floating gate
KR100546407B1 (ko) * 2004-04-3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Eeprom 셀 제조방법
US8110465B2 (en) * 2007-07-30 2012-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n asymmetric gate electrode
US8320191B2 (en) 2007-08-30 2012-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cell arrangement, method for controlling a memory cell, memory array and electronic device
JP2009289949A (ja) * 2008-05-29 2009-12-1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5588293B2 (ja) * 2010-09-30 2014-09-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装置
JP6506095B2 (ja) * 2015-05-07 2019-04-2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CN113437073B (zh) * 2020-03-23 2023-10-27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结构及其制造方法
US11502093B2 (en) * 2020-08-07 2022-11-15 Winbond Electronics Corp. Memory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1566B (it) * 1986-06-27 1988-03-23 Sgs Microelettronica Spa Dispositivo di memoria non labile a semiconduttore del tipo a porta non connessa (floating gate) alterabile elettricamente con area di tunnel ridotta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US4714519A (en) * 1987-03-30 1987-12-22 Motorola, Inc. Method for fabricating MOS transistors having gates with different work functions
KR890003030A (ko) * 1987-07-08 1989-04-12 미다 가쓰시게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장치
US5063423A (en) * 1989-04-28 1991-11-05 Nippondenso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a floating gate tunnel oxide type
US5268585A (en) * 1991-07-01 1993-12-07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585180B2 (ja) * 1992-09-02 1997-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54552A (en) * 1995-04-03 1996-09-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PN junction floating gate EEPROM, flash EPROM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753952A (en) * 1995-09-22 1998-05-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onvolatile memory cell with P-N junction formed in polysilicon floating g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925B1 (ko) * 1999-11-09 2006-09-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폴리 게이트 인버젼 트랜지스터
KR100692800B1 (ko) 2004-12-30 2007-03-1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41161A (en) 1998-11-24
JPH09283644A (ja) 1997-10-31
DE19648285A1 (de) 1997-10-16
US6124170A (en) 2000-09-26
JP2855518B2 (ja) 1999-02-10
KR970072450A (ko) 1997-11-07
DE19648285C2 (de) 200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546B1 (ko)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US6084262A (en) Etox cell programmed by band-to-band tunneling induced substrate hot electron and read by gate induced drain leakage current
US5574685A (en) Self-aligned buried channel/junction stacked gate flash memory cell
US6190968B1 (en) Method for forming EPROM and flash memory cells with source-side injection
KR0144421B1 (ko) 플레쉬 이.이.피.롬의 제조방법
KR100209724B1 (ko)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56441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US6326660B1 (en) Method to improve the capacity of data retention and increase the coupling ratio of source to floating gate in split-gate flash
US5972753A (en) Method of self-align cell edge implant to reduce leakage current and improve program speed in split-gate flash
KR100270577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5468981A (en) Self-aligned buried channel/junction stacked gate flash memory cell
US6025229A (en) Method of fabricating split-gate source side injection flash memory array
KR100585097B1 (ko) 이이피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61996B1 (ko) 플래쉬 메모리 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4969748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デバイス及び不揮発性記憶装置セルの製造方法
US20050124115A1 (en) Method of forming a floating gate for a stacked gate flash memory device
US6841447B1 (en) EEPROM device having an isolation-bounded tunnel capacitor and fabrication process
KR100376864B1 (ko) 반도체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80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215888B1 (ko)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JPH02295169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462370B1 (ko) 플래쉬메모리장치및그의제조방법
KR100186507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00189965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50006232B1 (ko) 플래쉬 이이피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3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